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정보

19,440
-2.46%
04/09 장마감

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작성자 정보

대감

게시글 정보

조회 200 2025/02/01 18:23

게시글 내용




에스피지 주가가 급등하고 있다. 2월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 거래일 12.79% 올라 3만 13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에스피지는 소형 기어드 모터 전문 제조업체로 꾸준히 성장 하면서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았다.

소형 기어드 모터는 자동화 시스템 및 가전기기 등에 사용되는 소형 모터에 기어 박스 세트(감속 기어)를 부착해 무거운 것을 운반하거나 들어 올릴 수 있는 힘을 제공하는 핵심 부품이다.

에스피지는 이러한 소형 기어드 모터를 전문적으로 생산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 공급하고 있다.

에스피지는 삼성전자, LG전자의 최첨단 PDP, LCD 라인뿐만 아니라 미국의 GE, Whirlpool 등 글로벌 기업에도 제품을 공급하며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뛰어난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해외 시장에서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1월2일, 삼성전자가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대주주로 등극하며 본격적인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나선다는 소식이 시장을 흔들었다. 이로 인해 관련 부품 공급망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에스피지(058610) 주가가 전일 대비 19.6% 상승하며 2만8000원을 기록했다. 에스피지는 로봇 산업에서 필수적인 정밀 모터와 감속기를 제조하는 주요 공급업체로, 이번 소식의 대표적인 수혜주로 평가받고 있다​.

삼성전자가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지분을 35%까지 확대하며 자회사로 편입한 것은 국내 로봇산업의 급속한 성장 가능성을 예고했다.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와의 협업을 통해 인공지능(AI) 기술과 로봇 하드웨어 개발을 결합, 글로벌 휴머노이드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로봇 산업 밸류체인에 포함된 부품 제조업체들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휴머노이드 로봇은 산업용 로봇에 비해 훨씬 많은 감속기와 정밀 모터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에스피지와 같은 부품 제조사의 성장 가능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증권업계는 삼성전자의 이번 행보가 관련 공급망 기업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1991년 설립된 에스피지는 정밀 제어용 모터 및 감속기 전문 제조업체로, 2002년 코스닥에 상장했다. 이 회사는 공장자동화(FA), 사무자동화(OA), 가전제품(HA)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소형 모터와 감속기를 제조하며, 로봇 산업에서 필수적인 유성 감속기와 정밀 감속기 생산에서도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2016년에는 국내 최대 팬 모터 제조업체인 성신을 흡수 합병하며 가전용 모터 시장에서도 입지를 강화했다. 이를 통해 에스피지는 50년이 넘는 소형 모터 제조 기술과 노하우를 확보하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키워왔다. 현재 약 3500여 종의 다양한 제품군을 바탕으로 다품종 소량생산 체제를 구축하고 있으며, 산업용 및 가전용 제품뿐만 아니라 로봇 산업용 제품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다​.



국내 정밀 감속기 기업 에스피지 주가가 휘파람을 불고 있다.

지난 12월2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 39분 현재 5.69% 올라 2만 13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에스피지가 정밀 감속기 국산화에 성공하며 로봇 시장에서의 입지를 굳건히 하면서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기존 산업용에 주로 사용되던 정밀 감속기를 로봇용으로 확장해 휴머노이드 로봇, 로봇팔 등 다양한 로봇 분야에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메디컬 수술 로봇용 정밀 감속기 수출까지 예정되어 있어 글로벌 시장 진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정밀 감속기는 로봇의 관절 역할을 수행하며, 로봇의 정밀도와 움직임을 결정하는 핵심 부품이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대부분 외산 제품에 의존해왔지만, 에스피지의 국산화 성공으로 국산 로봇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로봇 시장의 성장과 함께 정밀 감속기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휴머노이드 로봇, 협동 로봇 등 다양한 로봇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고성능 정밀 감속기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에스피지는 이러한 시장의 변화에 발맞춰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내년에는 매출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에스피지는 소형 기어드 모터 제조 전문 기업이다. 소형 기어드 모터는 자동화 시스템과 가전제품 등에 사용되는 소형 모터에 감속 기어를 부착하여 힘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에스피지는 삼성전자, LG전자의 최첨단 PDP, LCD 라인에 소형 기어드 모터를 공급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미국의 GE, Whirlpool 등 글로벌 가전 기업에도 제품을 공급하며 해외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했다.



정밀감속기를 국산화한 에스피지(SPG)가 기존 산업용에서 로봇용으로 사업 영토를 확장한다. 경쟁력을 인정 받으면서 고객사가 늘어 정밀감속기 매출을 내년 2배 이상 성장시킨다는 계획이다.

여영길 에스피지 대표는 작년 10월초순 전자신문과 만나 “2020년 상용화한 로봇용 정밀감속기가 올해부터 본격적인 성과가 나오기 시작했다”며 “올해 정밀감속기 부문에서 매출 130억원 이상 달성이 예상되고, 내년에는 300억원으로 늘어날 전망”이라고 말했다.

1991년 설립된 에스피지는 산업용 컨베이어 벨트와 가전제품에 들어가는 모터가 주력인 부품사다. 3500종에 달하는 모터를 생산해 지난해 매출 3938억원, 영업이익 160억원을 기록했다.

회사는 제조 공장 자동화와 무인화 트렌드에 정밀감속기 사업에 뛰어들었다. 감속기는 모터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동력전달 장치다.정밀감속기는 크게 △유성감속기 △SH감속기 △SR감속기로 구분된다. 유성감속기는 강한 토크가 필요한 산업용 로봇이나 공작기계에 적용된다. SH감속기는 정밀도가 높은 협동로봇이나 휴머노이드 로봇, SR감속기는 가반하중(로봇이 들어올릴 수 있는 최대 무게)이 높은 로봇 팔 등에 각각 탑재된다. 에스피지는 이 3가지 제품 모두를 국산화했다.

