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정보

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본격적인 상승 국면에 진입~~!!~~!!!마지막 물량확보 기회!!~~!!~~**~~

작성자 정보

장군

게시글 정보

조회 53 2024/02/13 09:59

게시글 내용



엔켐은 LG에너지솔루션, SK온 등 K-배터리 기업을 비롯해 북미시장에 진출한 다양한 글로벌 탑티어 고객들을 대상으로 제품 납품을 연이어 확정하고 있다고 1월25일 밝혔다. 엔켐은 지난 2019년 현지 법인 '엔켐아메리카'를 설립한 이래 과감한 '선제적 투자' 전략을 이어오며 북미 이차전지 시장에서 핵심 소재 기업으로 자리잡는 데 성공했다. 2020년 조지아에 소재한 도요타 공장 부지를 매입한 엔켐은 2년 만에 북미 제1공장을 완공했다. 이를 통해 엔켐 당시 국내 업체 중 유일하게 대규모 '현지생산-현지 공급' 체계를 구축했다. 시장을 선점한 엔켐은 기존 대규모 공장 운영 노하우와 즉시 대응 가능한 대규모 생산능력(CAPA)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했으며 현재 북미시장에서 역내 전해액 공급을 주도하고 있다. 엔켐의 조지아 공장은 연간 4만톤 규모의 전해액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북미에 있는 전해액 공장 중 가장 큰 규모다. 부지 크기만 해도 여의도 전체 면적의 4분의 1인 약 35만평(114만1000㎡)에 달한다. 연간 2만톤 규모의 NMP 공장도 이곳에 위치해 있다. 엔켐은 올해 말까지 1차적으로 조지아 공장을 연간 10만톤 규모로 증설할 계획이다. 이어 내년 말까지 총 20만톤 규모로 생산능력을 확대해 향후 서부에 건설을 추진 중인 제2공장이 완공되기 전까지 북미 전역을 커버할 방침이다. 엔켐은 "엔켐의 조지아 공장은 엔켐이 북미시장에서 초기에 빠르게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었던 가장 큰 경쟁력"이라며 "아직까지도 조지아 공장은 북미시장에서 현존하는 유일한 대규모 전해액 공장으로 강력한 진입장벽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회사는 이어 "최근 조지아 공장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해외우려기업(FEOC) 세부 지침 공개 이후 시장에서 더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며 "이미 확보된 대규모 증설 가능 부지와 자동화 공정, 독보적인 대규모 공장 운용능력은 비교할 수 없는 엔켐의 큰 자산"이라고 강조했다. 엔켐의 조지아 공장은 지난해 3월 SK온 조지아 공장에 전해액 초도 납품을 시작으로 같은 해 8월 LG에너지솔루션과 GM의 합작법인인 '얼티엄셀즈'의 오하이오 공장에도 제품 공급을 개시했다. 엔켐은 올해 네바다주에 소재한 일본 배터리 기업과 SK온과 포드의 합작법인 '블루오벌(켄터키주)', 얼티엄셀즈의 제2공장(테네시주)에 제품 공급을 준비 중이다. 이와 함께 엔켐은 보다 효율적인 현지 생산·공급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미국 동부와 서부를 중심으로한 '핀셋 전략'도 추진하고 있다. 이는 엔켐이 북미시장을 보다 세분화하고 고객 맞춤 영업 전략이 수반된 건설 및 증설 계획을 펼치겠다는 전략적 의도 에서다. 현재 북미시장에서 선진입 효과로 초기 레퍼런스를 확보해 나가고 있는 만큼 앞으로 운영 전략 또한 중요한 포인트가 될 것이라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엔켐은 "향후 엔켐은 메인 공장인 조지아 공장을 중심으로 동부와 서부, 북부 지역까지 사이트 전략 아래 북미시장 공략의 폭을 더욱 더 빠르게 확대해 나가는 것이 목표"라며 "현재 추진 중인 테네시 공장 외에도 캐나다 온타리오 지역에 추가 전해액 공장을 짓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이 중국 자본의 지분율이 25%를 넘는 합작사를 '해외우려기관(FEOC)'으로 지정하며,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혜택 제외를 예고한 가운데 국내 배터리 업계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탈중국 기조가 불가피한 현시점에서 수혜 종목 발굴에 집중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지난 12월4일 증시에서 에코프로는 전 거래일보다 5만7000원(7.87%) 내린 66만7000원에 거래를 마무리했다. 이날 LG화학도 2.77% 하락한 주가를 보였다. 포스코 그룹주 포스코인터내셔널(1.44%)과 포스코DX(0.38%)도 동반 하락 마감했다.  

