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저점을 줄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게시글 내용
이차전지 제조장비업체 엠플러스가 중장기적인 포트폴리오 확대해 '2030년 수주액 1조원 달성'에 집중하기로 했다.
7월2일 엠플러스에 따르면 회사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조립 장비를 턴키 공급한 것을 넘어서서, 이차전지 제조 분야에 있어서 모든 공정 장비와 솔루션을 납품하는 '토탈 솔루션 프로바이더'로 재도약할 계획이다.
이차전지 제조공정은 음·양극 전극을 제조하는 '극판공정', 극판공정에서 공급된 롤 형태의 전극 극판을 사양에 맞게 형상 및 용량을 제조하는 '조립공정', 조립공정에서 넘어온 전지셀에 특정 전압 및 전류를 패턴에 맞게 충·방전을 가함으로써 활성화 시키는 '활성화공정' 등으로 나뉜다.
엠플러스는 이차전지 제조장비중에서 파우치형 및 각형 타입의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 이차전지 조립공정 장비 제조를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부문 외에도 전고체와 리튬메탈 배터리, 수소연료전지 등 시장 요구와 기술 발전 트렌드에 맞는 기술 개발 등을 통해 시장에서의 기술 경쟁력 우위를 유지해 나갈 방침이다.
기술 경쟁력 우위의 근거로 제조사들이 조립 공정에 필요한 모든 장비를 '턴키' 방식으로 공급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했다.
회사는 이를 바탕으로 중국의 이차전지 제조장비 시장에 적극 대응하고, 헝가리·중국·미국 등 해외 공장을 운영하는 SK이노베이션의 전략에도 대응하고 있다.
또한 확장세가 예상되는 유럽시장을 대비해 영업력을 집중하고 있어 글로벌 이차전지시장에서 안정적인 매출 성장세를 시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 연결기준 매출은 127억원(2023년 1분기)에서 216억원(2024년 1분기)으로 70.1% 증가했다. 같은 기간 동안 영업이익은 7억원에서 29억원으로, 순이익은 16억원에서 37억원으로 각각 314.3%, 131.3% 급증했다. 특히 수출 비중은 98.5%(2021년), 97.0%(2022년), 95.7%(2023년) 등으로 높은 수준이다.
엠플러스 관계자는 "지속적인 수주 규모 확대에 따라 장비 제조 시 규모의 경제 실현을 통해 제조 원가를 효율적으로 절감하는 한편, 안정적인 수율의 장비를 적시에 납품하는 노력을 통해 재무구조를 개선시키고 있다"며 "캐즘(대중화 전 일시적 수요 둔화기) 국면은 일시적인 한편 중장기적으로 배터리 시장은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만큼 국면 돌파를 위한 신규 수주세가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엠플러스가 주력인 리튬이온 배터리 조립공정 장비에서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생산장비로 사업 영역을 확장한다.
전고체 배터리는 모든 소재가 고체로 이뤄지는 특성상 이온전도도를 높이기 위한 신규 공정이 추가되는데 여기에 필요한 고압 공정 장비를 자체 기술로 개발했다.
김종성 엠플러스 대표는 “롤프레스 방식으로 생산성을 높인 전고체 배터리 핵심공정 장비를 개발해 상용화를 앞뒀다”면서 “올해 하반기 미국 전고체 배터리 개발기업에 장비를 공급할 예정”이라고 5월27일 밝혔다.
이를 위해 현재 엠플러스는 1공장 내에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를 다루기 위한 드라이룸을 설치하고 관련 롤프레스 장비를 제작하고 있다.
전고체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사이 전해질을 액체에서 고체로 바꾼 배터리다. 발화나 폭발 위험이 없어 안전성이 우수하고 에너지 밀도가 높아 '꿈의 배터리'로 불린다.
다만 모든 소재가 고체로 이뤄지다보니 저항이 높은 것이 한계다. 배터리 성능을 좌우하는 이온 전도가 쉽지 않은 것이다. 이를 해결하려면 전극을 매우 높은 압력으로 눌러 소재간 밀도를 높이고 계면저항을 줄이는 초고압공정이 필요하다.
초고압공정에는 온간정수압프레스(WIP)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물이나 기름을 유체로 이용,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압력을 전달하는 장비를 활용한다. 다만 배터리셀을 밀봉하는 과정이 필요해 인라인 공정 구현이 어렵고 생산성이 높지 않은 것이 한계로 꼽힌다.
엠플러스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WIP가 아닌 롤프레스 방식으로 초고압 공정을 구현하는 장비를 개발했다. 회전하는 롤 사이로 전극을 흘려보내면서 압력을 가하는 방식이다.