여 대표는 “유성감속기는 독일 뉴가트, SH감속기는 일본 하모닉드라이브, SR감속기는 나브테스코 기업이 강자지만, 3가지 감속기를 모두 생산할 수 있는 기업은 에스피지가 유일하다”며 “정밀감속기는 고객사 기술 검증이 오래 걸려 성과 도출까지 많은 시간이 필요한 데, 올해 신규 고객사를 다수 확보했다”고 말했다.

에스피지는 구체적인 고객사를 밝히지 않았지만 글로벌 기업이 출시하는 웨어러블 로봇과 반도체 장비에 탑재된다고 소개했다. 또 내년에는 미국 의료장비 기업에 메디컬 수술 로봇용 정밀감속기도 수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메디컬 로봇에는 신소재를 적용해 기존 정밀감속기 대비 경량화·슬림화를 구현했다.

여 대표는 “현재 레인보우로보틱스 협동로봇과 휴머노이드 로봇에 에스피지 정밀감속기가 탑재되고 있는데, 고객사 확대는 에스피지 정밀감속기가 기술력을 인정 받은 결과”라며 “올해 정밀감속기 매출이 전년 대비 70% 이상 증가하고 내년부터는 매년 2배씩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에스피지는 감속기 시장 후발주자지만, 납기와 원가 경쟁력을 확보해 시장 진입에 성공했다는 평가다. 매년 40억원 이상을 감속기 연구개발(R&D)에 투입해 정밀감속기 납기를 일본 경쟁사의 10분의 1 수준으로 단축하고, 가격은 약 50% 낮췄다.



작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922.06억으로 전년동기대비 5.5% 감소. 영업이익은 33.11억으로 35.09% 증가. % 증가. 당기순이익은 24.85억으로 0.49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연결기준 올 3분기 누적매출액은 2903.98억으로 전년동기대비 2.2% 감소. 영업이익은 98.48억으로 26.1% 감소. 당기순이익은 91.60억으로 1.7% 증가.



흥국증권은 에스피지[058610]에 대해 작년 8월23일, 개선된 실적부분, 성장성은 기대에 못 미치나 향후 로봇시장 확대로 인한 정밀감속기 수요 증가 예상으로 목표가를 3만8천원으로 유지했다. 전일 종가는 2만2천50원으로 마감했다. 6개월대비 최고가는 3만1천원, 최저가는 1만8천9백90원으로 나타났다.

에스피지는 24년 2분기 매출액은 1,004억원(-1.0% 전년동기대비, +2.6% 직전분기대비), 영업이익 35억원(-28.4% 전년동기대비, +12.7% 직전분기대비)을 기록했다.

최종경 흥국증권 애널리스트는 에스피지가 1천억원대의 분기 매출액과 3%대의 분기 실적은 '23년 하반기와 전분기와 비교할 때 분명 개선된 실적이지만, 정밀기계 부품의 안정성과 고정밀 로봇 부품의 성장성이 대표 정체성에는 못 미치는 조금 아쉬운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최 연구원은 매출분석에 있어서 수익성이 높은 산업용 기어드모터 대비 상대적으로 그에 못 미치는 가전용 모터의 매출이 늘어났다고 했다.

최 연구원은 하반기 본격화되는 미국 고객 사향 물류 자동화 물량에 대해 선제적인 생산에 따라 재고자산 증가(전분기 845억원→1,158억원) 등 관련된 비용이 일시적으로 늘어난 영향도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오히려 하반기에는 보다 개선되는 실적 흐름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 No.1 로봇 핵심 부품의 경쟁력과 SH/SR/유성감속기 모두 양산 가능성 등을 반영해 최 연구원은 목표주가를 현행 유지했다.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3937.86억으로 전년대비 10.60% 감소. 영업이익은 159.70억으로 37.32% 감소. 당기순이익은 109.95억으로 44.14% 감소. 


정밀 제어용 기어드 모터 및 감속기 생산/판매업체. 주요제품으로 산업용, 가전기기용, 의료기기 등에 사용되는 표준 AC Motor, 고출력으로 복사기, 자동문, 녹즙기 등에 사용되는 Condenser/Controller, 휴대성, 기동성 및 속도제어가 용이한 표준 DC motor, 에어컨, 냉장고, 공기청정기, 프린터 등 가전 제품에 적용되는 BLDC 모터류 등. 그 외에 로봇산업용 제품과 반도체 장비, 공작기계 등에 주로 적용되는 유성감속기, 특수용도의 정밀감속기까지 그 영역을 넓혀 가고 있음.
최대주주는 이준호 외(38.67%) 상호변경 : 성신정공 -> 에스피지(00년1월).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4404.76억으로 전년대비 5.80% 증가. 영업이익은 254.79억으로 8.26% 증가.당기순이익은 196.83억으로 14.12% 감소. 


2004년 8월9일 1462원에서 바닥을 찍은 후 2023년 9월11일 44800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밀렸으나 작년 12월10일 17990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2880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300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330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363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 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

하단영역

씽크풀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투자에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또한 이용자는 본 정보를 무단 복사, 전재 할 수 없습니다.

씽크풀은 정식 금융투자업자가 아닌 유사투자자문업자로 개별적인 투자상담과 자금운용이 불가합니다.
본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모든 정보는 투자판단의 참고자료로 원금 손실이 발생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씽크풀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70, 15층 (여의도동, 미원빌딩)

고객센터 1666-6300 사업자 등록번호 116-81-54775 대표 : 김동진

Copyright since 1999 © ThinkPool Co.,Lt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