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공시
中 딥시크 덕에 뛴 네이버·카카오…잘 나가던 전력 인프라는 급락
2025/01/31 18:13 한국경제
[ 선한결/이시은 기자 ] 중국 딥시크가 내놓은 ‘가성비 인공지능(AI)&r
squo;이 국내 증시를 뒤흔들고 있다. 중국 AI산업이 커지면서 이득을 볼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 주가는 일제히 치솟은 반면 그간 상승세가 뚜렷하던 전력 인프
라주는 나란히 내리막길을 탔다.○中 반도체 소부장 ‘상한가 직행&rsquo
;
31일 코스닥시장에선 중국 관련 반도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관련주가 일제히 가격제한폭까지 치솟았다. 딥시크를 비롯한 중국 AI기업이 미 국 빅테크의 대항마로 급부상하자 중국 AI 밸류체인(가치사슬)에 속한 기업이 수혜를 볼 것이란 예상에서다.
GRT는 개장 직후 가격제한폭(29.92%)으로 직행해 4255원에 마감했다. 이 기업은 반도체 제조공정 중 웨이퍼 절단 과정에 쓰이는 보호 필름 등 정밀 코팅 기능 성 소재를 생산한다. 작년엔 딥시크의 파트너사로 알려진 중국 AI 서버업체 낭 조정보와 9000만위안(약 180억원) 규모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엠케이전자(29.97%) 피델릭스(29.96%)도 급등했다. 반도체 설계기업(팹리스) 피 델릭스는 중국 둥신반도체가 최대주주(지분율 30.2%)로, 중국 최대 반도체 생산 기업 SMIC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엠케이전자는 중국 쿤산을 거점으로 현지 반도체 후공정업체에 소재를 공급한다.○소프트웨어주 웃고 전력주 울상 그동안 글로벌 ‘AI 붐’에서 소외됐던 국내 정보기술(IT) 소프트웨 어(SW) 기업 주가도 줄상승했다. 딥시크 등 가성비 AI 모델을 바탕으로 비용 부 담을 줄여 AI 서비스를 개발·운영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다 . 인스웨이브시스템즈(22.68%), 솔트룩스(18.16%), 이스트소프트(11.47%) 등 중 소·중견 SW기업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AI사업 투자 규모에 비해 마땅 한 수익 모델을 찾지 못해 주가가 지지부진하던 네이버(6.13%) 카카오(7.27%)도 상승세를 탔다.
AI 데이터기업 플리토는 주가가 가격제한폭인 29.91%까지 뛰었다. 이 기업은 수 집·정제한 언어 데이터를 IT기업에 판매한다. AI사업에 도전하는 기업이 늘어날수록 고객사가 많아지는 구조다.
HD현대일렉트릭(-7.87%)과 LS일렉트릭(-5.33%) 등 전력주, 소형모듈원전(SMR) 사업을 벌이는 두산에너빌리티(-3.24%) 등은 약세를 면치 못했다. 딥시크가 저 성능 반도체로도 챗GPT AI와 맞먹는 성능을 낼 수 있다고 주장한 만큼 글로벌 전력 수요가 기존 예상보다 적을 것이란 우려가 일각에서 제기된 영향이다.○& ldquo;당분간 변동성 지속 가능성” 증권가에선 딥시크 충격에 따른 변동성이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종욱 삼성증권 연구원은 “딥시크의 등장 이후 일부 조정받는 종목은 주가 밸류에이션 부담과 거시 변수 우려 등의 영향을 복합적으로 받을 것”이 라며 “당분간 조정이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음 주 구글 아마존 등 주요 기업의 실적 발표가 투자심리의 관건이 될 것”이 라고 말했다.
일부 딥시크 관련주는 테마성 움직임을 보이는 점도 주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개인투자자의 학습 효과로 주가가 급등락하는 종목이 몇 개로 굳어졌다”며 “언제 차익 실현이 몰릴지 예측 불가 능해 투자 난도가 높아졌다”고 말했다.
선한결/이시은 기자
ⓒ 한국경제 & hankyung. 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31일 코스닥시장에선 중국 관련 반도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관련주가 일제히 가격제한폭까지 치솟았다. 딥시크를 비롯한 중국 AI기업이 미 국 빅테크의 대항마로 급부상하자 중국 AI 밸류체인(가치사슬)에 속한 기업이 수혜를 볼 것이란 예상에서다.
