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정보

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저점을 줄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작성자 정보

대감

게시글 정보

조회 368 2024/05/29 07:47

게시글 내용



한국 반도체 회사들이 고대역폭메모리(HBM) 제조 기술은 물론 공정 핵심 소재까지 국산화 작업을 전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이 공정에 필요한 핵심 소재 기술은 일본 회사들이 주도해왔는데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거대 칩 제조사를 중심으로 새로운 HBM 생태계가 빠르게 갖춰지고 있는 것이다.

5월28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반도체 소재 회사 이엔에프테크놀로지(102710)는 자체 기술로 타이타늄 식각액(Ti 에천트)을 개발하고 세계 최대 HBM 제조사에 이 소재를 공급하기 시작했다.

타이타늄 식각액은 HBM에서 정보가 이동하는 통로인 실리콘관통전극(TSV) 제조에 쓰이는 물질이다. TSV는 전류가 잘 흐르는 구리가 채워지면서 완성된다. 구리가 TSV 바깥으로 새어나가지 않으려면 장벽 역할을 하는 막을 형성해야 하는데 이 역할을 타이타늄이 한다. 타이타늄 식각액은 웨이퍼에서 불필요한 타이타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그동안 타이타늄 식각액은 일본 유력 소재 회사와 한국 업체가 합작해서 만든 회사의 제품이 주로 활용됐다. 소재 분야에서 강한 면모를 드러냈던 일본 업체의 영향력이 상당했다는 뜻이다.

하지만 이엔에프가 기술 개발에 성공하면서 국산화 및 소재 다변화의 길이 열렸다. 이엔에프는 가장 최신 제품인 5세대 HBM(HBM3E) 제조 라인에 처음 공급하기 시작해 고적층 칩까지 공급량을 확대하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파악된다.

이엔에프 측은 사업보고서에서 이 제품에 대해 “타이타늄이 과도하게 식각되는 현상을 개선해 미세 회로 기술에 기여했다”며 “반도체 패키지 신규 시장에 진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엔에프는 2019년 일본의 수출규제 품목이었던 반도체 공정용 불화수소를 6월 말부터 양산할 계획이다.

이엔에프 외에도 HBM 핵심 소재의 국산화 움직임이 활발하다. 솔브레인(357780)은 HBM 공정 중 불필요한 구리층을 걷어내는 특수 슬러리를 세계에서 유일하게공급한다. 동진쎄미켐(005290)도 이 공급망에 진입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덕산하이메탈(077360)은 HBM 사이에서 데이터전송을 위한 가교 역할을 하는 범프 제조를 위한 솔더볼을 메모리 회사에 공급한다. 메모리 업체들은 솔더볼 세계 1위 센주메탈의 독주를 막기 위해 덕산하이메탈의 기술 개발을 적극 지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인공지능(AI) 시대에서 주목받는 HBM 분야는 한국이 90%의 점유율을 쥐고 있는 만큼 국내에서 생태계가 확장될 가능성이 크다”며 “향후 소재뿐 아니라 장비·부품에서도 다양한 협력이 일어날 것으로 관측된다”고 설명했다.



반도체 소재 전문기업 이엔에프테크놀로지 주가가 크게 오르고 있다. 4월2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후 4.97% 올라 2만 74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침체에 빠져 있던 반도체 산업의 회복세가 본격화 되면서 실적반등 기대감에 강한 매수세가 몰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소재기업에도 따뜻한 봄바람이 불어 올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엔에프테크놀로지는 전자산업용 재료관련 정밀화학 제품의 개발 및 생산, 판매를 주업으로 하고 있으며, 전자재료 사업부문을 하고 있다.

전자재료 사업부문의 품목은 프로세스케미칼, 칼라페이스트, 반도체 CMP용 Slurry로 구분된다.

일부 OEM 형태 매출을 제외하고는 전 제품 상품을 본사 영업팀에서 국내 및해외에 직접 판매하고 있으며, 2007년부터 중국에 진출해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1431.9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0.92% 증가. 영업이익은 75.14억으로 43.59% 증가. 당기순이익은 51.32억으로 11.01% 증가.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5747.62억으로 전년대비 15.50% 감소. 영업이익은 247.00억으로 61.91% 감소, 당기순이익은 232.45억 적자로 450.02억에서 적자전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공정용 특수 화학제품 제조/판매업체. 주요 제품으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인 프로세스 케미칼(식각액, 신너, 현상액, 박리액 등), 반도체 포토레지스트용 핵심원료인 화인케미칼(포토레지스트용 원료 등), 칼라페이스트, 반도체 CMP용 Slurry 등을 보유.
최대주주는 한국알콜산업 외(35.63%).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6802.07억으로 전년대비 30.36% 증가. 영업이익은 646.45억으로 148.60% 증가. 당기순이익은 450.02억으로 149.51% 증가. 


2014년 10월28일 5880원에서 바닥을 찍은 후 2021년 1월25일 53200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조정에 들어간 모습에서 작년 10월31일 18480원에서 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 이후 올 5월7일 3000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27일 25950원에서 저점을 찍고 28일 30000원에서 밀리는 중으로, 


손절점은 2710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282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310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341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 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