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저점에선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작성자 정보

대감

게시글 정보

조회 53 2025/02/11 17:17

게시글 내용



반도체 후공정 장비 전문기업 미래산업이 지난해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고 2월11일 밝혔다. 이 회사는 2023년 7월 최대주주 변경 후 새롭게 선임한 경영진이 강도높은 경영혁신 및 사업구조 효율화를 통해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미래산업은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 270억원으로 전년(217억원) 대비 24.4%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21억원, 당기순이익은 63억원으로 모두 흑자 전환했다. 

미래산업은 주요 사업은 ATE(테스트 핸들) 사업부와 MAI(이형 부품 삽입기) 사업부로 나뉜다. 

ATE 사업부의 주요 고객은 국내에서는 H사를 두고 있으며, 해외에는 양쯔메모리테크놀로지스(YMTC), 창신메모리(CXMT), 인피니언(INFINEON) 등의 유수 업체와 거래를 하고 있다. 

MAI 사업부는 지난해 기준 매출 45억원을 달성했으며, 지난해 33억원 대비 34.5% 증가했다. 주요 매출처는 국내 및 동남아시아, 유럽 등이다. 특히 중국법인의 경우 원가 절감을 위한 현지화 프로젝트를 진행중으로 주요 고객사로는 지멘스(Siemens) 외 유수 업체 등이다. 

회사 관계자에 따르면 "경영 정상화와 고객 신뢰 강화를 위해 강도 높은 쇄신과 경영혁신을 병행한 결과, 실적 개선의 성과를 보이고 있다"며 "앞으로도 고객 만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주주 가치 제고와 R&D를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70.41억으로 전년대비 24.39% 증가. 영업이익은 121.73억으로 159.75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63.81억으로 315.01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반도체 후공정 장비 전문기업 미래산업이 반도체 클러스트 L 벨트 중심에 있는 기흥공장 인수를 총 450억원에 인수했다.

1월23일 미래산업에 따르면 이번에 인수한 공장은 공장 토지면적은 1만8476㎡(제곱미터, 약 5600평), 건물면적은 1만1493㎡(약 3485평)으로 지하 1층에서 지상 4층으로 구성된다. 인수 절차는 지난 22일 마무리했다.

미래산업은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 등을 올해 2분기경 마무리 될 예정이다. 해당 공장 인수는 신규제품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R&D) 연구시설과 반도체 관련 인력 충원, 일부 품목 생산을 위한 것으로 향후 복합 센터로 운영할 계획이다.

공장은 삼성전자 기흥캠퍼스와는 차로 10분 거리에 있는 곳으로 경부고속도로와 용인-서울고속도로를 연결하는 기흥IC 인근에 위치해 물류 효율성과 운송 비용 절감에도 유리한 지리적 이점을 가지고 있다. GTX-A와 SRT가 지나는 동탄역과도 가까워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며 주변에 생활 편의시설과 교육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는 평가다.

미래산업 관계자는 "매매대금 전액을 지급 완료했으며 이는 향후 테스트 핸들러(Test Handler) 및 표면실장기술(SMT) 시장 선점과 생산성 향상을 하고자 하는 의지가 반영된 결정"이라며 "그래픽처리장치(GPU)와 같은 인공지능(AI) 지원 칩에 대한 강력한 수요와 낸드플래시 업계의 점진적인 업황 회복으로 시스템메모리(DRAM) 또한 빠르게 재고를 소진하면서 가격이 반등하는 등 반도체 산업의 회복이 예상돼 차세대 시장 선점을 위해 신제품 개발을 활발히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미래산업(025560)은 반도체 검사 장비 공급 계약에 관한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을 지난 12월02일에 공시했다.계약 상대방은 CXMT이고, 계약금액은 12.9억원 규모로 최근 미래산업 매출액 217.4억원 대비 약  5.93 % 수준이다. 이번 계약의 기간은 2024년 12월 02일 부터 2024년 12월 20일까지로 약 0개월이다.



반도체 후공정 전문기업 미래산업의 주요 거래처 중 한 곳인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가 미국의 반도체 수출 규제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하반기에도 추가 수주 전망이 긍정적이라고 지난 12월2일 밝혔다.