고강호 엠플러스 기술연구소장은 “WIP는 모든 방향에서 동일한 압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으로는 이상적이지만 연속 생산이 어렵고 자동화 공정 구현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면서 “롤프레스 방식 고압 장비는 인라인 공정 구현이 가능한 것이 최대 강점으로 고속으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 측면에서 훨씬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롤프레스 장비는 위치마다 작용하는 압력이 다를 경우 소재 변형이 이뤄지고 배터리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 엠플러스는 전극 모든 부분에 동일한 압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롤의 크기, 롤의 개수, 배치 형태 등 설계를 시뮬레이션으로 최적화했다.
현재 고체전해질 소재로 황화물계, 음극에는 리튬메탈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표준화된 방식으로 거론된다. 이에 맞춰 엠플러스는 리튬메탈과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소재의 불안정성을 잘 제어하면서도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장비를 개발했다.
김 대표는 “엠플러스는 파우치형 리튬이온 배터리 조립공정의 표준을 제시한 업체”라면서 “세계 많은 배터리 제조사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전고체 배터리 양산에 도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최적의 공법을 제안하고 안정적인 양산을 지원해 기술 표준화를 선도하고 시장을 선점할 것”이라고 말했다.
회사는 신규 장비 개발로 확보한 롤프레스 기술을 활용, 건식코터와 프레싱 장비도 개발 중이다. 이를 통해 전극공정 장비 시장에도 진출한다는 복안이다.
이차전지 조립공정 자동화기기 부문 강소기업 엠플러스가 실적 개선세를 지속하며 올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69.7% 증가했다. 엠플러스는 2024년 1분기보고서를 통해 연결 기준 2024년 1분기 216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고 5월16일 밝혔다. 전년 동기인 2023년 1분기 127억원 대비 69.7% 증대됐다. 또한 영업이익은 29억원, 분기순이익은 37억원이다. 전년동기 대비 각각 331.8%, 125.2% 증가한 수치다. 엠플러스는 지난해 연간 영업손익 턴어라운드 이후 흑자 기조가 지속되고 있으며, 독보적인 기술력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글로벌 영업 성과가 반영된 결과라고 전했다.
엠플러스는 국내서 파우치형 배터리 조립 장비를 최초로 턴키(Turn-Key) 개발한 기업이다. 현재 중국 2차전지업체 '엔비전 AESC'그룹과 미국 배터리 기업 '아워넥스트에너지(ONE)' 등에 대한 신규 수주를 연이어가는 등 주요한 글로벌 기업들을 해외 고객사로 두고 있다.특히 엠플러스는 연구개발(R&D) 인력이 해외 영업을 병행하는 기업 특성 상 기술인력이 영업 현장에서 직접 각 고객사의 니즈에 맞는 최적의 장비를 제안하고, 이를 개발 및 상용화해 안정적인 수율로 이어지게 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과거 특정 기업에 의존했던 영업망을 빠르게 다각화해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캐즘' 국면을 효율적으로 대응해나가는 중이다.엠플러스 관계자는 "지속적인 수주 규모 확대에 따라 장비 제조 시 규모의 경제 실현을 통해 제조 원가를 효율적으로 절감하는 한편, 독보적인 기술력을 토대로 각 고객사가 필요로 하는 안정적인 수율의 장비를 적시에 납품하는 노력을 통해 재무구조를 지속적으로 개선시키고 있다"며 "캐즘 국면은 일시적인 한편 중장기적으로 배터리 시장은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만큼 국면 돌파를 위한 신규 수주세가 이어질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 나가겠다"고 전했다.엠플러스는 지난 2008년 미국의 A123시스템즈(A123 Systems)와 협력해 세계 최초로 GM 볼트(Volt) 전기차에 납품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조립공정 시스템 개발에 성공했고, 현재는 노칭(Notching)과 스태킹(Stacking), 탭 웰딩(Tab Welding), 패키징(Packaging), 디게싱(Degassing) 등 이차전지 조립 장비 제조공정 전체를 턴키(Turn-Key)로 공급 가능한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관련해 현재 엠플러스는 국내·외 78건의 특허를 등록했고 34건의 특허를 출원 중이다.엠플러스는 지난 2017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후 2020년과 2021년, 2022년 한국거래소로부터 '코스닥 라이징스타' 인증을 3년 연속 획득했다. 또한 2020년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분야 100대 강소기업으로 선정되는 한편 지난 해에는 한국무역협회로부터 '2억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는 등 탄탄한 기업 가치를 대외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215.71억으로 전년동기대비 69.72% 증가. 영업이익은 28.89억으로 331.84% 증가. 당기순이익은 36.97억으로 125.15% 증가.
