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코미팜 ASF 필리핀 국영농장 등 3곳에서 상반기 실시

작성자 정보

세자

게시글 정보

조회 580 2025/02/10 11:33
수정 2025/02/10 12:57

게시글 내용

ASF 논문 발표

클릭)


아프리카돼지열병 백신 후보 ASFV-G-&델타; I177L/&델타; LVR은 상동성 악성 챌린지(homologous virolint challenge)를 방지하고 항체의 장기 유지를 나타냅니다.




코미팜, MDPI 과학저널에 아프리카돼지열병 백신 논문 공개


필리핀서 품목등록 최종 단계인 야외 임상실험 상반기 실시

[데일리한국 김영문 기자] 코미팜은 아프리카 돼지열병(ASF) 예방을 위해 개발중인 백신의 연구 결과를 세계적인 학술지에 공개했다고 10일 밝혔다.

코미팜은 지난 2021년 3월부터 아프리카 돼지열병 예방을 위한 유전자 수술 방식의 약독화 생백신 후보물질인 ASFV-G-ΔI177L/ΔLVR의 임상실험에서 100% 백신 효능과 안전성은 물론 백신 후 장기간 ASF 백신 항체가 지속되는 결과를 얻었다.

이 연구 내용은 세계 최대 규모의 출판사 중 MDPI(스위스 온라인 학술지) 오픈 액세스 과학 저널에서 발행하는 ‘Animals’ 2025년 1월호에 등재되고, 지난 7일 공개됐다. 

<iframe id="aswift_1" name="aswift_1" browsingtopics="true" sandbox="allow-forms allow-popups allow-popups-to-escape-sandbox allow-same-origin allow-scripts allow-top-navigation-by-user-activation" width="770" height="0" frameborder="0" marginwidth="0" marginheight="0" vspace="0" hspace="0" allowtransparency="true" scrolling="no" allow="attribution-reporting; run-ad-auction" src="https://googleads.g.doubleclick.net/pagead/ads?client=ca-pub-3664358913190005&output=html&h=280&slotname=5084878200&adk=981615402&adf=2295045961&pi=t.ma~as.5084878200&w=770&abgtt=13&fwrn=4&fwrnh=100&lmt=1739154902&rafmt=1&format=770x280&url=https%3A%2F%2Fdaily.hankooki.com%2Fnews%2FarticleView.html%3Fidxno%3D1177818&fwr=0&fwrattr=true&rpe=1&resp_fmts=3&wgl=1&uach=WyJXaW5kb3dzIiwiMTAuMC4wIiwieDg2IiwiIiwiMTMyLjAuMjk1Ny4xNDAiLG51bGwsMCxudWxsLCI2NCIsW1siTm90IEEoQnJhbmQiLCI4LjAuMC4wIl0sWyJDaHJvbWl1bSIsIjEzMi4wLjY4MzQuMTYwIl0sWyJNaWNyb3NvZnQgRWRnZSIsIjEzMi4wLjI5NTcuMTQwIl1dLDBd&dt=1739154897405&bpp=42&bdt=46725&idt=5239&shv=r20250205&mjsv=m202502040101&ptt=9&saldr=aa&abxe=1&cookie_enabled=1&gpic=UID%3D00000e1345abdc31%3AT%3D1715181730%3ART%3D1737559394%3AS%3DALNI_MaSNZWy8fPPWaYoxLEM457Eqh2Z7A&eo_id_str=ID%3D0d7981240bc3a686%3AT%3D1723648222%3ART%3D1737559394%3AS%3DAA-AfjbCRKGYnAizfdzSJZtJK6OP&prev_fmts=160x600&correlator=4729794755159&frm=20&pv=1&u_tz=540&u_his=1&u_h=1080&u_w=1920&u_ah=1040&u_aw=1920&u_cd=24&u_sd=1&dmc=4&adx=196&ady=821&biw=1511&bih=962&scr_x=0&scr_y=0&eid=31089910%2C31090191%2C95352068%2C95352177&oid=2&pvsid=346076172769507&tmod=1842821881&wsm=1&uas=1&nvt=1&ref=https%3A%2F%2Fsearch.naver.com%2Fsearch.naver%3Fwhere%3Dnexearch%26sm%3Dtop_sly.hst%26fbm%3D0%26acr%3D6%26ie%3Dutf8%26query%3D%25EC%25BD%2594%25EB%25AF%25B8%25ED%258C%259C&fc=896&brdim=0%2C0%2C0%2C0%2C1920%2C0%2C1920%2C1040%2C1526%2C962&vis=2&rsz=%7C%7CeEr%7C&abl=CS&pfx=0&fu=128&bc=31&bz=1.26&td=1&tdf=2&psd=W251bGwsbnVsbCxudWxsLDNd&nt=1&ifi=2&uci=a!2&fsb=1&dtd=5253" data-google-container-id="a!2" tabindex="0" title="Advertisement" aria-label="Advertisement" data-google-query-id="CN6znPKIuIsDFR6H6QUdgQ4okw" data-load-complete="true" style="box-sizing: inherit; left: 0px; position: absolute; top: 0px; border-width: 0px; border-style: initial; width: 770px; height: 0px;"></iframe>

ASF는 여러 대륙으로 빠르게 확산하면서 전세계 양돈산업에 큰 위협이 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백신 개발은 최근 수의학 연구의 최우선 과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코미팜의 연구 결과는 ASF 질병 예방에 중대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코미팜의 ASF 백신 임상실험은 환경부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전북대학교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와 협력으로 진행됐으며, 7~8주령 돼지를 대상으로 백신의 안전성과 효능은 물론 ASF 항체의 지속성을 확인했다.

