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오늘 장 마감 후게시글 내용
외국인 매수 28,742주 에서 57,999주 매수로 변동
집에서 간편하게 전립선암 검사 가능...대체 어떻게?
PSA 혈액 검사는 정확도 낮아... 조직검사를 53%나 줄여

미국 미시간대 연구팀은 집에서 유전자 18가지를 탐지하는 소변 검사 키트로 공격적인 전립선암을 발견하는 ‘MyProstateScore 2.0(MPS2)’라는 새로운 검사법을 개발했다. 정확도는 94%라고 한다. 공격적인 전립선암은 가능한 빨리 조치해야 하는 암이다.
현재 사용되는 전립선암의 최고 검사법은 전립선 특이항원(PSA) 검사다. 이 검사는 염증이 있는 전립선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을 혈액에서 찾는다. PSA 수치가 높은 사람의 25% 미만이 즉각 치료가 필요한 전립선암 유형을 가지고 있다. PSA 수치가 높으면 전립선의 조직을 떼어내 검사하는 생검(biopsy)을 하는 게 일반적이다.
연구팀은 직장검사를 받지 않은 남성 266명의 소변으로 새로운 검사법을 실험했다. 그 결과 정확도가 높아 전립선 생검을 최대 53%나 줄일 수 있었다. 직장 검사는 전립선을 으스러뜨려 종양의 DNA 파편이 소변 샘플에 들어갈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하지만 이 연구에선 실시하지 않았다.
미시간대 비뇨기과 가네쉬 팔라파투 박사는 “이 검사는 공격적인 전립선암 발병 확률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어 과잉 검사와 진단을 피할 수 있다”면서 “집에서 테스트 샘플을 채취해 분석 기관에 보내면 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검사로 남성의 저위험 전립선암을 판별하는 연구를 계속할 계획이다.
이 연구는 ‘비뇨기과 저널(The journal of urology)’에 ‘Clinical Validation of MyProstateScore 2.0 Testing Using First-Catch, Non–Digital Rectal Examination Urine’이란 제목으로 게재됐다.
"나는 암 걸릴까 안 걸릴까"...엄마 뱃속부터 결정, '이것' 영향?
태아 때 후성유전학적 고위험 유형과 저위험 유형 결정돼

사람의 평생 암에 걸릴 위험이 높을지 낮을지가 엄마 뱃속에서 결정될 수 있다는 새로운 동물실험 결과가 나왔다. 최근 《네이처 암(Nature Cancer)》에 발표된 미국 밴 앤델 연구소 연구진이 주도한 논문을 토대로 건강의학 웹진 ‘헬스 데이’가 3일(현지시간) 보도한 내용이다.
밴 엔델 연구소는 미국 미시건주에 있는 생의학 연구교육기관이다. 이 연구소의 후성유전학 연구책임자인 존 앤드류 포스피실릭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은 DNA 손상 및 기타 요인이 축적돼 나이가 듦에 따라 암 위험이 증가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러나 모든 비정상 세포가 암세포로 전환되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의사들은 암의 잠재적인 추가 원인으로 후성유전학과 같은 다른 영향을 탐구하고 있다.
논문의 주저자인 포스피실릭 연구실의 일라리아 판제리 연구원은 “모든 사람은 어느 정도의 암 위험을 갖고 있지만 암이 생기면 이를 불운으로 치부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러나 불운은 왜 어떤 사람들은 암에 걸리고 다른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지를 완전히 설명하지 못한다”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불운을 치료의 대상으로 삼을 수 없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TRIM28이란 유전자에 집중했다. 이 유전자는 다른 유전자를 침묵시키거나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암 관련 유전자도 그 대상이 된다.
연구진은 TRIM28 수치가 감소한 생쥐는 다른 점은 같더라도 암 관련 유전자의 발현에 있어 두 가지 유형 중 하나에 속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한 유형은 평생 암에 걸릴 위험성이 더 높고, 다른 유형은 그 위험성이 더 낮다.
연구진은 또 고위험 유형에서 암이 발생하면 폐암이나 전립선암과 같은 고형종양이 될 가능성이 더 높은 반면 저위험 유형에서 암이 발생하면 백혈병이나 림프종과 같은 액체종양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을 발견했다. 일반적으로 액체종양보다 고형종양이 악성이 되는 경우가 많다.