미래산업은 올해 CXMT와 세 차례에 걸쳐 약 74억 원 규모의 테스트핸들러 제품을 공급계약을 맺어 일부는 납품 진행 중이다. 엔비디아를 주 고객사로 두고 있는 SK하이닉스와 최근 24억 원 규모의 반도체 검사 장비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한다.

미래산업은 반도체 후공정 검사 장비와 표면실장 기술(SMT)을 기반으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최근 용인시 기흥구에 있는 공장을 인수하며, 생산능력을 60% 이상 확대할 계획으로 이를 통해 시장 내 점유율을 높이고 추가적인 글로벌 수주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중국 및 미국 시장에서의 수익성을 강화하기 위해 기술투자와 생산 효율화를 병행하고 있다.



미래산업은 연결재무제표 기준 3분기 누적매출 172억, 영업이익 82억원을 달성했다고 작년 10월30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동기와 비교해 매출은 소폭 줄고 영업이익은 8배 가량 늘어난 수준이다. 

주요 요인은 기(旣) 확보한 수주 잔고의 매출 촉진과 신규 수주의 확대로 분석된다. 

최근 회사는 SK하이닉스에 반도체 검사장비를 납품을 했으며 창신반도체(CXMT)와 독일 인피니언 등에도 지속적으로 장비를 납품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이러한 수주 증가 추세는 고객 만족 활동을 기반으로 한 꾸준한 생산성 효율화 및 고부가가치 제품 수주 확대를 통한 수익성 개선 활동의 결과물”이라며 “앞으로 미래산업의 주주가치와 기업가치 극대화를 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2023년 코스닥상장회사인 넥스턴바이오사이언스로 최대주주 및 경영진이 변경되면서 모든 임직원들이 2024년을 흑자전환 원년으로 삼기 위해 원가절감 활동 및 운영 효율화 활동을 지속적으로 펼쳐 나가고 있으며, 생산 효율화 및 고부가가치 반도체 장비 수주 확대 통한 수익성 개선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래산업(025560)은 반도체 검사 장비 부속품 공급 계약에 관한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을 작년 9월02일에 공시했다.계약 상대방은 CXMT이고, 계약금액은 11억원 규모로 최근 미래산업 매출액 217.4억원 대비 약  5.04 % 수준이다. 이번 계약의 기간은 2024년 09월 02일 부터 2024년 12월 23일까지로 약 3개월이다.



작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62.41억으로 전년동기대비 27.65% 감소. 영업이익은 74.06억으로 551.94% 증가. 당기순이익은 74.57억으로 2.47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연결기준 올 3분기 누적매출액은 172.92억으로 전년동기대비 9.58% 감소. 영업이익은 82.14억으로 706.88% 증가. 당기순이익은 41.48억으로 132.76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미래산업(025560)은 차량용 반도체 세계 1위인 독일 인피니언과 중국 창신메모리와 각각 15억원 및 59억원 규모의 반도체 검사장비 관련 수주계약을 체결하였다고 작년 8월23일 밝혔다. 지난해 매출의 33.67%다. 

독일에 본사를 둔 인피니언은 차량용 반도체 세계 1위인 기업으로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등 미래 모빌리티 이외에 재생 에너지와 데이터 센터용 전력반도체, loT 등의 시스템 반도체를 설계하고 생산한다. 2023년 기준 글로벌 반도체 제조 회사 중 매출 9위에 랭크한 바 있다. 차량용 반도체 이외에 산업, 전력 시스템 반도체도 설계 및 생산하고 있다. 

올해 하반기부터 중국 DRAM 종합 반도체 회사 창신메모리 투자가 본격화되고 진행되는 프로젝트 증가로 인하여 2025년 투자 물량은 24년 대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미래산업 관계자는 “올 6월에 창신메모리와도 두 차례에 걸쳐 약 15억 원 규모의 테스트핸들러 제품을 납품한 바 있다”며 ”인공지능(AI) 서버 수요 증가에 따른 고대역폭메모리(HBM) 확대 등으로 반도체 산업이 전반적인 개선을 보이고 있는 만큼 고객사와의 안정적인 공급 계약을 통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하반기에도 수주 전망이 긍정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반도체 후 공정 장비회사인 미래산업(025560)(대표이사 이창재)은 SK하이닉스(000660)와 13억원 규모 반도체 검사장비 관련 수주계약을 체결하였다고 작년 6월20일 밝혔다.  

