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 차 - |
<상> ASF 백신 왜 어렵나 <중> 백신 개발, 어디까지 <하> 제도적 뒷받침 시급하다 |
ASF 발생으로 전세계 양돈농가들이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백신 개발이 한창이다.
우리나라도 정부와 산업체를 중심으로 국내 분리주와 해외 도입 백신후보주를 이용한 백신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코미팜과 케어사이드는 각각 미국과 스페인에서 백신후보주를 도입했고, 중앙백신연구소는 국내주를 이용해 활발한 연구를 수행 중이라 백신 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가장 발 빠른 행보를 보이는 나라는 미국이다. 미국은 오는 8월 말까지 ASF 약독화 생백신을 기존 생물안전3등급(BSL3) 시설에서 BSL2에서 생산 가능하도록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는 구체적인 계획까지 발표했다.
그러나 이같이 백신 개발과 제도 도입에 속도를 내고 있는 해외와 달리 우리나라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지적이다. ASF 백신 개발을 위한 예산이 턱없이 부족한데다, 국내 ASF 백신에 대한 평가기준도 전무하다. 또한 백신 개발 연구를 위한 BSL3 시설 부족에 따라 연구 개발이 지연되는 등 인프라 확충의 필요성이 절실히 대두되고 있어, 정부가 하루빨리 관련 제도와 정책을 마련해 업계 발전을 뒷받침해야 한다는 비판이 나온다.
실제 올해 농식품부의 연구개발 예산은 ASF를 포함한 고위험동물감염병 대응기술 개발에 48억 원이 배정됐고, 국가과학기술정보서비스(NTIS)에 등록된 ASF 백신 관련연구는 8건, 총 27억 원에 불과하다. 반면 멧돼지로부터 ASF 확산을 막겠다며 전국 22개 시군에 걸쳐 2693km의 울타리를 치는데에는 1770억 원이 투입됐다.
동물용의약품 국가출하승인 검정기준 내 ASF가 부재한 것도 문제다. 때문에 업계에서는 ASF 전국 확산 등 긴급사태에 대비해 △최소한의 안전성과 방어능 기준 설정 △국내 발생상황과 지역 상황을 고려한 백신 적용 범위 △백신 범위에 따른 제반 물류 체계 △ 백신 비접종 지역의 농장 내 방역수준 지침 등 로드맵을 선제적으로 정립하고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ASF 백신 개발 연구를 위한 시설 확충도 시급한 사안이다. ASF 바이러스는 제1종 가축전염병이라 동물 실험은 생물안전3등급(ABL3)만 가능한데 국내 연구시설은 검역본부와 전북대 등 단 2곳에 불과해, 이에 따른 국내 실험 기회 제한으로 부득이 해외에서 실험을 진행해야 하는 등 추가 비용 발생과 연구 개발 지연으로 인프라 확충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안전한 백신주에 한해 생산시설 조건을 기존 BL3에서 BL2로 낮춰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아울러 국내 야외 임상시험 승인과 함께 어렵다면 해외 임상시험 승인이 필요하며, 국내 사용이 어렵다면 수출용 제품으로 허가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한 업계 전문가는 “최근 경북 영천지역에서도 ASF가 발생하는 등 이제 전국이 위험지대다. 백신을 놓고 안 놓는건 추후 선택의 문제고 일단 준비는 해놓는 것이 옳다”면서 “특히 ASF 백신은 수출품목으로서 잠재력이 큰 만큼 정부 차원의 제도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