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공시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스스로 입증했다." 미국의 유력 경제 매체 '포브스'가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사태를 보고 평가한 글입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우리나라의 정치적인 상황, 재벌 기업의 의존도, 경직된 노동시장 등을 이유로 실제 보다 한국의 주가 가치를 낮게 책정하는 것을 의미하죠. 실제로 계엄사태에 이어 탄핵정국으로 이어지면서 지난 20일 코스피 2400선이 붕괴되는 등 여파가 심각합니다. 기업들이 경영하기 매우 어려운 상황인 것은 사실인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업가치 제고에 힘을 쏟고 있는 기업이 있습니다. 바로 LG전자(066570)입니다.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 [사진=뉴스핌DB] |
LG전자는 국회에서 탄핵소추안이 통과된 지 사흘 후 올해에만 두 번째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내놨습니다. 2차 계획의 주요 내용은 내년에 자사주 76만1000주를 소각하고, 인도법인 상장을 공식화한 것입니다. 1차 계획은 두 달 전인 지난 10월에 나왔는데요. 1차에서는 이른 바 '7·7·7' 계획의 세부 계획을 밝혔습니다. '7·7·7'은 2030년까지 연평균성장률 7%, 영업이익률 7%, 기업가치 대비 상각전영업이익(EV/EBITDA) 멀티플 7배 달성을 뜻합니다. 또 2026년까지 3년간 당기순이익의 25% 이상을 주주환원에 사용하기로 했어요.
윤석열 정부를 떠나서 기업가치 제고는 재계 화두입니다. 많은 기업들이 그렇지만 LG전자도 이전 보다 주가가 많이 내려온 상태입니다. LG전자 주가는 지난 2021년 1월 장중 19만3000원까지 오른 적이 있습니다. 스마트폰 사업부를 철수할 것이란 소문이 돌았고, 전기차 부품, 로봇사업으로 체질을 개선하겠다고 밝히면서 시장의 기대치가 최고조에 이르던 때가 있었습니다. 지금은 20일 기준 8만6200원입니다. 1차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밝힐 때는 9만원대를 유지하고 있었는데, 지금은 8만원대로 밀려났죠. 비상계엄 사태 이전인 11월부터 이미 9만원선이 무너진 바 있습니다.
LG전자의 저조한 주가는 올 3분기 예상치를 밑돈 실적이 원인으로 꼽히기도 하는데요. LG전자는 올 3분기 매출 22조1764억원, 영업이익 7519억원을 기록했는데, 매출은 분기 기준 최고치였는데 영업이익이 1조원 가량 벌어들일 것이란 증권가 전망을 한참 빗나갔습니다. 해상운임 비용 증가와 원자재 값 상승, 늘어난 마케팅 비용이 원인이라는 분석을 내놨죠. 증권가는 올 4분기까지 이 같은 영향이 지속되면서 수익성에 영향을 줄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2025년형 'LG QNED TV' [사진=LG전자] |
하지만 LG전자는 실적 이전에 근본적인 디스카운트 요인이 있다고 분석했는데요. 바로 '가전 제조 기업'이라는 전통적인 이미지가 회사의 미래 성장 잠재력까지 깎아내리고 있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가전시장 자체 전망이 그렇게 밝지가 않습니다. TV,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핵심인 몇 가지 가전들을 뛰어넘는 새로운 기기가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그래서 최근 가전 트렌드는 새로운 기능 보다는 AI(인공지능) 접목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요. LG전자도 사실상 '렌탈' 서비스와 비슷한 '구독' 서비스를 앞세워 가전 교체 주기를 앞당기고 있습니다.
중국기업들의 공세도 무섭습니다. TV는 특히 LG전자가 기타 가전과 떼어서 사업을 운영할 정도로 중요한 가전인데, 100인치 이상 초대형 TV 시장은 이미 중국이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 LG하면 OLED TV죠. 그런데 이 OLED TV 시장도 기대보다 빠르게 크지 못하고 있어요. 기존 LCD TV 기술도 좋아지면서 소비자들이 느끼기에 OLED나 LCD나 유별난 차이점을 느끼지 못한다는 거예요. 로봇청소기 같은 분야는 이미 중국기업들의 차지가 됐죠.
이 같은 여러 이유로 LG전자는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서는 체질 개선이 가장 중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LG전자는 크게 B2B와 플랫폼 기반 서비스 사업, 유망 신사업을 중심으로 포트폴리오 전환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요, 연말 조직개편에서 그 방향성이 뚜렷하게 드러났습니다.