해당 종목들이 약세를 보인 건 미국 정부가 다음달부터 IRA의 FEOC에 관한 세부 규정을 새롭게 적용하기로 결정하면서다. FEOC가 제조한 배터리 부품(셀, 모듈, 분리막, 전해액 등)을 적용해 만든 전기차에는 대당 7500달러의 보조금을 제공하지 않겠다는 내용이다. 

그간 국내 배터리 기업들은 중국 기업들과 합작사를 설립해 원재료 공급처를 확보해왔다. 에코프로 그룹은 거린메이(GEM)와 새만금에 전구체 생산을 위한 합작법인을 설립 계획을 세웠다. LG화학도 중국 화유코발트와 전구체 합작 공장 설립을 결정한 바 있다. 

POSCO홀딩스는 포스코퓨처엠, 중국 CNGR과 경상북도 포항에 이차전지용 니켈, 전구체 생산 공장을 짓기로 했다. 현재까지 국내 업체가 중국 업체들과 협업해 만든 합작사의 경우 대부분 FEOC에 해당되기 때문에 추가 지분 확보 등 대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배터리 업계에 가해진 부담은 단기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정원석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정부의 해외우려집단 세부 규정 발표로 국내 업체들로서는 후속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부담이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데 지분 확보를 위해 대규모 자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주도권을 완전히 빼앗기고 싶지 않은 중국 업체들이 지분을 쉽게 내놓을지에 대한 부분도 확인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특히 음극재로 사용되는 인조 흑연은 대중국 수입 비중이 90%~95% 수준에 달한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공급망개선이 이뤄진다면 중장기적 관점에서는 긍정적인 효과를 볼수 있다는 기대감도 나온다. 중국을 겨냥한 비교적 엄격한 기준이 적용되면 북미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에서 국내 배터리 밸류체인(가치사슬)의 시장지배력이 확대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전창현 대신증권 연구원은 "장기적으로 중국자본의 시장 침투 제한으로 북미 내 K배터리 시장 점유율 유지 혹은 확대가 기대 요인"이라며 "FEOC 관련 불확실성 해소로 비규제 대상 기업들의 투자 재개 및 가속화도 예상해볼 수 있다"고 언급했다. 

'탈중국'을 위한 국내 배터리 기업들의 체질 개선이 불가피한 가운데 일각에서는 수혜주 찾기에 열을 올린다. 탈중국의 효과는 음극재, 분리막, 전해액, 전해질염, 전해질 첨가제 업종이 크게 볼 것으로 관측된다. 원재료의 중국 의존도를 낮춰야 하는 만큼 국내 업체에는 기회다. 

하이투자증권은 △흑연 음극재 생산업체 포스코퓨처엠 △분리막 생산업체 SK아이이테크놀로지·더블유씨피 △전해액 생산 업체 엔켐, 동화일렉트로라이트, 솔브레인 △LiPF6 전해질염 생산업체 후성 △F/P 전해질 염및 첨가제 생산업체 천보에 주목했다. 

이와 관련 정 연구원은 "북미 시장을 노리는 배터리 셀 업체들도 중국 의존도가 높은 핵심 소재, 원재료에 대한 새로운 공급망 구축이 필수적"이라며 "중국 의존도를 낮춰 IRA 법 조건에 충족할 수 있도록 해야하며 해당 종목들의 중장기 수혜 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고 했다. 



