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비보존제약, ‘어나프라주’ 개발 성공…글로벌 64兆 시장 노크게시글 내용
마약성 진통제 '오피오이드' 남용...미국서 50만명 사망
비마약성 '어나프라주', 오피오이드 대체 용도로 개발
올해 64조원 시장...2028년 72조원 시장 성장 전망

[뉴스투데이=최정호 기자] 비보존제약이 개발한 수술 후 진통제 ‘어나프라주’(오피란제린염산염)가 지난해 말 국내 38호 신약으로 이름을 올렸다. 어나프라주는 중독성이 강한 마약성 진통제를 대체할 수 있어 시장성도 풍부하며 사회적으로 큰 의미를 갖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어나프라주는 비마약성·비소염제성 진통제로 퍼스트 인 클래스(최초 계열 또는 혁신 신약)에 속한다. 기존 마약성 진통제가 지닌 부작용과 중독 위험을 최대한 줄였으며 빠르고 강력한 진통 효과를 제공하는 의약품이다.
어나프라주는 오피오이드 계열 의약품을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모르핀과 아편 같은 게 대표적인 오피오이드 계열 의약품이다. 이 오피오이드는 미국에서 마약성 진통제인 펜타닐과 함께 대표적으로 남용 처방되는 진통제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에 따르면 지난 2009년부터 2019년까지 미 전역에서 50만 명 이상이 오피오이드 과다 투약으로 사망했다.
때문에 오피오이드를 대용할 수 있는 비 마약성 진통제가 개발된다면 수익성도 좋지만, 사회적으로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오피오이드 진통제는 주로 통증 치료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다양한 통증을 치료할 수 있어 가장 효과적인 진통제라고 할 수 있다. 이 마약성 진통제는 수술 후 통증 완화와 암 통증 및 중증 통증에 사용된다. 전제 진통제 시장의 41%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비하면 비 마약성 진통제는 치료할 수 있는 부분이 제한적이다. 비 마약성 진통제 중 대표적인 게 ‘아세트아미노펜’ 계열 진통제다. 존슨앤존슨의 ‘타이레놀’이 대표적 의약품이다. 또 코데인(기침 치료제)과 같이 약한 마약성 진통제와 혼합된 제품도 판매되고 있다.
또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NSAIDs’는 경증부터 통증 조절용 진통제로 주로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의 억제에 의해 작용된다. 주로 월경통과 근골격계 장애, 수술 후 통증 편두통에 사용된다. 주요 부작용은 위장 장애와 현기증, 이명, 두통이다. 일부 제품은 특허만료로 제네릭 제품이 등장하고 있다.

글로벌 진통제 시장 중 수술 후 진통제 시장 규모는 올해 439억달러(64조561억원)로 예상된다. 오는 2026년에는 458억달러(67조3489억원)이며 2027년에는 477억달러(70조1428억), 2028년 495억달러(72조7897억원) 시장으로 성장될 것으로 전망된다.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