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케어 'UBIST HCD', 12월 서머리 리포트 발표 인플루엔자 치료제 처방 급증…모든 연령층에서 증가
[메디칼타임즈=허성규 기자] 유비케어는 지난해 말 독감치료제를 처방한 의료기관이 전월 대비 9배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유비케어(대표 이상경)는 자사의 의약품 처방 의료 기관수 분석 솔루션인 'UBIST HCD'에서 도출된 지난해 12월 국내 의약품 처방 의료 기관수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UBIST HCD Summary Report'에 따르면 12월 의약품 분류 코드(Anatomical therapeutic chemical, ATC) '[J5B4] 인플루엔자 치료제'를 처방한 의료 기관수가 전월 대비 4,678처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를 처방한 의료 기관수는 총 5,267처에 달하며, 전월 대비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 [J5B4] 인플루엔자 치료제'를 처방한 의료 기관수는 지난 10월 이후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10월에는 250처에 불과했으나, 11월에는 589처로 증가하며 본격적인 상승세를 타기 시작했다. 특히 12월에는 5,267처를 기록하며 전월 대비 약 9배에 가까운 증가폭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모든 의료기관 유형(상급종합병원‧종합병원‧병원‧의원)에서 '[J5B4] 인플루엔자 치료제'가 신규 처방 기관수 증가 1위를 차지했다.
유비케어는 이러한 증가가 최근 독감 환자의 급증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데이터로 뒷받침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R5D2] 진해 복합제제'와 '[R5C] 거담제'가 각각 2위와 3위에 올라, 대부분의 상위 처방 약물이 독감과 감기 관련 치료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제로 질병관리청은 인플루엔자(독감) 유행이 본격화하면서 독감 의심환자도 급증해 2016년 이후 최고 수준이라며, 연령별로는 모든 연령층에서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다음 달 발표될 'UBIST HCD' 1월 리포트에서 이러한 추세가 어떻게 반영될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된다.
유비케어 관계자는 "원외 처방 의약품 분석 솔루션인 'UBIST Pharmacy(유비스트 파마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J5B4] 인플루엔자 치료제'의 매출이 전월 대비 4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처방 기관수 증가가 매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명확히 보여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처럼 처방 기관수와 매출 데이터를 교차 분석하면 시장의 흐름을 보다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향후 의약품 매출을 예측에도 중요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독감’ 나으려 약 먹었는데, 현기증에 혈변까지… 대체 무슨 일?
사진=클립아트코리아
독감 환자가 늘자 치료제인 ‘타미플루(성분명 오셀타미비르)’를 복용한 뒤 이상 증상을 호소하는 사례들이 온라인에서 확산하고 있다.
16일, 의료계에 따르면 독감 환자가 늘면서 타미플루를 복용한 후 이상 증상을 경험한 사례도 온라인을 통해 공유되고 있다. “수시로 속이 쓰리다”, “현기증이 난다” 등 경미한 증상부터 “복통에 설사가 나오더니 치질도 없는데 피가 보였다”는 등 다양한 경험들이 공유됐다.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타미플루는 증상 개선에 매우 효과적이나 종종 부작용이 보고된다. 구토, 불면증, 두통이 대표적이다. 발생 빈도는 낮지만, 혈변을 부르는 ‘출혈 대장염’ 역시 타미플루 주의사항에 적시된 이상 증상 중 하나다.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저체온증도 나타날 수 있다. 약을 먹으면 열이 뚝 떨어지는데 여기에 해열진통제까지 복용해 오한, 어지럼증 등의 증상을 경험하는 것이다.
어린 아이를 키우는 부모는 타미플루를 먹고 환각, 섬망 등 신경정신과 이상 반응이 나타날까 걱정하는 경우도 많다. 안 꾸던 악몽을 꾸거나 갑자기 소리를 지르고 경련을 일으키는 사례도 종종 발견된다. 실제 지난 2018년, 타미플루를 복용한 10대가 고층에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다만 그 원인이 약인지 독감 바이러스인지는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학계는 독감 바이러스가 유발한 뇌증이 원인이라는 데에 무게를 두고 있다. 감염 초기 동반된 고열이 뇌염·뇌수막염을 유발하고 이게 뇌증으로 이어져 공격성, 우울, 의식 저하, 환청, 환각을 유발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소아청소년 독감 환자의 보호자는 치료제 투여와 관계없이 적어도 2일간 환자를 혼자 두지 말아야 한다. 창문과 베란다, 현관문 등을 꼭 잠그고 이상 행동이 나타나는지 반드시 살펴야 한다.
한편, 부작용을 우려해 독감에 걸려도 치료제를 복용하지 않는 건 득보다 실이 큰 행위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특히 고령자나 만성질환자들은 바이러스 자체만으로 심각한 합병증을 겪을 수 있다. 자살 시도와 관련된 부작용도 마찬가지다. 가천대 길병원 예방의학과 정재훈 교수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살이나 자살 시도와 관련된 부작용은 타미플루를 처방받은 군에서는 10만 명당 4명 수준이었지만 타미플루를 처방받지 않은 군은 10만 명당 7명 수준으로 나타났다.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