연구진은 인간 암에서도 이와 동일한 유전적 변이가 자주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판제리 연구원은 “우리의 연구 결과는 암의 뿌리가 태아기에 형성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며 “이를 통해 질병을 연구하는 새로운 관점과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잠재적으로 새로운 선택지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포스피실릭 교수는 암 위험성 관련 “후성적으로 다른 두 가지 상태가 있다는 우리의 발견은 암의 기초에 대한 완전히 새로운 연구 영역의 문을 열었다”고 강조했다.
연구진은 또한 생쥐의 몸 전체에 있는 조직에서 두 가지 다른 유전 상태의 증거를 발견했다. 이는 이러한 유전상태가 암 전반에 걸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진은 앞으로 개별 유형의 암에 대해 이 두 가지 유전상태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해당 논문은 다음 링크https://www.nature.com/articles/s43018-024-00900-3)에서 확인할 수 있다.
'코카인 최대생산국' 콜롬비아 대통령 "술보다 나쁠 것 없다"
각료회의 발언 파장…2022년 취임 이래 마약 재배 농가 단속 축소 행보
![유엔총회에서 연설하는 구스타보 페트로 콜롬비아 대통령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news.pstatic.net/image/001/2025/02/06/PAP20250205090501009_P4_20250206210718731.jpg?type=w860)
유엔총회에서 연설하는 구스타보 페트로 콜롬비아 대통령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 세계 최대 코카인 생산국인 콜롬비아의 구스타보 페트로 대통령이 "코카인은 위스키보다 나쁠 것이 없다"고 말하는 장면이 영상으로 중계돼 파문이 일고 있다.
5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페트로 대통령은 전날 밤 각료회의에서 코카인이 불법인 이유는 "남미에서 만들어졌기 때문"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이 산업은 코카인이 전 세계적으로 합법화되면 손쉽게 해체될 수 있다"면서 "이건 와인처럼 팔릴 수 있다"고 말했다.
젊은 시절 좌익 게릴라 단체에 소속된 경력이 있는 페트로 대통령은 2022년 8월 취임한 이래 마약 재배 농가 등을 겨냥한 군경 단속을 극도로 줄이고 해상을 통한 마약 밀수 차단에 주력하는 정책을 펴왔다.
마약 생산 및 유통 차단과 마약조직 소탕보다 미국 등 선진국의 마약 수요를 줄이는 게 더 중요하다는 이유에서다.
유엔 마약범죄사무소(UNODC)에 따르면 그가 집권한 이듬해인 2023년 한 해 동안 콜롬비아에서 코카인의 원료 작물인 코카가 재배되는 면적은 전년보다 10%나 증가했다.
모든 잎을 수확했을 때 달성할 수 있는 최대 생산량은 2천664t으로 53%나 늘어났다고 한다.
이번 발언은 마약 문제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이주민 송환 문제로 갈등을 빚은 직후 나온 것이어서 더욱 눈길을 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불법 이민자들을 태워 콜롬비아로 보낸 미군기의 착륙이 거부되자 지난달 26일 콜롬비아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했고, 페트로 대통령은 이후 9시간 만에 미국 측 요구를 모두 수용하며 사실상의 항복을 선언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프란시아 마르케스 부통령을 비롯한 각료들이 페트로 대통령을 상대로 공개적으로 반기를 들면서 일대 혼란이 초래되기도 했다.
이들은 도청과 불법선거자금 조달 등 스캔들에 휘말린 대통령 측근들이 최근 외교장관과 비서실장으로 임명된 것을 문제 삼았다고 FT는 전했다.
그 여파로 이튿날 호르헤 로하스 행정부처장과 후안 다비드 코레아 문화부 장관이 사임했고, 후안 페르난도 크리스토 내무장관은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더는 정부가 유지될 수 없다며 내각 총사퇴를 주장했다.
이처럼 정국혼란이 불거진 데 대해 페트로 대통령은 내년 선거를 앞두고 장관급 인사 일부가 본인의 정치적 입지를 굳힐 목적으로 내분을 조장 중이란 주장을 펼쳤다고 FT는 보도했다.
컨설팅 업체 '테네오'의 남미 담당 상무이사 니컬러스 왓슨은 "각료회의를 텔레비전으로 중계한다는 아이디어가 지난달 26일 그가 촉발한 미국 관세 위기에도 동요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었다면 엄청난 역효과를 낳았다"고 말했다.
hwangch@yna.co.kr
"발톱에 검은줄, 이상하네?"...의사도 놓친 '이 암' 징후, 아내가 알아챘다
의사도 놓친 징후 알아챈 아내 덕분에 흑색종 발견한 남성

한 여성이 남편의 발톱에 나타난 흑색종 징후를 초기에 발견한 사연을 공유했다.
