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작성자 정보

대감

게시글 정보

조회 119 2025/03/02 13:13

게시글 내용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개발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고체전해질 원료인 황화리튬 생산업체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의 기업가치가 상승하고 있다. 전기 자동차뿐만 아니라 휴머노이드 로봇에도 전고체 배터리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전방시장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2월2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 회사 주가는 이달 들어 82.6% 상승했다. 같은 기간 코스피가 4.9% 오른 것을 고려해도 시장 대비 수익률은 77.7%포인트(P)에 달한다. 시가총액은 1조8000억원을 넘어섰다. 국내 기관 투자가가 누적 순매수 415억원을 기록하며 주가 상승을 이끌었다. 기관 평균 매수단가는 4만9515원으로 평가 수익률 21.2%를 기록했다.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은 2023년 5월1일 이수화학으로부터 인적분할해 설립했다. 전고체 배터리에 들어가는 고체전해질 원료인 황화리튬을 생산하는 전고체전지 소재 사업을 한다.

최근 이수스페셜티케미컬 기업가치는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하고 있다. 전기차뿐만 아니라 로봇과 도심항공교통(UAM), 우주항공 등 다양한 영역에서 전고체 배터리 필요성이 커졌다. 현대차는 다음달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을 가동한다. 시험 생산을 거쳐 2030년께 양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에서도 전고체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가 2030년부터 양산 단계에 접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휴머노이드 개발 경쟁도 전고체 배터리 관련 밸류체인의 가치를 높이고 있다. 휴머노이드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하기 위해 각종 센서와 카메라가 필요하다. 게다가 구동모터, 무선통신 등도 작동하려면 전력 소모량이 커질 수밖에 없다.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은 2021년부터 한국·일본·미국 등 배터리 생산업체와 황화리튬 사업성을 검증하고 있다. 선행연구 개발을 마무리하고 2027년부터 본격적인 공급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노우호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전방 고객사의 양산 로드맵에 따라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의 황화리튬 생산능력 확대 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며 "황화수소 내재화 및 연속식 공정을 통한 안정적 수율과 제조공정 비용절감 등의 경쟁력이 돋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2월17일 오전 10시 1분 기준 정밀화학기업 이수스페셜티케미컬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11.2% 오른 4만 8650원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 2023년 이수화학에서 인적분할된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은 합성수지 ABS 생산공정에서 분자 조절을 위한 첨가제로 사용되는 TDM, 페인트와 손소독제 등에 사용되는 IPA, 인쇄용 잉크와 금속 세정제 등에 사용되는 D-Sol 등을 생산한다. 연구개발(R&D) 전문성이 높아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탈황과 가황 기술을 모두 보유한 업체로 알려져 있다.

특히 지난해 전고체 배터리에서 사용되는 Li2S(황화리튬) 파일럿 라인 구축을 시작하면서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Li2S은 전고체 배터리의 고체 전해질을 만드는 핵심 원재료다. Li2S를 사용한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에 비해 안전성, 수명, 에너지 밀도가 향상된다. 특히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지 않아 화재 위험이 낮아져, 전기차 안전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회사 측은 전고체 배터리가 2027년부터 대량 생산이 시작돼 2035년 641GWh로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원료인 Li2S 수요도 같은 기간 364MT(Metric Ton)에서 5만 1313MT로 가파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이 지난 10일 발표한 개별재무제표 기준 실적은 매출 3321억원으로 전년 대비 182.5% 늘었고, 영업이익은 152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매출액에서 큰 차이는 2023년 5월 이수화학에서 분할하면서 회계 기준 시기의 차이(2023년은 5월 1일부터 연말까지 기산) 때문이다.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은 1월13일 중국석유물자유한공사와 230억3691만원 규모의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계약 내용은 TDM 관련 촉매 골격체 계약(CATALYST FRAMEWORK AGREEMENT FOR Tert-Dodecyl Mercaptan)이다.

