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런 에스테베스 미 상무부 산업안보차관은 21일(현지시간) 하원 외교위원회 청문회에서 동맹들이 미국과 유사한 대중국 반도체 수출통제를 도입하도록 설득해 미국 기업과 동맹국 기업 간에 '동등함( parity)'을 달성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반도체 장비 수출통제를 시행하기 전에 중국에 수출된 장비의 서비스 문제도 들여다보고 있다"면서 "우리는 또 부품( components)도 다루고 있다. 동맹들도 동참하게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도체 업계는 당장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면서도 장비 규제 강화 대응 시스템과 별개로 규제 범위를 서비스·부품까지 범위를 확대하려는 방침에 중장기적으론 우려를 나타냈다.
업계에선 에스테베스 산업안보차관 발언 가운데 '중국에 팔았거나 팔 예정'이라는 대목에 주목한다. 엑시콘, 동진쎄미켐 등 국내 주요 소재·부품·장비 업체들이 중국에서 사업을 하고 있지만, 현지에 공장을 가동중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주요 납품처다. 중국 반도체기업에 직접 공급하는 비중은 미미하다는 얘기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는 지난해 미국 정부에서 '검증된 최종사용자( VEU)'로 인정받아 중국 사업장 내 공정에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VEU는 사전 승인 기업에 지정 품목 수출·반입을 허용하는 포괄적 허가 제도다. 미 당국 허가 없이도 미국산 첨단 반도체 장비를 중국 공장에 들일 수 있다.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22일 "삼성전자, SK하이닉스는 VEU 지정을 받아서 이번 규제가 집행돼도, 중국 공급망에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삼성, SK 모두 중국 사업 비중이 작지 않아 장기적인 중국 리스크를 무시할 수는 없는 입장이다.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에 낸드플래시 생산 공장을 두고 있다. 시안 공장에서 전체 삼성 낸드 40%를 만든다. SK하이닉스는 중국 우시 공장에서 전체 D램의 40%, 다롄 낸드(솔리다임) 공장에서 전체 낸드의 20%를 생산하고 있다.
또 향후 장비 수리, 부품 교체가 일부 지장받을 수도 있다. 특히 반도체 전공정 식각 장비 필수품인 ‘소모성 부품’ 공급에 조금이라도 차질을 빚을 경우 장비 운영과 공정 유지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소모성 부품은 석영, 세라믹, 램프 등이 있다. 안 전무는 "소모성 부품 공급을 받지 못하면 장비를 제대로 돌릴 수 없다"고 했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사업장 장비, 부품이 노후화하면 수리, 교체를 하면서 지장을 빚을 수 있고 삼성, SK에도 예외는 아니다"라고 했다.
삼성 ·SK 협력사 고위 관계자들에 따르면 소재·부품·장비 업체들이 에스테베스 차관 발언을 받아들이는 강도는 차이가 있다. 소재 업체들은 큰 문제는 없지만 장비에 들어가는 일부 소재 반입 리스크가 생길 수 있어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부품·장비 업체도 삼성, SK 거래량이 압도적으로 많고 중국 업체와 직거래하지 않지만 상황을 심각하게 보고 있다. 한 협력사 고위관계자는 "당사는 미국 상무부 규정을 철저히 준수하려고 하는 입장이고 미국 행정 규정 범위 내에서 리스크를 관리하는 중"이라며 "첨단 장비에 들어가는 '소모성 부품' 업체들은 직격탄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중장기적으로 중국 국산화 속도가 높아지고 부품·장비 소규모 업체들은 물론 삼성 ·SK 협력사들 중국 비즈니스가 위축돼 사업장 생산 능력이 감소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에스테베스 차관이 발언한 규제 강도 자체보다는 향후 협력업체 중국 사업이 위축돼 수율(양품 비율) 제고, 캐파(생산 능력) 증가, 공정 혁신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게 문제"라고 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는 "공식적 입장은 없다"고 말을 아꼈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 시안, SK 우시·다롄 같은 중요한 사업장은 이번 규제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규제 추이 등을 면밀히 주시해야 한다"고 했다.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