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ASF 백신 개발을 위해 많은 지원과 예산을 투입하여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전용 연구시설, R&D 예산, 인력 등 모든 분야에서 부족해 활발한 연구 개발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는 연구진들의 목소리가 나온다.
이는 지난 5월 21일 홍문표 국회의원(국민의힘, 충남 홍성군·예산군) 의원실이 주최하고, 대한수의사회(회장 허주형)와 축산신문(대표 이상호)이 공동 주관한 'ASF 백신 개발 어디까지 왔나' 국회 토론회에서 오연수 강원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의 'ASF 백신 개발을 위한 연구 지원 및 제도 개선 방안'이라는 주제에서 나왔다.
오연수 교수는 ASF바이러스는 약 190개의 많은 유전자를 가지고 있고 이 중 많은 부분이 면역회피 기능을 지녀 타깃 유전자 조차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것이 백신 개발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라고 꼽았다.
오 교수는 "ASF바이러스 입자는 상당히 복잡하고 복합적인 바이러스이기 때문에 감염이 되었을 때 감염된 개체에서 무엇을 막아야 할 지 모르는 상태"라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새로운 기술이 도입될 경우 상당한 시간과 노력, 그리고 자금이 들어간다"고 말했다.
어려운 바이러스 특성에 더해 전용시설 부족, 부족한 예산 지원 등은 백신 개발의 속도를 더디게 하고 있다. ASF 백신 개발을 위해서는 생물안전등급 BSL3 시설이 필요하지만 국내 BSL3 시설은 전북대학교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와 농림축산검역본부 단 2곳에 불과하다.
오 교수는 "현재 많은 기관에서 ASF 백신 개발을 위해 작은 예산으로 연구하고 있지만, 이 두 기관에서 실험을 하기에 굉장히 어려운 상황"이라며 "국내에 ASF 백신 개발 연구를 위한 BSL3 시설이 부족하기 때문에 많은 연구진들은 실험을 하기 위해 해외로 나가서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ASF는 제1종 가축전염병에 속하고 제3위험군에 해당되기 때문에 BSL3 시설에서 밖에 다룰 수 없겠구나라는 생각을 할 수 있지만 백신 개발의 최종 목표는 사육돼지와 야생멧돼지까지도 생독 백신을 접종해야 한다는 점을 종합해 보면 이 병원체를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BSL3 시설에서만 다뤄야 한다는 점은 다시 한번 논의해 볼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또한 이 같이 모자란 인프라와 함께 R&D 예산도 턱없이 부족하다고 밝혔다. 오 교수는 "ASF 확산을 막기 위해 설치된 울타리에는 약 1,770억원이 투입됐지만 연구개발 예산은 총 355억원, 그 중에서도 고위험 동물감염병 예산은 48억원만이 배정됐다"고 지적했다.
이와 반면 호주, 미국, 유럽 등 선진국가에서는 막대한 예산과 인프라로 ASF 백신 개발에 몰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 교수는 "미국의 경우 본토에서 발생하지 않았지만 USDA를 비롯해 캔자스, 네브라스카, 코넬, 일리노이 등의 대학에서 많은 비용을 들여 ASF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히고 "유럽의 경우에도 스페인과 이탈리아에서 ASF 백신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연구 활성화를 위해서 현실적으로 연구시설 제한에 대한 제도 개선이 절실하다"며 "BSL2 시설에서도 실험될 수 있도록 제도 간소화나 개선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