중앙첨단소재와 엔켐의 합작법인 이디엘(EDL)은 리튬염(LiPF6) 생산 사업을 가속화하기 위한 글로벌 업체 인수가 임박했다고 작년 11월22일 밝혔다. 현재 이디엘(EDL)이 인수를 추진 중인 해당 기업은 상해 거래소에 상장된 글로벌 비철금속 제조회사의 자회사다. 해당 업체를 인수할 경우 이디엘(EDL)은 국내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도 최상위 수준의 리튬염 제조·생산 역량을 확보할 전망이다.해당 업체는 연 8000톤 이상의 리튬염 생산능력(CAPA)을 보유하고 있다고 알려졌다. 연간 약 1500억 이상의 매출이 가능한 업체인 만큼 해당 업체를 인수할 시 매출을 재무제표에 반영할 수 있게 된다.또한, 리튬염의 원재료인 ‘불화리튬(Lithium Fluoride)’ 생산 능력 확보도 가능하다. 해당 기업은 리튬염 제조 공정 중 발생하는 부산물에 대한 높은 재활용 기술도 보유하고 있다. 리튬염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리튬 폐액은 불화물 폐액과 혼합·분리할 경우 불화리튬을 만들 수 있다. 이를 통해 경쟁사 대비 월등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회사관계자는 “현재 글로벌 리튬염 시장은 중국 기업들이 독점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며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리튬염 중 약 80%가 중국에서 만들어지고 있는 반면, 리튬염은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핵심 광물로 분류돼 탈중국화가 요구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그는 이어 “중국 기업들은리튬염 양산에 대한 높은 제조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인수 성공 시 이디엘(EDL)은 국내 1위, 글로벌 톱티어 기업으로 빠르게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며 “특히 새만금 국가산업단지 내 구축 중인 대규모 리튬염 제조 프로젝트에 큰 시너지를 낼 수 있을 전망”이라고 덧붙였다.한편, 시장 관계자에 따르면 오는 2025년 중국을 제외한 유럽과 북미의 리튬염 수요는 약 16만톤에 달할 전망이다. 반면,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리튬염 생산량은 약 2만1천톤에 불과해 공급부족(쇼티지) 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차전지 전해액 전문기업 엔켐이 중국 산둥성 짜오좡의 공장 2기 준공식을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작년 9월22일 밝혔다.  

신축 공장은 최첨단 제조 시설부터 별도의 연구실, 분석실이 구축돼 기존의 공장과는 차별화를 이뤘다는 평가다. 품질, 원가, 납기 등 고객사들의 다양한 요청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 및 품질 제어 자동화시스템'을 도입해 중국 정부가 요구하는 안전적·환경적 규제를 충족시켰다. 

엔켐 관계자는 "중국 핵심 관계자들이 신공장을 확인하고 적극적인 지원의사를 밝혔다"며 "엔켐의 현지 법인은 '국가급 고신기술 기업(?家?高新技?企?)'에 선정돼 한화로 약 10억원 규모의 지원금과 법인소득세 40% 감면 혜택을 받았다"고 말했다.  

이어 "원재료 수급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후방업체와의 파트너십도 재확인했다"며 "전략적 협력 체계를 기반으로 양사간 안정적 공급 체계 구축에 힘쓰고,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원재료를 공급받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이날 준공식에 참석한 주요 원재료 공급업체로는 세계 최대 리튬염 생산업체 'DFD', 글로벌 용매 업체 시다(Shida) 그룹, 글로벌 첨가제 업체 HSC뉴에너지 등이 있다. 엔켐은 해당 업체들과 지분 결합 등을 통해 협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이번 증설이 마무리되면 엔켐의 짜오좡 공장은 중국 내 단일 전해액 공장으로는 최대 규모가 된다.  

