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정보

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내 외신 코미팜

작성자 정보

세자

게시글 정보

조회 2,145 2024/06/21 23:29
수정 2024/06/21 23:46

게시글 내용

ASF

ASF 백신 개발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 (하) 제도적 뒷받침 시급하다



재정·제도적 지원 뒷받침 시급

예산 쥐꼬리·평가 기준 전무
시설 부족해 연구 개발 지연
안전한 백신주 조건 낮추고
해외 임상시험 승인도 필요

 

- 목 차 - 
<상> ASF 백신 왜 어렵나

<중> 백신 개발, 어디까지 

<하> 제도적 뒷받침 시급하다

ASF 발생으로 전세계 양돈농가들이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백신 개발이 한창이다.

우리나라도 정부와 산업체를 중심으로 국내 분리주와 해외 도입 백신후보주를 이용한 백신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코미팜과 케어사이드는 각각 미국과 스페인에서 백신후보주를 도입했고, 중앙백신연구소는 국내주를 이용해 활발한 연구를 수행 중이라 백신 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가장 발 빠른 행보를 보이는 나라는 미국이다. 미국은 오는 8월 말까지 ASF 약독화 생백신을 기존 생물안전3등급(BSL3) 시설에서 BSL2에서 생산 가능하도록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는 구체적인 계획까지 발표했다.

그러나 이같이 백신 개발과 제도 도입에 속도를 내고 있는 해외와 달리 우리나라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지적이다. ASF 백신 개발을 위한 예산이 턱없이 부족한데다, 국내 ASF 백신에 대한 평가기준도 전무하다. 또한 백신 개발 연구를 위한 BSL3 시설 부족에 따라 연구 개발이 지연되는 등 인프라 확충의 필요성이 절실히 대두되고 있어, 정부가 하루빨리 관련 제도와 정책을 마련해 업계 발전을 뒷받침해야 한다는 비판이 나온다.

실제 올해 농식품부의 연구개발 예산은 ASF를 포함한 고위험동물감염병 대응기술 개발에 48억 원이 배정됐고, 국가과학기술정보서비스(NTIS)에 등록된 ASF 백신 관련연구는 8건, 총 27억 원에 불과하다. 반면 멧돼지로부터 ASF 확산을 막겠다며 전국 22개 시군에 걸쳐 2693km의 울타리를 치는데에는 1770억 원이 투입됐다.

동물용의약품 국가출하승인 검정기준 내 ASF가 부재한 것도 문제다. 때문에 업계에서는 ASF 전국 확산 등 긴급사태에 대비해 △최소한의 안전성과 방어능 기준 설정 △국내 발생상황과 지역 상황을 고려한 백신 적용 범위 △백신 범위에 따른 제반 물류 체계 △ 백신 비접종 지역의 농장 내 방역수준 지침 등 로드맵을 선제적으로 정립하고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ASF 백신 개발 연구를 위한 시설 확충도 시급한 사안이다. ASF 바이러스는 제1종 가축전염병이라 동물 실험은 생물안전3등급(ABL3)만 가능한데 국내 연구시설은 검역본부와 전북대 등 단 2곳에 불과해, 이에 따른 국내 실험 기회 제한으로 부득이 해외에서 실험을 진행해야 하는 등 추가 비용 발생과 연구 개발 지연으로 인프라 확충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안전한 백신주에 한해 생산시설 조건을 기존 BL3에서 BL2로 낮춰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아울러 국내 야외 임상시험 승인과 함께 어렵다면 해외 임상시험 승인이 필요하며, 국내 사용이 어렵다면 수출용 제품으로 허가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한 업계 전문가는 “최근 경북 영천지역에서도 ASF가 발생하는 등 이제 전국이 위험지대다. 백신을 놓고 안 놓는건 추후 선택의 문제고 일단 준비는 해놓는 것이 옳다”면서 “특히 ASF 백신은 수출품목으로서 잠재력이 큰 만큼 정부 차원의 제도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ASF 백신 개발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 (하) 제도적 뒷받침 시급하다 < 동약 < 관련산업 < 기사본문 - 축산경제신문 (chukkyung.co.kr)

[한 장의 사진] 꼬박 4일 걸렸다...규모도 작업도 역대급

경북 영천 ASF 발생농가 돼지 25,900마리 대상 살처분·매몰 작업, 발생 4일 만에 완료...인력 115명, 13개 대형 액비저장조 등 투입



영천 ASF 발생농가 진입로에 생석회가 뿌려지고 있습니다@영천시
▲ 영천 ASF 발생농가 진입로에 생석회가 뿌려지고 있습니다@영천시

 

