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병들고 낡은 도시 ... 바뀐다게시글 내용
주차장이 부족하고 편하게 쉴 수 있는 공원을 찾아보기 어렵다. 일자리인 기업체는 영세하고 종업원을 위한 편의시설이나 여가시설은 물론 교육연구시설을 제대로 갖추고 있지 못하다. 하천에는 맑은 물 대신 산업단지 폐수가 흐른다. 손님 끊긴 골목시장 등 경제가 쇠락해 도시 전체가 기운을 잃은 잿빛이다. 우리나라의 상당수 도시가 앓고 있는 병이다. 가쁜 숨을 내쉬는 도시에 신선한 공기가 절실하다. 더 이상 낡은 도시를 방치할 수 없는 상황에서 갑오년인 올해부터 대대적인 도시 수술인 도시재생사업이 시작된다. 앞으로 4년간 1400억원이 들어간다. 우리나라 도시는 국민 10명 중 9명이 살아가는 삶의 터전이다. 1980년 69%이던 도시지역 거주율이 2011년 91%로 뛰어 올랐다. 도시에 주택이 모자라고 사람은 몰리면서 도시는 한때 투자의 대상이었다. 그러다 주택보급률이 100%를 넘어서고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주택시장이 침체되자 도시는 ‘삶터’ ‘일터’로 자리매김됐다. 하지만 보금자리가 돼야 할 도시는 쇠퇴일로를 걸으면서 도시를 다시 살리기 위한 도시재생정책이 필요하게 됐다. 주요 선진국들도 우리와 비슷한 1인당 국내총생산(GDP) 2만~3만 달러, 도시화율 80%대에 도시재생정책을 추진했다. 국내 도시 쇠퇴의 주요 원인은 과거 주택난 해결을 위해 도시 외곽 확장 위주의 개발방식과 도시의 경제를 책임졌던 제조업(부산 신발, 대구 섬유 등)의 경쟁력 약화다. 이에 따라 2010년 기준으로 전국 시장점포 20만1000개 중 10.8%인 2만2000개가 공실(대구 19%, 부산 14%)로 남아 중심상권의 활력이 꺾이고 고용과 세수는 감소했다. 도시 역량 강화 위한 공동체 활성화 지원 이는 자치단체의 재정을 열악하게 만들어 국가보조금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 지방광역시의 살림살이를 어렵게 하고 있다. 재정이 열악한 하위 40개 기초자치단체(시·군·구) 중 38곳이 지방광역시의 자치구일 정도다. 지역민의 자체 노력만으로는 도시를 살리기 어려운 상황에서 국가가 나섰다. 도시재생을 통한 일자리 창출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지난해 4월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한 데 이어 세부 시행방안을 지난달 5일 확정했다. 정부 관계자는 “재개발·재건축 등 기존 제도로는 도시를 살리기 부족하다”며 “공공의 역할을 강화하고 계획적이고 종합적인 도시재생을 위한 지원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올해부터 2023년까지 도시재생을 종합적·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4가지 중점시책을 제시했다. 첫째, 기성시가지 재생 위주의 도시정책이다. 새로 필요한 도시용지는 기성시가지 재생을 통해 우선 공급하고, 공공청사·백화점 등 도시의 중요시설 및 인구유발시설도 가급적 기성시가지 내에 우선 설치하도록 한다. 둘째,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국가적 지원의 확대다. 지자체가 수립한 재생계획에 포함된 각 부처 소관 사업에 대해 범부처 협업기구인 특별위원회가 심의해 패키지로 예산을 지원한다. 셋째, 다양한 금융지원기법을 도입하고 규제를 완화한다. 도시재생사업에도 저금리의 주택기금을 지원하고 도시재생사업에 국가·지자체·공공기관·민간투자자 등이 참여하는 한국형 금융지원모델을 개발한다.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