GRT는 개장 직후 가격제한폭(29.92%)으로 직행해 4255원에 마감했다. 이 기업은 반도체 제조공정 중 웨이퍼 절단 과정에 쓰이는 보호 필름 등 정밀 코팅 기능 성 소재를 생산한다. 작년엔 딥시크의 파트너사로 알려진 중국 AI 서버업체 낭 조정보와 9000만위안(약 180억원) 규모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엠케이전자(29.97%) 피델릭스(29.96%)도 급등했다. 반도체 설계기업(팹리스) 피 델릭스는 중국 둥신반도체가 최대주주(지분율 30.2%)로, 중국 최대 반도체 생산 기업 SMIC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엠케이전자는 중국 쿤산을 거점으로 현지 반도체 후공정업체에 소재를 공급한다.○소프트웨어주 웃고 전력주 울상 그동안 글로벌 ‘AI 붐’에서 소외됐던 국내 정보기술(IT) 소프트웨 어(SW) 기업 주가도 줄상승했다. 딥시크 등 가성비 AI 모델을 바탕으로 비용 부 담을 줄여 AI 서비스를 개발·운영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다 . 인스웨이브시스템즈(22.68%), 솔트룩스(18.16%), 이스트소프트(11.47%) 등 중 소·중견 SW기업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AI사업 투자 규모에 비해 마땅 한 수익 모델을 찾지 못해 주가가 지지부진하던 네이버(6.13%) 카카오(7.27%)도 상승세를 탔다.
AI 데이터기업 플리토는 주가가 가격제한폭인 29.91%까지 뛰었다. 이 기업은 수 집·정제한 언어 데이터를 IT기업에 판매한다. AI사업에 도전하는 기업이 늘어날수록 고객사가 많아지는 구조다.
HD현대일렉트릭(-7.87%)과 LS일렉트릭(-5.33%) 등 전력주, 소형모듈원전(SMR) 사업을 벌이는 두산에너빌리티(-3.24%) 등은 약세를 면치 못했다. 딥시크가 저 성능 반도체로도 챗GPT AI와 맞먹는 성능을 낼 수 있다고 주장한 만큼 글로벌 전력 수요가 기존 예상보다 적을 것이란 우려가 일각에서 제기된 영향이다.○& ldquo;당분간 변동성 지속 가능성” 증권가에선 딥시크 충격에 따른 변동성이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종욱 삼성증권 연구원은 “딥시크의 등장 이후 일부 조정받는 종목은 주가 밸류에이션 부담과 거시 변수 우려 등의 영향을 복합적으로 받을 것”이 라며 “당분간 조정이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음 주 구글 아마존 등 주요 기업의 실적 발표가 투자심리의 관건이 될 것”이 라고 말했다.
일부 딥시크 관련주는 테마성 움직임을 보이는 점도 주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개인투자자의 학습 효과로 주가가 급등락하는 종목이 몇 개로 굳어졌다”며 “언제 차익 실현이 몰릴지 예측 불가 능해 투자 난도가 높아졌다”고 말했다.
선한결/이시은 기자
ⓒ 한국경제 & hankyung. 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속보
- [실적속보]인스웨이브시스템즈, 작년 4Q 매출액 94.3억(-21%) 영업이익 -1400만(적자전환) (연결) 라씨로
- 中 딥시크 덕에 뛴 네이버·카카오…잘 나가던 전력 인프라는 급락 한국경제
- 라온메디, 美 FDA 승인 AI 의료 기술로 48.5억원 투자유치 뉴스핌
- 특징주, 인스웨이브시스템즈-AI 챗봇(챗GPT 등) 테마 상승세에 19.84% ↑ 라씨로
- '인스웨이브시스템즈' 10% 이상 상승, 외국인 3일 연속 순매수(5.6만주) 라씨로
- 특징주, 인스웨이브시스템즈-AI 챗봇(챗GPT 등) 테마 상승세에 7.23% ↑ 라씨로
- '인스웨이브시스템즈' 10% 이상 상승, 외국인 4일 연속 순매수(3.5만주) 라씨로
- 인스웨이브, 신기술사업금융업 진출…"100억 투자로 더웨이브캐피탈 설립" 뉴스핌
- [실적속보]인스웨이브시스템즈, 올해 3Q 매출액 90.7억(+35%) 영업이익 1.5억(-65%) (연결) 라씨로
- [주요주주 지분공시]어세룡 대표이사, 인스웨이브시스템즈의 지분율 6.12% 축소 라씨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