지난 15일 ASF가 확진된 경북 영천농가 돼지에 대한 살처분·매몰 작업이 19일, 확진된지 4일 만에 완료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최초 알려진 사육두수(24,622마리)보다 1300여 마리 더 많은 25,900마리의 돼지가 있었던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돼지 살처분은 이산화탄소 가스와 주사용 약물이 사용되었으며, 13개의 대형 액비저장조에 나뉘어 매몰처리 되었습니다. 작업에는 인력 115명과 포크레인 8대, 덤프트럭 4대, 집게차 2대가 투입되었습니다. 발생농가 규모도 역대급이었지만, 살처분·매몰 작업 과정도 역대급이었습니다. 한돈산업에 있어 뼈아픈 기록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앞으로도 이러한 일이 또 다시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데 있습니다. 정부는 최근 “이제 더 이상의 ASF 안전지대는 없는 상황으로"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중장기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언제까지 농가의 차단방역에만 의존할 일이 아닙니다. '정부의 하는 척, 막는 척, 잡는 척' 정책에 한돈농가만 다 죽을 판입니다(관련 기사). 

 



“야생멧돼지 ASF 차단없이 농장 발생 못막아”

영천 발생농장 10km내서 33건 검출
이달 5일에는 1.5km 거리서도 확인



[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한돈협 “포획·수색 강화” 거듭 촉구

기존 방역조치도 대거 보완 필요성 

 

경북 영천의 양돈장 ASF 발생을 계기로 야생멧돼지 방역정책에 대한 양돈현장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이번에 ASF가 발생한 양돈장의 방역체계(1유형 울타리농장)나 농장 입지를 감안할 때 ‘야생멧돼지 리스크’ 외에는 별다른 원인을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실제로 영천 ASF 발생농장 주변 10km내에서는 지금까지 모두 33건의 야생멧돼지 ASF가 검출됐다. 지난 5일에는 불과 1.4km 거리에서도 야생멧돼지 ASF가 확인되기도 했다.

경북 영천의 양돈농가들은 한결같이 “해당 농장이 방역시설은 물론 평소 관리도 잘 이뤄지는 곳으로 알고 있다”며 “그런데 이런 농장에서도 ASF가 발생하다 보니 충격과 위기감이 더 클 수 밖에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에따라 야생멧돼지 ASF 방역강화를 촉구하는 양돈업계의 목소리도 높아만 가고 있다.

대한한돈협회는 지난 17일 ASF 예방을 위한 야생멧돼지 포획 및 사체 수색 확대를 환경부에 거듭 촉구했다.

아무리 차단방역을 철저히 한다고 해도 주변 야생멧돼지에서 계속 ASF가 발생하면 언젠가는 농장까지 전파될 수 밖에 없음을 강조한 것이다.

손세희 한돈협회장은 “농장 방역은 농가들이 책임져야 한다. 하지만 야생멧돼지 방역은 정부의 몫”이라며 “따라서 야생멧돼지로 인한 ASF 전파와 농가 피해는 당연히 정부 책임일 수밖에 없다. 기존의 소극적인 야생멧돼지 방역대책이 달라지지 않을 경우 강력한 반발에 부딪히게 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그나마 이뤄지고 있는 기존 야생멧돼지 ASF 방역대책의 개선도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영천의 욱일농장 한동윤 대표(한돈협회 청년분과위원장)은 “야생멧돼지 ASF가 잇따라 확인되면서 수렵과 수색 확대에 따른 부작용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후속 대책을 방역당국에 요구해 왔지만 반영되지 않았다”며 “방역행정이 ASF 확산의 또다른 원인이 되지 않도록 철저한 점검과 보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는 인공지능(AI)을 사용하여 영문 원본에서 한국어로 자동 번역된 것입니다. 영문 버전을 이 기사의 공식적인 버전으로 봐야합니다. 번역에 대해 이견이 있으시면 service@dowjones.com 로 이메일을 보내주십시오.

 

By Ed Frankl

 

미국 경제 성장은 2024년 중반에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소비자들은 높은 금리와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 속에서 비관적으로 변하고 있다고 월간 지표가 보도했습니다.

컨퍼런스 보드는 금요일에 주요 경제 지표(LEI)가 5월에 0.5% 하락해 101.2로 3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고 밝혔습니다. 4월에는 0.6% 하락했습니다. 이는 The Wall Street Journal이 설문조사한 경제학자들의 합의 예측치인 0.3% 하락보다 조금 더 큰 폭의 하락입니다.

컨퍼런스 보드의 경기 순환 지표 담당 수석 관리자인 저스티나 자빈스카-라 모니카는 "미국 LEI는 5월에 다시 하락했는데, 이는 주로 신규 주문 감소, 미래 경기 상황에 대한 약한 소비자 심리, 건축 허가 감소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지수가 경기 침체를 시사하지는 않았지만, 올해 2분기와 3분기에 높은 인플레이션과 높은 금리가 소비자 지출에 부담을 주면서 경제 성장률이 연 1% 미만으로 둔화될 것이라고 그녀는 덧붙였다.