수주 계약은 지난해 미래산업 매출액의 6%에 달하는 규모다. 미래산업은 8월 30일까지 장비를 공급할 예정이다.  

관계자는 “올해 CXMT(ChangXin Memory Technologies)와도 수 차례에 걸쳐 약 15억 원 규모의 테스트핸들러(Test Handler) 제품의 납품 준비중”이라며 ”반도체 산업의 전반적인 업황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고객사와의 안정적인 공급 계약을 통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수주 전망이 긍정적이라고 본다“고 전했다. 

한편 미래산업의 최대주주는 넥스턴바이오(089140)다. 보통주 290만6508주(9.6%)와 제8회 CB 100억원과 제9회 CB 26억원 중 21억원을 보유하고 있다. 만일 제8회차 100억원과 제9회차 26억원이 모두 주식으로 전환될 경우 넥스턴바이오가 미래산업에 보유한 보통주는 846만8731주가 될 예정이며 이는 전체 주식 총수인 3622만9636주의 23.4%에 해당한다. 



반도체 후공정 장비회사 미래산업이 급변하는 시장 변화에 대응하고 고객사들에 대한 대응력 강화를 위해 본격 행동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테스트핸들러 장비인 MH5 등 다양한 검사장비 개발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5월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반도체 관련 종목들이 인공지능(AI) 서버 수요 증가에 따른 고대역폭메모리(HBM) 확대 등 전반적인 업황 개선 전망을 보이고 있다. 최근 미래산업도 실적 개선에 성공했다. 미래산업은 최근 1분기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은 51억6000만원을 기록하고, 같은 기간 영업손실에서 영업이익 20억3000만원으로 흑자 전환했다고 공시했다.미래산업이 독자기술로 개발한 테스트핸들러 장비로 향후 수익성도 개선하겠다는 목표다. 이 장비는 모든 공정을 마친 반도체의 성능이나 불량 등을 검사하기 위해 테스터와 연결해 반도체 소자를 검사하고 검사결과에 따라 등급별로 분류하는 장비다.미래산업 관계자는 "테스트핸들러 장비인 MH5 등을 신규개발하고 다양한 검사장비를 개발해 시장점유율 확대를 위해 노력하겠다"며 "연구개발(R&D)과 설비투자 확대의 어려움이 있었는데 산업은행 금융지원 프로그램 신청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7.39억으로 전년대비 61.30% 감소. 영업이익은 175.10억 적자로 80.05억에서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330.37억 적자로 80.23억에서 적자전환. 


반도체 검사장비(Test Handler) 및 표면실장장비(Chip Mounter) 생산업체. 주요 매출처는 YMTC, MSV Systems & Services PTE LTD 등. 마스크 제조 자동화 제품(MRM Series)도 출시. 최대주주는 넥스턴바이오사이언스(9.55%).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561.72억으로 16.21% 증가. 영업이익은 80.05억으로 5.68% 감소. 당기순이익은 80.23억으로 7.12% 증가. 


작년 12월5일 753원에서 최저점을 찍은 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을 높혀오는 중으로, 저점에선 매수 관점이 유효할듯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742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772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854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94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 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

하단영역

씽크풀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투자에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또한 이용자는 본 정보를 무단 복사, 전재 할 수 없습니다.

씽크풀은 정식 금융투자업자가 아닌 유사투자자문업자로 개별적인 투자상담과 자금운용이 불가합니다.
본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모든 정보는 투자판단의 참고자료로 원금 손실이 발생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씽크풀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70, 15층 (여의도동, 미원빌딩)

고객센터 1666-6300 사업자 등록번호 116-81-54775 대표 : 김동진

Copyright since 1999 © ThinkPool Co.,Lt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