계약기간은 2025년 1월 13일부터 2025년 12월 31일까지 총 공급기간은 352일이다. 이번에 체결한 공급계약 금액은 최근 매출액 1175억2861만원 대비 19.6% 규모다.



작년 개별기준 매출액은 3320.69억으로 전년대비 182.54% 증가. 영업이익은 152.43억으로 61.19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81.27억으로 62.05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이수그룹(회장 김상범) 계열사 이수스페셜티케미컬(457190)은 국내 전해질 생산 전문 업체인 동화일렉트로라이트와 전고체 배터리 핵심소재인 고체전해질 개발 협력을 위한 포괄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작년 10월10일 밝혔다. 

이번 MOU를 통해 양사는 고체전해질 개발, 품질인증 및 스펙 확보를 위한 연구 개발에 협력할 예정이다.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은 고체전해질 핵심 원료인 황화리튬(Li2S)을 공급하는 역할을 맡는다. 

동화그룹의 계열사인 동화일렉트로라이트는 전해액 생산 및 전해액 첨가제 개발을 주력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국내 최초로 중대형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 핵심 첨가제 개발과 양산에 성공했다. 최근에는 신성장 동력으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황화리튬(Li2S) 상업화에 주력하는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은 밸류체인의 다운스트림에 해당하는 동화일렉트로라이트와의 협력을 통해 기술 개발과 시장 선점 측면에서의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다.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은 지난 2월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에 이어 올해에만 두 번째 MOU체결을 성사시키며 국내외 주요 고체전해질 개발 기업들과 협력을 지속하고 있다. 

류승호 이수스페셜티케미컬 대표이사는 “동화는 일본과 중국이 주도하던 전해액 및 첨가제 시장에서 성과를 거둔 기업인 만큼 향후 고체전해질 기술개발 측면에서 좋은 전략적 파트너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은 미국 KBR(Kellogg Brown&Root)과 공동으로 연속식 공법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세계 최초로 적용한 황화리튬(Li2S) 데모플랜트 증설을 올해 5월 완료하고 고객사들로부터 품질 테스트를 진행 중에 있다. 회사 측은 최근 증설 완료 기념행사를 통해 해당 공장에서 생산된 시제품이 국내외 고객사들로부터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고 있으며, 추가적인 파트너십 형성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수화학에서 정밀화학제품의 제조 및 판매, 전고체전지 소재 제조 및 판매 사업이 인적 분할되어 재상장된 업체. TDM, NOM/NDM, IPA, Special Solvent 등 정밀화학제품의 생산 및 판매업과 전고체 배터리에 사용되는 고체전해질의 원료인 황화리튬(Li2S)을 생산, 판매하는 전고체전지소재 사업부문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24년4월 이수엑사켐 분할부문(석유화학제품 및 정밀화학제품과 그 부산물의 판매업)을 흡수합병.
최대주주는 이수 외(35.45%). 


2023년 개별기준 매출액은 1175.29억으로 기록. 영업이익은 61.20억 적자를 기록. 당기순이익은 62.06억 적자를 기록.


2023년 5월31일 상장, 당일 16600원에서 저점을 찍은후 6월15일 90000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밀렸으나 10월31일 22600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작년 3월18일 8140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8월5일 26700원에서 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 이후 9월3일 5760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12월9일 29050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등락ㅇ르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5930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618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680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748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 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

하단영역

씽크풀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투자에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또한 이용자는 본 정보를 무단 복사, 전재 할 수 없습니다.

씽크풀은 정식 금융투자업자가 아닌 유사투자자문업자로 개별적인 투자상담과 자금운용이 불가합니다.
본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모든 정보는 투자판단의 참고자료로 원금 손실이 발생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씽크풀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70, 15층 (여의도동, 미원빌딩)

고객센터 1666-6300 사업자 등록번호 116-81-54775 대표 : 김동진

Copyright since 1999 © ThinkPool Co.,Lt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