미국은 1분기 연 1.3%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LEI는 경기 순환의 전환점을 약 7개월 앞서 예측하는 선행 변수입니다. 이 지표는 제조업체 신규 주문, 실업 수당 신청, 신규 개인 주택 건설 허가, 주가, 소비자 기대 등 10가지 구성 요소를 기반으로 합니다. 경기 순환의 변화를 알리는 신호입니다.

 
 

DNCO20240621003657

(END) Dow Jones Newswires

June 21, 2024 10:18 ET (14:18 GMT)

DJ U.S. Economy to Slow, Leading Indicators Say
 

By Ed Frankl

 

U.S. economic growth is set to cool in the middle half of 2024, with consumers growing more pessimistic amid elevated interest rates and still-high inflation, a monthly indicator said.

The Conference Board said Friday that its Leading Economic Index, or LEI, declined 0.5% to 101.2 in May, a third-straight fall, after a 0.6% slump in April. That was a little sharper than the 0.3% fall expected by a consensus of economists polled by The Wall Street Journal.

"The U.S. LEI fell again in May, driven primarily by a decline in new orders, weak consumer sentiment about future business conditions, and lower building permits," said Justyna Zabinska-La Monica, senior manager for Business Cycle Indicators at The Conference Board.

While the index didn't signal recession, it implies that economic growth would slow to under 1% annualized over the second and third quarters of this year, as elevated inflation and high interest rates weigh on consumer spending, she added.

The U.S. posted 1.3% annualized gross domestic product growth in the first quarter.

The LEI is a predictive variable that anticipates turning points in the business cycle by around seven months. The indicator is based on 10 components, among them manufacturers' new orders, initial claims for unemployment insurance, building permits of new private housing units, stock prices and consumer expectations. It is intended to signal swings in the business cycle.

 

Write to Ed Frankl at edward.frankl@wsj.com

 

(END) Dow Jones Newswires

June 21, 2024 10:18 ET (14:18 GMT)

Copyright (c) 2024 Dow Jones & Company, Inc.



“국가생명윤리심의위 대통령 소속 유지해야”


위원회 개선을 위한 권고 발표…예산·인력·조직 지원도

[의학신문·일간보사=이승덕 기자]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가 대통령 소속을 유지하는 한편, 예산·인력 등 지원을 강화해야한다고 권고했다.

대통령 소속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위원장 김봉옥)는 ‘국가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개선을 위한 권고’를 의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지난 10일 의결된 이번 권고는 우리 사회 다양한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올바른 정책 수립을 위한 국가위원회의 역할이 갈수록 중요해지면서 실질적 역할 및 기능을 위한 운영개선이 필요하다 판단해 이뤄졌으며, 2021년 6월 출범한 6기 위원회 임기를 마치며, 그간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한 ‘국가생명윤리 심의위원회 운영개선 정책 보고서’에 근거해 마련됐다.

권고는 증가하는 다양한 생명윤리 어젠다에 대한 국가의 정책적 논의를 위해 공중의 공적 참여와 숙의를 위한 국가위원회의 역할과 이를 위한 실질적 운영 기반의 마련 등을 위한 운영 개선 필요성을 담고 있다.

특히, 여러 부처 간 이해관계 조정 등을 통한 실효성 있는 정책 추진을 위한 국가위원회의 위상과 정체성 확립, 선제적 과제 발굴, 심의 기능 외 정책 자문 등을 위한 전문적 조사·연구 등의 역량 지원 및 공론화 허브 등의 역할을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생명윤리와 관련된 쟁점 특성상 부처 소관 업무에 국한되지 않고 대통령 소속 위원회를 유지하도록 권고했다.

또한 우리 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생명윤리 쟁점은 공중의 공적 참여(public engagement)라는 숙의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방식으로 수행해야 한다고 했으며, 운영을 위한 적절한 예산, 인력 및 조직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권고했다.

위원회는 정부는 이번 제안 사항과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운영 개선 정책 보고서’에서 제시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제7조 및 제8조의 개정안을 반영한 법 개정을 하도록 권고했다.

김봉옥 위원장은 이번 권고를 발표하며 “향후 구성될 7기 국가위원회가 좀 더 개선된 환경하에서 올바른 정책 수립을 위한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해 줄 것을 기대하며, 이를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해 줄 달라”고 당부했다.

50돌 암학회 “도전을 넘어 희망의 100년” 준비


학술대회 개최…50년사 발간 · 타임캡슐 등 의미 다져
신임 이사장 라선영 연세의대 교수 · 신임 회장 박우윤 충북의대 교수

[의학신문·일간보사=이승덕 기자]50돌을 맞은 암학회가 학술대회를 계기로 희망의 100년을 준비한다고 밝혔다.