회사 관계자는 "엔켐은 기존의 한국, 미국, 폴란드 공장과 함께 중국, 헝가리 공장 등 글로벌 공급체계를 완성하게 됐다"며 "연간 40만톤 이상의 전해액 생산 능력(CAPA)을 확보함으로써 글로벌 Top3 전해액 회사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엔켐의 자회사인 전고체 배터리 전문기업 티디엘(TDL)은 오는 4분기 인도네시아 현지에서 2MW 규모의 '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BESS)' 구현 시범 사업을 시작으로 연내 본격적인 제품 생산에 돌입할 예정이라고 작년 9월18일 밝혔다. 이를 통해 티디엘은 현지 시장 공략 및 해외 매출 창출에 나설 예정이다.이번 시범 사업은 지난해 티디엘이 한국전력공사, 인도네시아전력공사(PT.PLN)와 3자 간 체결한 재생에너지 BESS 구축 사업의 일환이다. 해당 사업은 티디엘의 전고체 전해질 배터리 파우치가 장착된 BESS 양산품 개발 및 생산을 골자로 한다.특히, 향후 티디엘이 생산한 BESS는 실증특례 제도를 이용해 우리 지자체에도 공급될 전망이다. 한국전력공사가 해당 프로젝트에 공적개발원조(ODA)를 목적으로 참여했기 때문이다.이를 위해 최근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MEMR) 산하 '전기·신재생에너지·에너지 보존 조사·테스트 센터(BBSP)' 국장이 한국전력공사 본사에 직접 방문해 공급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도 우리 정부에 사업계획서(PCP)를 제출해 기획지원 단계에서 본사업 단계로의 전환이 진행 중이다.

티디엘 관계자는 "현재 동남아시아 시장은 한국과 중국계 배터리 기업들의 각축장으로, 전고체 배터리가 적용된 신기술 도입에 대한 기대가 가장 큰 지역"이라며 "티디엘은 양국의 주요 공기업들과 협력관계를 구축한 만큼 BESS를 시작으로 동남아시아 시장 공략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이와 별도로 티디엘은 외형 성장과 매출처 다변화를 목적으로 ▲웨어러블 장비 ▲드론 ▲의료기기 ▲방산용 전고체 배터리 납품도 추진 중이다. 대부분의 셀메이커가 전기차(EV) 및 ESS용 대형 배터리 시장에만 집중하고 있는 가운데, 티디엘이 추진 중인 분야는 성장성이 크지만 '니치 마켓(틈새 시장)'으로 분류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미국의 글로벌 기업 메타(페이스북)가 웨어러블 장비 개발을 목적으로 당사의 공장을 방문할 예정"이라며 "전고체 배터리는 이미 의료기기 산업에서 온도센서, 심장박동기, 스마트 패치 등 다양한 제품에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대형 배터리 대비 상용화 시기가 빠를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티디엘은 전고체 배터리와 관련해 40여건의 국내·외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도펀트(첨가물)를 이용한 합성 레시피부터 고체전해질을 양극에 적용하는 양극 복합화 기술, 전지 제조 기술 등 일련의 국내외 특허 로드맵을 구축하고 있다. 티디엘은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내년 상반기 기업공개(IPO)에 나설 예정이다. 



작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1104.70억으로 전년동기대비 26.91% 감소.영업이익은 6.36억으로 95.87% 감소. 당기순이익은 66.54억으로 69.68% 감소. 

3분기 누적 매출액은 3728.76억으로 0.98% 증가. 영업이익은 230.83억으로 548.37% 증가. 당기순이익은 177.41억으로 67.84% 감소.

 

      

글로벌 이차전지 전해액 전문기업 엔켐(348370)이 미국 내 핵심 생산거점인 조지아주 생산시설의 증설 계획이 순항하고 있다고 작년 9월12일 밝혔다. 엔켐은 미국을 비롯해 중국, 유럽 등 주요 거점이 확충되는 2025년에는 연간 약 3조 6천억원의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이는 지난 2020년 총 매출액 대비 약 30배가량 성장한 규모이며, 전년과 비교해도 약 7배 높은 수치다. 이를 위해 엔켐은 글로벌 셀 메이커뿐 아니라, 글로벌 완성차(OEM) 업체들에게도 제품을 직접 공급할 방침이다. 현재 엔켐은 미국(조지아), 중국(후저우·조장), 유럽(폴란드) 지역에 자체 전해액 생산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에는 현지 고객의 니즈와 생산 확대 계획에 발맞춰 적극적인 증설 작업을 추진 중이다. 이를 통해 글로벌 탑티어 고객사들과 한 층 공고한 파트너쉽을 구축한다는 의도에서다.

