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공시
삼성SDI, 차세대 46파이 배터리 양산…'국내 최초'
2025/03/31 09:34 한국경제
삼성SDI가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로 불리는 46파이(지름 46㎜) 배터리
의 양산에 돌입했다. 국내 배터리 업체로는 이번이 최초로, 이미 해외 고객사를
확보한 데 이어 추후 공급처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삼성SDI는 최근 베트남 법인에서 4695(지름 46㎜, 높이 95㎜) 배터리 모듈 출하 식을 진행했다고 31일 밝혔다.
4695 배터리 셀은 천안사업장 마더라인에서 생산되며, 이를 베트남 법인에서 모 듈로 조립한 후 마이크로모빌리티용으로 미국의 고객사에 초도 물량을 공급한다 .
삼성SDI는 차별화된 제품 기술력 및 제조 경쟁력, 품질 역량을 바탕으로 당초 계획보다 1년 이상 앞당겨 46파이 배터리 양산을 시작했다.
삼성SDI의 46파이 배터리는 고용량 하이니켈 NCA(니켈, 코발트, 알루미늄) 양극 재와 독자 특허 소재인 SCN 음극재를 적용했다.
이를 통해 배터리가 부풀어 오르는 스웰링 현상을 줄이는 동시에 에너지 밀도를 높이고 수명을 늘렸으며, 안전성도 확보했다.
또 삼성SDI는 전극 끝부분을 여러 개의 탭으로 만들어 전류의 경로를 확장시키 는 '탭리스 기술'을 적용해 내부 저항을 약 90% 가량 낮추고 출력을 높 였다.
46파이 배터리는 기존 지름 21㎜, 높이 70㎜의 원통형 배터리 대비 에너지 용량 이 약 6배 이상 향상됐다. 더 적은 수의 배터리로도 애플리케이션(앱)이 요구하 는 용량을 구현할 수 있다.
앞서 삼성SDI는 이달 초 코엑스에서 열린 '인터배터리 2025'에서 다양 한 46파이 제품 라인업을 선보이면서 올 1분기 내 양산에 돌입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삼성SDI는 주요 전기차 고객들과도 활발하게 46파이 배터리 관련 프로젝트를 논 의하고 있다. 이번 공급을 시작으로 추후 전기차에서도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46파이 배터리 시장은 올해 155GWh에서 2030 년650GWh까지 확대해 연평균 33%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SDI 관계자는 "이번 46파이 배터리 양산과 초도 공급을 통해 제품 포 트폴리오가 한층 다변화됐다"며 "차별화된 제조 경쟁력과 품질로 시 장 우위를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 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삼성SDI는 최근 베트남 법인에서 4695(지름 46㎜, 높이 95㎜) 배터리 모듈 출하 식을 진행했다고 31일 밝혔다.
4695 배터리 셀은 천안사업장 마더라인에서 생산되며, 이를 베트남 법인에서 모 듈로 조립한 후 마이크로모빌리티용으로 미국의 고객사에 초도 물량을 공급한다 .
삼성SDI는 차별화된 제품 기술력 및 제조 경쟁력, 품질 역량을 바탕으로 당초 계획보다 1년 이상 앞당겨 46파이 배터리 양산을 시작했다.
삼성SDI의 46파이 배터리는 고용량 하이니켈 NCA(니켈, 코발트, 알루미늄) 양극 재와 독자 특허 소재인 SCN 음극재를 적용했다.
이를 통해 배터리가 부풀어 오르는 스웰링 현상을 줄이는 동시에 에너지 밀도를 높이고 수명을 늘렸으며, 안전성도 확보했다.
또 삼성SDI는 전극 끝부분을 여러 개의 탭으로 만들어 전류의 경로를 확장시키 는 '탭리스 기술'을 적용해 내부 저항을 약 90% 가량 낮추고 출력을 높 였다.
46파이 배터리는 기존 지름 21㎜, 높이 70㎜의 원통형 배터리 대비 에너지 용량 이 약 6배 이상 향상됐다. 더 적은 수의 배터리로도 애플리케이션(앱)이 요구하 는 용량을 구현할 수 있다.
앞서 삼성SDI는 이달 초 코엑스에서 열린 '인터배터리 2025'에서 다양 한 46파이 제품 라인업을 선보이면서 올 1분기 내 양산에 돌입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삼성SDI는 주요 전기차 고객들과도 활발하게 46파이 배터리 관련 프로젝트를 논 의하고 있다. 이번 공급을 시작으로 추후 전기차에서도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46파이 배터리 시장은 올해 155GWh에서 2030 년650GWh까지 확대해 연평균 33%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SDI 관계자는 "이번 46파이 배터리 양산과 초도 공급을 통해 제품 포 트폴리오가 한층 다변화됐다"며 "차별화된 제조 경쟁력과 품질로 시 장 우위를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 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속보
- [리포트 브리핑]삼성SDI, '기대치 하회, 2분기 이후 회복 기대' 목표가 300,000원 - 상상인증권 라씨로
- [리포트 브리핑]삼성SDI, '1분기 저점 확인 구간' 목표가 260,000원 - 신한투자증권 라씨로
- [리포트 브리핑]삼성SDI, '지난 25년 동안 있었던 3번의 저점' 목표가 280,000원 - 미래에셋증권 라씨로
- '삼성SDI' 5% 이상 상승, 1분기 Preview, 좋지 않다 - LS증권, HOLD 라씨로
- 관세 유예에 테슬라 22% 폭등…국내 2차전지株 '들썩' 한국경제
- [개장시황] 장 초반 보합권…"외인 수급 주의" 뉴스핌
- 국내 배터리3사, 1·2월 글로벌 점유율 5.5%p 하락 뉴스핌
- [개장시황] 코스피, 장 초반 2%대 반등…"저가매수세 유입" 뉴스핌
- SK온, 2028년 상장 준비 속도..."배터리사업 수익개선" 관건 뉴스핌
- [마감시황] 코스피, 尹 파면에도 2640선 후퇴…외인 1.8조 "썰물" 뉴스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