대한암학회 김태유 이사장(서울의대 교수)<사진>은 지난 20일 롯데호텔서울에서 ‘제50차 학술대회’ 기자간담회를 열고 의미를 설명했다.

양일간(20~21일) 롯데호텔에서 열리는 이번 50차 학술대회는 창립 50주년을 맞이해 50주년 기념식과 50년사 발간, 타임캡슐, 50주년 굿즈 판매 등 다양하고 의미 있는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김태유 이사장은 “‘도전과 열정의 50년, 새 희망의 100년’이라는 슬로건 아래, 학회가 어떻게 성장과 발전을 이뤄 왔는지 과거를 되돌아보면서 미래를 열 수 있다는 마음으로 이번 50주년 행사를 준비했다”고 소개했다.

이어 “우리 학회 회원들과 창립 50주년의 기쁨을 같이하면서 미래 100년을 준비하고자 하며 암학회는 앞으로도 국내 암 분야의 중심 학회로 아시아를 넘어 글로벌 암연구학회의 리더로서 그 역할을 다하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50차 암학회 학술대회는 전 세계 19개국 1300여 명의 기초 및 임상연구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이뤄졌으, 양일간 4개의 주요 강연과 18개의 심포지엄 등 37개의 학술세션에서 325편의 강연 및 초록이 진행됐다.

4개의 주요 강연을 보면, 연세의대 백순명 교수가 표적 맞춤형 암백신에 대해, 미국 Salk Insitute for Biological Stuies의 Reuben Shaw 교수가 비소세포폐암에서의 종양 억제에 관해 강연했다.

둘째날인 21일에는 서울의대 방영주 교수(前 대한암학회 이사장)가 항암 치료의 발전사와 암학회 주요 성장과정을 발표했으며, Ntherlands Cancer Institue의 Emile Voest 교수가 전장유전체분석의 정밀의학 발전 기여에 대한 강연을 펼쳤다.

심포지엄에서는 국내외 초청 연자들이 차세대 암 치료법을 포함해 암의 조기발견과 예방, 유전암, 방사선치료 반응에 대한 연구, 임상데이터를 위한 인공지능, 종양의 WHO 분류 변화과정 등 기초 임상을 아우르는 다양한 연구 결과의 교류와 국내외 종양학 발전 과정을 살펴보는 자리가 됐다는 설명이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또한 학회의 50년 역사와 발자취를 담은 ‘대한암학회 50년사’ 발간 역시 의미 있는 활동이라고 강조했다.

50년사는 2014년 발간한 ‘대한암학회 40년사’를 재구성하고 10년간 학회 활동을 추가했다. 발간위원회에서는 50년사를 통해 학회가 지나온 50년사를 돌아보고 기념하는 동시에 앞으로 100년을 향한 50년 암 연구 발전의 초석을 다지는 이정표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김 이사장은 최근 10년 활동과 관련 “다학제가 구체화되고 임상 쪽도 분과별로 많이 발전했다”면서 “여러 진단치료에서 정밀의료 등 기술발전이 있었으며, 글로벌 기준에서도 아시아에서 돋보이는 대한암학회의 리더십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학회에서는 다음 창립 100주년을 내다보는 학회의 새로운 비전과 미션도 선포됐다.

‘암 연구 및 치료의 선도학회로서 암 교육 및 연구기반을 제공하고 국민에게 최고 수준의 암 치료를 제공한다’는 새 비전을 선포하고 학회 지향점과 미래상을 제시하는 것으로, 21일 50차 대한암학회 정기총회에서 진행됐다.

한편, 대한암학회는 지난해 차기 이사장에 선출된 연세의대 라선영 교수가 이번에 신임이사장이자 학회 최초 여성 이사장으로 취임해 2년간 암 학회를 이끌어가게 된다.

또한 50차 정기총회에서는 신임 회장으로 박우윤 충북의대 교수가, 부회장으로 박웅양 삼성서울병원 교수, 김태원 서울아산병원 교수 등 2명이 각각 선출돼 총회 인준 이후 임기를 시작했다. 임기는 1년이다.

게시글 찬성/반대

  • 9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 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

하단영역

씽크풀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투자에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또한 이용자는 본 정보를 무단 복사, 전재 할 수 없습니다.

씽크풀은 정식 금융투자업자가 아닌 유사투자자문업자로 개별적인 투자상담과 자금운용이 불가합니다.
본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모든 정보는 투자판단의 참고자료로 원금 손실이 발생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씽크풀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70, 15층 (여의도동, 미원빌딩)

고객센터 1666-6300 사업자 등록번호 116-81-54775 대표 : 김동진

Copyright since 1999 © ThinkPool Co.,Lt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