우선 백신 접종 후 공격 접종군에서 발열, 식욕 저하 등의 부작용 없이 100% 생존율을 나타냈다.

또 공격 접종 그룹은 강독 국내 야외 분리 균주, ASFV-화천/2020를 접종한 양성 대조군은 전원이 폐사했지만 백신 접종군은 100% 감염증상 없이 방어하면서 생존했다.

게다가 면역반응 분석에서 백신 후보주인 ASFV-G-ΔI177L/ΔLVR만 접종 후 약 두달간 ASF 항체가 아주 높은 수준으로 지속됐다.

코미팜은 서정향 중앙연구소 연구소장과 연구진이 백신주의 연속계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전자 변이를 철저하게 분석해서 최고의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데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코미팜은 ASF 약독화 생백신의 안전성과 효능을 재확인 하기 위해 임신 모돈을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해 추가로 국제 저명 학술지에 투고한 상태이며 게재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코미팜은 ASF 백신의 품목등록을 위한 최종 단계인 야외 임상실험을 필리핀에서 실시할 계획이다. 필리핀 정부의 협조로 국영농장 등 3군데에서 올 상반기 내 진행한다.

이와 함께 국제기구(WOAH, USDA)와 협력을 통한 글로벌 허가 절차를 가속화해 세계적인 백신 상용화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코미팜, MDPI 과학저널에 아프리카돼지열병 백신 논문 공개 < 종목분석 < 금융·증권 < 기사본문 - 데일리한국


코미팜, 글로벌 과학저널에 ASF백신 논문 공개


안전성·효능 확인…항체 지속성 입증
[프레스나인] 코미팜은 세계 최대 규모의 MDPI(스위스 온라인 학술지) 과학저널 'Animals' 2025년 1월호에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백신 논문이 공개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ASF 질병 예방에 중대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임상실험은 2021년 3월부터 환경부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과 전북대학교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와 협력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 7~8주령 돼지를 대상으로 유전자 수술방식의 약독화 생백신(Live-attenuated vaccine, LAV) 후보물질 'ASFV-G-ΔI177L/ΔLVR' 의 안전성과 효능은 물론 ASF 항체 지속성을 확인했다. 

구체적으로 백신 접종 후 공격 접종군에서 발열, 식욕 저하 등 부작용 없이 100% 생존율을 확인했다. 백신의 효능의 경우 공격 접종 그룹은 강독 국내 야외 분리 균주, ASFV-화천/2020를 접종한 양성 대조군은 전원이 폐사했지만, 백신 접종군은 100% 감염증상 없이 방어하면서 생존했다. 면역반응 분석에서 백신 후보주, ASFV-G-ΔI177L/ΔLVR만 접종 후 약 2달간 ASF 항체가 아주 높은 수준으로 지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코미팜 중앙연구소 서정향연구소장과 연구진은 "백신주의 연속계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전자 변이를 철저하게 분석해서 최고의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데 성공했다"며 "ASF 약독화 생백신의 안전성과 효능을 재확인하기 위해 임신 모돈을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해 추가적인 국제저명학술지에 투고한 상태이며 게재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품목등록 최종 단계인 야외 임상 시험을 필리핀 정부의 협조로 필리핀 내의 국영농장과 대규모 농장 등 3군에서 2025년 상반기 내 대규모 야외 임상실험이 필리핀에서 진행될 예정"이라며 "국제기구 (WOAH, USDA)와 협력을 통한 글로벌 허가 절차를 가속화는 물론 세계적인 상용화 백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참고로 논문 내용 중 Group A는 백신 후 공격 접종한 부검 소견이다. 백신 접종에 이어서 야외 ASFV-화천/2020 공격 접종 후 모든 림프절에서 정상 소견은 물론 병리 조직 소견에서도 정상을 유지하고 있지만, 야외 ASFV-화천/2020 공격 접종만 한 Group A-1은 모든 개체의 림프절에서 심한 충 출혈 소견이 확인됐다.


MDPI(스위스 온라인 학술지) 과학저널 'Animals' 실린 데이터. 사진/코미팜

코미팜, 글로벌 과학저널에 ASF백신 논문 공개 - PRESS9



게시글 찬성/반대

  • 5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 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

하단영역

씽크풀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투자에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또한 이용자는 본 정보를 무단 복사, 전재 할 수 없습니다.

씽크풀은 정식 금융투자업자가 아닌 유사투자자문업자로 개별적인 투자상담과 자금운용이 불가합니다.
본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모든 정보는 투자판단의 참고자료로 원금 손실이 발생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씽크풀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70, 15층 (여의도동, 미원빌딩)

고객센터 1666-6300 사업자 등록번호 116-81-54775 대표 : 김동진

Copyright since 1999 © ThinkPool Co.,Lt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