지난해 창립이래 최대 실적을 기록한 이차전지 조립공정 자동화기기 부문 강소기업 엠플러스가 배터리 시장 '캐즘(Chasm)' 국면에서 다공정을 아우르는 복합 장비를 개발하고, 셀 폼팩터 트랜드에 기민하게 대응하며 시장 정체기를 돌파하겠다고 4월1일 밝혔다.
지난 2003년 설립된 엠플러스는 중국에 수년 이상 앞서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국산화 기술력을 토대로 노칭(Notching)과 스태킹(Stacking), 탭 웰딩(Tab Welding), 패키징(Packaging), 디게싱(Degassing) 등 이차전지 조립공정 자동화 장비 제조공정 전체를 턴키(Turn-Key)로 공급 가능한 독보적인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엠플러스는 현재 이차전지 시장이 수요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전기자동차 판매량 둔화 및 가격, 충전 시간, 주행거리 허들, 국가별 패권경쟁과 광물의 수직 계열화, 노조 이슈와 정치적 불확실성 등의 다양한 요인으로 현재 시장 캐즘 국면이 발생했다고 판단하고, 이를 돌파할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우선 엠플러스는 고객사 니즈에 선제적으로 대응, 현재 턴키로 공급가능한 조립공정은 물론 전극 공정이나 활성화 공정 등 이차전지 제조 전반을 아우르는 장비 개발, 납품 등을 위해 적극적인 연구개발을 진행 중이다. 특히 전극 공정 중 전극을 세로로 절단하는 슬리팅(Slitting)을 하며 동시에 노칭(Notching)을 한다거나, 롤 프레스(Roll Press)를 하면서 다른 공정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지는 등 공정과 공법이 복합화된 제조 장비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엠플러스는 또한 현재 파우치형과 각형 리튬이온 배터리 조립 장비에만 국한하지 않고, 차세대 전지로 주목받는 리튬 메탈 배터리 및 전고체 배터리 등의 새로운 타입도 대응하고 있으며 NDA 관계로 고객사명을 밝힐 수는 없지만 최근 다수의 고객사에 전고체 파이롯트 장비 수주 및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엠플러스는 연구개발 인력의 지속적인해외 영업망 투입을 통해 고객사의 니즈에 맞춰 최적화된 폼팩터 제조 타입과 공정을 제안하고 이를 지속적인 장비 수주로 연결시키고 있다. 이를 통해 고객사가 현재의 트랜드에 국한되지 않고 중장기 시장 상황과 수요를 예측해 시장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R&D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도 이어나갈 방침이다. 현재 엠플러스는 매년 매출액의 1~4% 정도를 R&D 분야에 투자하고 있으며, 전체 임직원 중 60% 이상이 연구개발 인력으로 구성돼 있다. 엠플러스는 이와 관련해 지난해 기준, 현재 국내·외 78건의 특허를 등록했고 34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다.
2차전지 조립공정 자동화기기 부문 강소기업 엠플러스(259630)가 지난해 창립 이래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턴어라운드)에 성공했다고 2월13일 발표했다.
엠플러스는 연결 기준 2023년 연간 3401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2022년(1166억 원) 대비 191.6% 증대됐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도 각각 237억 원, 198억 원으로 흑자 전환하는 등 2003년 창립된 이래 사상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이 같은 실적은 배터리 셀 크기 변동 등 글로벌 2차전지 수요 트렌드에 기민하게 대응하며 고객사 니즈에 맞춘 장비를 안정적으로 적시에 납품한데 따른 결과다. 엠플러스는 수주 규모 확대에 따라 규모의 경제 실현을 통해 제조 원가를 효율적으로 절감하기도 했다.
엠플러스는 리튬이온 2차전지의 국산화 기술력을 바탕으로 지난 2003년 설립된 2차전지 제조장비 조립공정 자동화 장비 전문기업이다. 엠플러스는 전기차용 리튬이온 배터리 태동기인 2008년부터 미국의 A123시스템즈(A123 Systems)와 협력해 조립공정 자동화 시스템 개발에 성공한 후 현재 노칭(Notching)과 스태킹(Stacking), 탭 웰딩(Tab Welding), 패키징(Packaging), 디게싱(Degassing) 등 2차전지 조립공정 자동화 장비 제조공정 전체를 턴키(Turn-Key)로 공급 가능한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국내·외 82건의 특허를 등록했고 34건의 특허를 출원했다.
엠플러스 관계자는 “배터리 산업의 중장기적 성장 추이와 제조 트랜드에 기민하게 대응하며 글로벌 바이어로부터 대규모 수주를 연이어 이끌어내고 있는 것이 이번 실적 상승의 주요한 원인”이라며 “올해 업계의 외부 상황이 급변동하고 있지만 추이에 대응하며 원가 절감을 위한 규모의 경제 확대를 지속하는 한편 수주 확대 등을 위한 글로벌 영업 또한 지속 강화하는 등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회사의 재무적 내실을 탄탄히 하기 위해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엠플러스는 2차전지 자동화장비 전문 제조사로 2차전지 조립공정에 대한 전체설계 및 제조가 가능한 회사다.