영국 매체 니드투노우에 따르면, 솔리헐에 사는 데이비드 에지스(52)는 2022년 5월 자신의 발톱에 희미한 선이 생겼을 때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하지만 아내 켈리(47)의 생각은 달랐다. 1990년대 후반 피부과 전문의 수련 과정에서 손톱 상태 및 변화에 관해 배운 내용이 기억났기 때문이다.
그는 즉시 남편을 설득해 병원을 찾았지만, 의사는 조금 더 지켜보자고 할 뿐이었다. 켈리는 계속해서 남편의 발톱을 주시했고, 이듬해 10월 즈음에는 선이 더 넓어지고 색이 어두워진 것을 알아차렸다. 이번에는 다른 의사를 만났지만, 그는 곰팡이균을 의심했다.
답답한 마음에 켈리는 개인 진료 예약을 잡았다. 그는 17개월 간격으로 찍은 두 장의 사진을 보여주며 조직 검사를 요청했고, 마침내 진단을 받을 수 있었다.
켈리는 “암이 표피에만 국한되어 있고 전이되지 않았다는 말에 정말 기뻤다”고 회상했다. 데이비드는 곧바로 암세포를 제거하고 허벅지 피부를 수술 부위에 이식하는 수술을 받았고, 다행히 치료 후 잔류 암도 남지 않았다. 현재 켈리는 피부암 예방과 조기 발견을 위해 노력하는 자선단체에서 교육을 받고 있다.
손발톱 아래 생긴 검은 선, 흑색종 의심할 수 있어
흑색종은 멜라닌 세포가 악성화되어 생긴 종양으로 피부에 발생하는 암 가운데서도 가장 치명적인 암이다. 우리나라 흑색종의 발생 빈도는 연간 600명 정도로 서양에 비해 낮지만, 재발하거나 내부 장기로 전이되는 경우가 많아 예후를 예측하기 어렵다.
손발톱밑 흑색종은 전세계 흑색종 사례의 0.7%~3.5%를 차지한다. 위 사례처럼 손발톱에 불규칙한 흑색 띠가 나타나 점차 넓어지거나 손발톱이 부서지면 악성 흑색종을 의심해볼 수 있다. 손발톱밑 흑색종의 가장 흔한 증상은 손발톱에 변색된 선이 나타나는 것이다. 보통 갈색이나 검은색이며 세로선으로 이어진다. 일부 경우에는 선이 불규칙한 모양을 띄거나, 시간이 지나면서 길어지고 폭이 넓어질 수 있다.
그러나 손발톱 아래 검은 자국이 생겨도 보통 부딪혀 생긴 멍이라고 생각하거나 진균 감염으로 인한 증상이라고 생각해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 만약 손발톱의 색이나 모양이 변하거나, 손발톱이 위로 들리거나, 두께가 변하거나, 움푹 패이거나 갈라진 부분이 생기는 경우에는 의사와 상담을 해보는 것이 좋다.
다발골수종 치료비 부담 낮아지나…“재발위험 1시간 내 정밀 진단”

기사와 직접적 관련 없는 참고사진 ⓒGettyImagesBank대표적인 혈액암 중 하나인 다발골수종의 재발 위험을 1시간 내 정밀하게 진단하는 유전자 검사법의 유용성을 확인한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에 발표됐다. 새롭게 개발된 ‘미세잔존암 평가’는 민감도도 높고 기존 검사법 대비 검사비도 낮아 진료 현장에 확대 시 치료비 부담도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미세잔존암 검사는 최소 1만개 이상의 세포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다채널 유세포분석검사 또는 차세대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가능한데, 다발골수종 치료반응 평가에도 활발히 적용 중이다. 고전적인 다발골수종 평가 방법은 약 1000개의 세포 중 다발골수종 암세포 관련 정보가 있다는 것을 평가하는 수준이었지만, 최근에는 100만개의 세포 중 단 1개의 암세포까지 측정할 수 있도록 개발됐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은 2019년부터 DURAClone(세포분석 항체 패널)을 활용한 미세잔존암 평가를 개발하여 다발골수종 환자 치료에 적용하고 있다. 서울성모병원 혈액병원 다발골수종센터 민창기(공동교신저자)·박성수(공동제1저자), 진단검사의학과 김명신(공동교신저자), 인천성모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안아리(공동제1저자) 교수 연구팀은 새로운 평가법을 진료현장에 확대 적용하고자 연구를 계획했다.
