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정보

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이젠 위피로 간다~

작성자 정보

평민

게시글 정보

조회 374 2005/04/02 20:11

게시글 내용

오는 4월1일부터 전기통신설비의 상호접속기준 고시에 따라 국산 무선인터넷 표준 플랫폼

위피(WIPI)가 신규 출시되는 모든 단말기에 의무 탑재된다.   지난 2001년 표준플랫폼 개발

논의가 시작된 지 4년만의 성과다.

 

업계 일각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활성화에 대한 조짐도 보인다. 이미 작년 하반기부터 위피폰이 보급되기 시작해, 2월 말 기준으로 300만대에 육박했다. 위피 콘텐츠도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위피 콘텐츠 공모전(SKT·KTF), 위피 콘텐츠 제안 의무화(KTF) 등을 통해 이동통신사들이 적극적으로 콘텐츠 확보에 나선 데 따른 것이다. 콘텐츠 제작업체(CP)들도 시장에 위피폰이 늘어나면서 “위피 콘텐츠가 말 그대로 돈이 되는 사업이 됐다”며 위피 콘텐츠 제작에 나서고 있다.

◇절반의 성공, 절반의 실패=하지만 위피는 이동통신사 간 콘텐츠 호환이라는 애초의 목표를 절반만 충족시켰다. 위피 표준 규격은 있지만, 각 이통사의 플랫폼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콘텐츠 업계 관계자는 “완전 호환은 안 되지만 위피 표준규격이 있어 변환에 걸리는 시간이 줄어든 것은 사실”이라고 말한다.

또 자바(JAVA) 채택에 따라 미국 선마이크로시스템즈에 로열티를 지급하면서 순수 국내기술로 만들자는 계획도 어긋났다.

◇활성화 노력=SKT용 위피자바 플랫폼을 개발한 엑스씨이 김주혁 사장은 “지금은 위피의 활성화를 위해 힘을 모을 때”라고 지적한다. 현재 위피 활성화를 위해 관련업계는 전방위 노력을 하고 있다. 오는 4월1일 위피 플랫폼 개발업체들이 주축이 된 민간모임인 ‘위피진흥협회’가 출범한다. 지난 2월에는 위피 개발자 단체인 ‘와이드포럼’도 결성돼 개발자들을 지원하고 있다. 모두 자발적으로 결성된 단체들이다. 하지만, 업계는 업계의 위피 활성화 노력에 비해 정부의 태도가 미온적이라며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한 업계 관계자는 “직접 지원이 아니더라도 개발환경 지원, 교육사업 등 위피 인프라 확산에는 정부가 좀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위피의 미래=위피 플랫폼이 브루나 자바 등 외국의 플랫폼에 뒤지지 않게 하려면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는 필수다. 전파연구소 배석희 책임연구원은 위피를 전략적인 유비쿼터스 플랫폼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다양한 기기가 융합되면서 통합플랫폼이 중요해지고, 여기에 맞춰 위피의 기능을 늘려야 경쟁력을 갖는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위피 2.0 이 무선인터넷표준화포럼(KWISF) 표준으로 제정된 지 1년이 지났지만 위피 3.0 개발에 대한 논의조차 없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권건호기자@전자신문

 

 

 

 지어소프트 A051160
  코스닥  (액면가 : 500)      * 04월 02일 20시 12분 데이터   
현재가 9,830  시가 8,600  52주 최고  
전일비 ↑ 1,280  고가 9,830  52주 최저  
거래량 6,006,047  저가 8,600  총주식수 6,227,486 

 

 

 신지소프트 A078700
  코스닥  (액면가 : 500)      * 04월 02일 20시 12분 데이터   
현재가 15,000  시가 13,250  52주 최고  
전일비 ↑ 1,950  고가 15,000  52주 최저  
거래량 1,436,196  저가 13,100  총주식수 3,400,000 

 

 

 

 

 

게시글 찬성/반대

  • 2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 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