먼저 B2B 사업의 한 축을 담당해 온 냉난방공조(HVAC) 사업을 기존 H&A사업본부에서 분리해 ES(Eco Solution)사업본부로 출범시킨 것이 눈에 띄었죠. 새로 재편된 LG전자의 4개 사업본부 중 하나로 승격시킨 것입니다. ES사업본부는 전기차 충전사업까지 이관 받으면서 B2B 사업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합니다. 이 사업부서에서만 매출 1조원 이상을 일으켜서 유니콘 사업 규모로 키우겠다는 계획이에요. 또 해외 지역에서도 B2B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해외영업본부 산하에 B2B사업역량강화담당을 신설하기도 했습니다.
LG전자 공기 열원 히트펌프 '써마브이 R290 모노블럭' [사진=LG전자] |
플랫폼 사업은 기존 TV 사업을 주로 하던 HE(Home Entertainment) 사업본부가 MS(Media Entertainment Solution) 사업본부로 이름을 바꾸고 맡게 됐습니다. 다른 사업부서에서 하던 노트북, 모니터, 사이니지 사업부서를 이관 받아서 TV 사업과 통합 운영하며 하드웨어와 플랫폼에 시너지를 낸다는 계획이예요.
기존 가전 사업부인 H&A(Home Appliance & Air Solution) 사업본부는 HS(Home Appliance Solution) 사업본부로 이름을 바꾸고 AI 홈 솔루션 사업을 주도하기로 했고요, 자동차용 전장 사업부서인 VS(Vehicle component Solutions) 사업본부도 Vehicle Solution(차량용 솔루션) 사업본부로 이름을 바꿨습니다.
이 변화를 주도하는 것이 누구냐. 조주완 LG전자 대표이사 사장입니다. 조주완 사장은 스스로도 "기업가치를 올리기 위해 정말 진심"이라고 이야기했습니다.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여러 번 발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직접 발로 뛰고 있습니다. 조 사장은 기관투자사들이나 애널리스트들이 참석하는 국내외 기업설명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LG전자의 구조적인 변화와 지속가능한 성장을 열심히 설명한다고 합니다.
조주완 LG전자 대표이사 사장 [사진=LG전자] |
예상치 못했던 비상계엄과 이어진 탄핵정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이에 따른 격화되는 미중 갈등으로 국내외 경영환경이 말 그대로 너무나 불확실합니다. 조 사장은 최근 직원들을 만난 자리에서 "내년에는 최악의 상황을 고려한 시나리오에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할 정도로 상황이 녹록치 않은 것 같습니다. LG전자는 밸류업에 진심이기는 하지만 '코리아 밸류업 지수' 100개 종목에는 진입을 하지 못했는데요. 사업 뿐 만 아니라 LG전자의 기업가치 제고 계획도 큰 탈 없이 진행될지 지켜보겠습니다.
syu@newspim.com
[서영욱의 컴퍼니] "지금 아니면 도태"...AI 역량 결집한 SK[서영욱의 컴퍼니] LG CNS, 탄핵정국 뚫고 IPO 완주 가능할까
[서영욱의 컴퍼니] 삼성전자, 어쨌든 주사위는 던져졌다
조주완 LG전자 CEO의 자신감…"위기일수록 성장 기회 발견 집중"
LG그룹 사장단 인사 관전 포인트는 '조주완·정철동'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속보
- "800만 고객 공감 얻었다"…LG전자 앰버서더 1기 성료 뉴스핌
- LG전자, 스마트 TV로 보고 듣는 "LG 라디오 플러스" 서비스 시작 뉴스핌
- [서영욱의 컴퍼니] LG전자, "밸류업"은 정국을 가리지 않는다 뉴스핌
- LG전자, 장애인·시니어·어린이 찾아가는 "돌봄 서비스" 개시 뉴스핌
- 정부, 1조 규모 K-콘텐츠미디어 전략펀드 투자…삼성·LG 스마트TV 6억대 활용해 전세계 송출 뉴스핌
- LG전자, 세계 최초 무선투명 올레드 TV 글로벌 출시 뉴스핌
- [리포트 브리핑]LG전자, '기업가치제고는 긍정적' 목표가 150,000원 - 미래에셋증권 라씨로
- [리포트 브리핑]LG전자, '4Q24 비용 증가 예상. 약속의 1분기 기대' 목표가 140,000원 - 키움증권 라씨로
- 특징주, LG전자-전기차_충전 테마 상승세에 5.99% ↑ 라씨로
- 中 기업에 따라잡힐라…LG표 '경영 플레이북' 뭐길래 한국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