항암과 조혈모세포 이식 치료를 받은 다발골수종 환자 중 조혈모세포이식 치료 후 3~5개월에 국제골수종학회에서 제시한 ‘매우 좋은 치료 반응 기준’에 해당하는 총 166명의 환자를 선별했다. 환자의 골수 샘플을 새로 개발한 미세잔존암 평가법으로 검사한 결과, 음성 상태를 1년 이상 유지한 환자 114명은 재발 위험이 크게 감소하고 생존율도 향상된 것으로 확인됐다.
다발골수종은 백혈병과 함께 대표적인 혈액암으로, 과증식한 형질세포가 주로 뼈를 침범해 골절, 빈혈, 신부전, 고칼슘혈증 등 심각한 증상을 동반하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초기 치료 후 대부분 호전되고, 많은 신약이 개발됨에 따라 생존율이 괄목하게 향상된 질환이지만 재발이 잦다.
따라서 미세잔존암 평가는 다발골수종 환자의 질병 진행 여부와 치료 반응을 평가하는데 필수적이지만 국내에서는 그간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의 범용성이 부족했었다. 서울성모병원 의료진은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미세잔존암 측정 기술을 현장에 정착했으며, 기존 기술과 대비해 신속성과 높은 민감도를 갖출 수 있었다.
민창기 교수는 “이번에 새로 개발한 미세잔존암 평가에서 음성의 환자는 재발 위험이 낮다는 것이 확인된 만큼, 음성 환자는 조절된 치료로, 양성 확인 환자는 이차 조혈모세포이식이나 강화된 항암유지요법 등 환자 개인별 맞춤형 치료로 다발골수종 치료 성과를 획기적으로 향상 시킬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김명신 교수는 “이처럼 미세잔존암 검사는 단순히 질병 경과를 평가하는 것을 넘어, 환자 상태에 따라 치료 강도를 조절하는 ‘개인최적 맞춤치료’에 필수적”이라며 “앞으로도 혈액암 치료 후 아주 미량이라도 남아있는 미세잔존암을 정밀하게 찾는데 주력해 환자 생존율을 향상 시키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소감을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유럽혈액학회공식저널(Haematologica, IF 8.2)에 최근 게재됐다.
"입술·손에 올라온 까만 점"… 췌장암 위험 '132배' 더 높은 '이 질환' 신호

포이츠-제거스 증후군 발생으로 입술, 손바닥에 청회색 색소침착이 발생한 19세 여성의 모습./사진=큐레우스
방글라데시 다카에 위치한 의과대학 BSMMU( Bangabandhu Sheikh Mujib Medical University) 의료진은 19세 소녀 A양이 요로감염 치료를 위해 병원에 왔다가 우연히 태어날 때부터 지속적인 빈혈을 겪었고, 입술·입안·손바닥·발바닥에 피부 색소침착이 있다는 사실이 의사에게 발견됐다고 했다. 이에 검사를 해봤더니, 철분 결핍성 빈혈이 심해 철분을 주입하는 치료를 바로 시행했다. 또한 내시경에서 위와 대장에 다수의 용종이 확인돼 일부를 떼내는 시술을 받았다. 의료진은 A양의 다양한 증상을 종합해 분석하고, 조직병리학 검사까지 시행한 결과 '포이츠-제거스 증후군'인 것으로 결론내렸다.
포이츠-제거스 증후군은 소화기관에 여러 개의 용종이 생기고, 피부 점막에 멜라닌 색소침착이 발생하는 유전 질환이다. 희귀질환에 속해 6만 ~30만명 당 1명에게 발생할 정도로 아주 드물다. 주로 사춘기, 성년기에 발견된다. 포이트-제거스 증후군 환자에서 색소침착은 약 95% 비율로 높게 나타나고, 위장관 증상이 나타나기 전 먼저 발생해 초기 임상적 단서 역할을 한다. 색소침착은 1~5mm 크기로 나타나며, 입술(94%), 손(74%), 발(62%) 등에 많다. 이 밖에 콧구멍, 항문 주변, 요관, 담낭 등에도 나타날 수 있다. 포이츠-제거스 증후군 환자의 88%는 몸 안에 용종이 생긴다. 위치별 발생 비율은 소장(64%), 대장(64%), 위(49%), 직장(32%) 순이다. 용종 크기는 0.1~5cm로 다양하다. 영향받는 부위당 1~20개씩 발생한다. 용종이 커지면 출혈이 생기면서 A양처럼 빈혈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포이츠-제거스 증후군을 암 전단계라고 보진 않지만, 암 발생 위험이 다른 사람보다 훨씬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 일반 사람에 비해 암 위험이 최대 15배 높고, 췌장암 위험은 무려 132배 더 높다고 알려졌다. 포이츠-제거스 증후군 진단을 받으면 8세부터 암 검사를 시작하는 게 좋고, 용종이 발견된다면 최소 2~3년마다 추적 검사를 받아야 한다.