노칭 및 스태킹 장비는 글로벌 최고 수준의 속도를 보유하고 있으며 매출의 90% 이상이 SK온에서 발생하고 있다. SK온은 2023년까지 40GWh→85GWh 규모의 증설을 진행했다. 이에 따른 신규수주는 2022년부터 큰폭으로 반영됐다.
2022년부터 큰 외형적 성장과 2023년 대규모 흑자 전환을 이루었다. 2022년과 2023년 2년 연속 3000억원 이상 수주했고 올해 수주액은 전년 대비 20% 수준 늘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글로벌 전기차·배터리 업체들이 수요 둔화로 인해 투자를 줄이는 와중에도 실적 성장을 전망한 상황이다. 이러한 누적 수주 잔고로 인해 2024년에도 안정적인 매출과 영업이익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엠플러스는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태동기인 2008년부터 미국의 A123 Systems와 협력하여 조립공정 자동화 시스템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대면적 전지 제작 사양에 대한 표준화가 불명확한 산업 초기부터 고객사와 협력하여 설계 구조 및 사양을 확정하며 장비를 제작 공급하여 전체 조립공정 장비의 제작 레퍼런스를 확보했다.
이후 2010년 미국 A123 Systems에 양산라인 4라인을 성공적으로 공급하였고 SK이노베이션 1기라인, 중국 Wanxiang EV에 양산용 장비를 공급하는 등 다수의 개발 및 양산 경험을 기반으로 생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을 빠르게 개선했다. 그 결과 현재 생산성 높은 이차전지 자동화 조립설비를 공급하고 있으며, 높은 기술 경쟁력을 확보한 상황이다.
김종성 엠플러스 대표는 올 1월31일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배터리 안에 들어가는 양극판·음극판을 안정적이면서도 빠른 속도로 쌓을 수 있는 기술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면서 “이 기술을 처음 개발했을 당시에는 분당 60장을 적재할 수 있었는데 지금은 300장으로 생산성을 5배나 개선했다”고 말했다.
또 “배터리 장비 시장은 당장의 시황보다는 미래의 공장 가동 시점에 더 영향을 받는다”면서 “3년 후 2차전지 시장을 긍정적으로 전망하는 글로벌 업체들이 잇따라 장비 발주를 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그러면서 “차세대 전지인 전고체 배터리, 리튬메탈 배터리 관련 장비도 개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엠플러스는 국내와 해외를 합쳐 총 82건의 특허권을 등록했고 34건을 출원하며 연구·개발(R&D)에 힘을 싣고 있는데 R&D담당 인력이 208명으로 전체 인력의 약 60%에 달한다.
수주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공장 증설도 추진 중이다. 현재 청주 국사산업단지(센트럴밸리) 내 5만2894㎡ 규모의 부지를 매입한 상태다. 이에 따라 향후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는데 주가는 지난 2019년 상장 시점은 1만원 전후반에서 움직이고 있다.
여타 다른 이차전지 장비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평가 되어 있는 모습이기 때문에 지금과 같이 선별적으로 접근해야 되는 주식시장에서 이차전지 관련주를 투자한다면 엠플러스가 우선순위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3400.52억으로 전년대비 191.61% 증가. 영업이익은 238.80억으로 98.56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200.04억으로 152.29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파우치형의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 이차전지 조립공정 장비 제조업체. 이차전지 제조 공정도 중 파우치형의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 이차전지 조립공정 장비를 주력으로 제조하고 있으며, 조립 장비는 공정순서대로 노칭기, 스태킹기, 탭웰딩기, 패키징기, 디개싱기 등으로 구분. 대면적, 대용량의 배터리가 사용되는 전기자동차용 및 ESS용 이차전지 생산 장비에 집중. 기존 파우치형의 레퍼런스와 기술력을 기초로 각형타입으로 사업영역을 확대. 최대주주는 김종성 외(23.06%).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66.12억으로 52.47% 증가. . 영업이익은 98.56억 적자로 140.19억 적자에서 적자폭 축소. 당기순이익은 152.29억 적자로 80.72억 적자에서 적자폭확대.
2020년 3월23일 4940원에서 최저점을 찍은 후 2022년 1월14일 29300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밀렸으나 작년 1월3일 9300원에서 저점을 찍은 이후 9월6일 2000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올 1월25일 9610원에서 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 이후 2월14일 1393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5월13일 9800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6월12일 1470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7월10일 10320원에서 저점을 찍고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1175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122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1345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148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