특히, 엔켐은 북미 시장에서의 생산 능력 확충에 집중하고 있다. 미국은 향후 10년간 글로벌 이차전지 소재 시장의 외형 성장을 주도할 국가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으로 인해 기존 중국 주도의 이차전지 소재 공급망이 미국 위주로 빠르게 재편되는 만큼, 엔켐은 미국을 중심으로 속도감 있게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엔켐은 기존 2만톤 규모의 생산능력(CAPA)을 보유한 조지아 공장을 연내 4만톤 규모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후 추가 증설을 통해 2024년말까지 총 20만톤 규모로 생산능력을 늘릴 방침이다. 글로벌 셀메이커들의 생산시설이 완공되는 2025년에는 텍사스주에 10만톤 규모의 생산시설도 구축할 계획이다.이를 통해 엔켐은 2025년까지 미국 내에서만 총 30만톤의 전해액 생산시설을 보유할 예정이다. 

선제적 증설과 시장 점유 확대로 엔켐은 2025년 북미 현지에서만 약 1조 8천억원가량의 매출을 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엔켐 관계자는 “현재 글로벌 생산능력 확충과 더불어 고객사 확장에도 전력을 다하고 있다”며 “탑티어 셀메이커는 물론, 전 세계 1위 전기차 업체 및 제너럴모터스(GM) 등 글로벌 OEM 업체들과도 활발한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그는 이어 “북미에서 중국산 광물 사용이 사실상 금지되는 2025년부터 엔켐은 IRA의 최대 수혜기업이 될 것”이라며 “연간 30만톤 규모의 생산능력을 바탕으로 북미시장 내 K-배터리 기업 등 약 11개 셀메이커 중 약 10개사에 납품하는 등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여줄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엔켐은 이와 함께 매출 구조도 대폭 개편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기존에는 약 50% 이상의 매출이 중국으로부터 발생했으며, 엔켐은 이를 통해 양적 성장을 이뤄왔다. 오는 2025년부터는 미국과 유럽이 전체 매출의 65%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액수로는 약 2조 2500억원에 달한다.

한편 엔켐은 중국 시장에서도 추진 중인 증설 계획이 완료되는 2025년부터 약 1조 2천억원의 매출액이 발생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엔켐은 연내 완공되는 장가항 중국 제3공장을 포함해 현재 약 12만톤 규모의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2차전지 및 EDLC용 전해액, 첨가제 제조 및 판매업체. 소형 2차전지용 전해액(휴대전화, 노트북, 전동공구, 무선청소기 등), 중대형 2차전지용 전해액(전기차, 에너지저장장치(ESS)), EDLC용 전해액(자동차, 엘리베이터 등)을 주력으로 생산. 아울러 해외 공장에서는 2차전지제조시 사용된 폐NMP를 리사이클링 하는 사업을 신규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지분을 취득한 용매 및 리튬염 업체와 합작사 설립을 통해 용매, 리튬염 제조 및 판매사업까지 사업 확장 준비 중. 최대주주는 오정강 외(31.74%).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5097.93억으로 전년대비 137.85% 증가. 영업이익은 153.63억으로 259.67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218.05억으로 194.67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2022년 7월4일 44100원에서 최저점을 찍은 후 작년 4월4일 94300원에서 고점을 찍고 조정에 들어간 모습에서 11월2일 49300원에서 마무리한 모습입니다. 이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23050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2400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2630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2900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 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

하단영역

씽크풀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투자에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또한 이용자는 본 정보를 무단 복사, 전재 할 수 없습니다.

씽크풀은 정식 금융투자업자가 아닌 유사투자자문업자로 개별적인 투자상담과 자금운용이 불가합니다.
본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모든 정보는 투자판단의 참고자료로 원금 손실이 발생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씽크풀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70, 15층 (여의도동, 미원빌딩)

고객센터 1666-6300 사업자 등록번호 116-81-54775 대표 : 김동진

Copyright since 1999 © ThinkPool Co.,Lt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