BSMMU 의료진은 "원인을 알 수 없는 피부 색소침착, 빈혈이 있는 젊은 성인의 경우 한 번쯤 포이츠-제거스 증후군을 의심해야 한다"며 "포이츠-제거스 증후군을 진단받았다면 만성 혈액 손실과 암 위험을 줄이기 위해 철분 보충, 내시경을 통한 폴립 제거가 시행돼야 한다"고 했다.
이 사례는 '큐레우스' 저널에 지난 4일 게재됐다.
문신男들 웃통 벗고 다닥다닥…'철로 만든 지옥' 트럼프에 보낸 딜

미국에서 추방된 불법체류자와 심각한 범죄를 저지른 미국 시민들이 엘살바도르의 악명높은 감옥으로 보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로 인해 엘살바도르 감옥의 혹독한 수감 환경에 재차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앞서 나이브 부켈레 엘살바도르 대통령은 3일(현지시간)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부 장관과 만남에서 미국이 추방한 불법 이민자를 국적과 관계없이 받아주기로 했다. 아울러 미국 시민권을 가진 범죄자도 수용할 수 있다는 뜻을 비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에게 그렇게 할 법적 권한이 있다면 나는 당장 그렇게 할 것"이라며 "우리가 할지 말지는 모르겠지만, 현재 그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긍정적 반응을 보이며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부켈레 대통령은 범죄에 대한 강력한 대처로 유명하다. 중남미 최대 규모의 수감시설인 테러범수용센터(CECOT)는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소다.
4일 뉴욕포스트에 따르면 인권단체들은 1만5000명의 수감자가 비인간적인 대우를 받고 있으며, 이 중 3분의 1은 무고한 사람일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하고 있다.

CECOT는 수도 산살바도르에서 남동쪽으로 약 76㎞ 떨어진 곳에 있다. 정부에 따르면 라이벌 갱단인 MS-13과 바리오 18의 단원이 이곳에 수감돼 있다.
감옥에는 넓은 식당과 휴게실, 체육관이 있다. 그러나 이 시설은 수감자가 아니라 약 2000명에 이르는 교도관을 위한 것이다.
CECOT 교도소장 벨라르미노 가르시아는 최근 감옥을 공개하면서 수감자들을 "갱생이 불가능한 사이코패스"라고 했다. CECOT는 교화가 아니라 격리에 초점을 맞춰 수감자를 다룬다.
죄수는 24시간 중 23시간 30분을 감방에서 보낸다. 하루에 30분 복도에서 운동할 수 있다. 감방마다 65~70명이 북새통을 이룬다. 같은 감방에 라이벌 갱단이 함께 수용되는 경우도 있다.

재판도 감옥 내 영상 시스템을 통해 진행된다.
수감자는 감방 안에 있는 물탱크에서 물을 떠 마신다. 샤워도 이곳에서 한다.
부켈레 대통령은 CECOT에서 육류 섭취를 금지했다. 단백질 공급은 식물성 단백질인 콩을 통해 이뤄진다. 감옥에서 제공되는 식사량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엘살바도르 인권단체 크리스토살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6월까지 최소 174명의 죄수가 고문당하거나 살해당했다.
유엔 고문 방지 소위원회(SPT) 전 위원이었던 미겔 사르는 CECOT를 "콘크리트와 강철로 만든 지옥"이라고 비판했다.
부켈레 대통령은 수수료를 받고 '교도소 아웃소싱'하는 방안을 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대중에게 알리면서 "이 수수료는 미국에는 상대적으로 낮겠지만, 우리에게는 상당한 금액이어서 우리의 전체 감옥 시스템을 지속 가능하게 만들 것"이라고 기대했다.
게시글 찬성/반대
- 5추천
- 0반대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