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정보

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오늘의 대차상환

작성자 정보

세자

게시글 정보

조회 502 2024/04/12 18:40
수정 2024/04/12 18:58

게시글 내용

외국인 매도                            9,566주 (제이피 모간 매도 4,107주 UBS 매도 3,488주 메릴린치 매수 608주 모간서울 매수 997주  )



개인 매도                              5,595주



기관 매도                             13,725주 (증권 매도 14,094주 사모펀드 매수 369주)



기타법인 매수                         28,886주



공매도                                    243주(평균단가 4,165원)



대차체결                                 202주



대차상환                              9,659주



대차잔고                         3,254,484주 


검역본부, 현장서 2시간 이내 구제역 혈청형 감별 진단법 교육 (pigpeople.net)




[ASF 실시간 현황판] 감염멧돼지 11일 8건(포항,영덕,청송,의성,영월).....4월 누적 78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실시간 현황판 두 번째('23.4~)/ASF 첫 확진 1669일째
업데이트 '24.04.12 00:00/누적 확진 4003건(사육돼지 40, 야생멧돼지 3963)




의약품안전원, KHC서 환자 마약류 투약내역 확인 의무화 홍보

홍보부스 운영-이벤트...'마약류 의료쇼핑 방지 정보망’ 연계 등 안내

의약품안전원이 환자 마약류 투약내역 확인 의무화 제도에 대해 집중 알렸다.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원장 오정완, 이하 의약품안전원)은 4월 11일(목)과 12일(금) 양일간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리는 ‘The 15th Korea Congress(이하 KHC) 2024’에 참가하여 ‘환자 마약류 투약내역 확인 의무화 제도’ 시행을 알렸다.

지난해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이 일부 개정(’23.6.13.)되어 의사가 마약 또는 향정신성의약품을 기재한 처방전을 발급하는 경우 환자의 마약류 투약내역을 의무적으로 확인하도록 하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의약품안전원은 환자의 마약류 투약내역 확인 의무화에 대비하기 위해 ‘마약류 의료쇼핑 방지 정보망’ 사용 및 처방 프로그램 연계 방법 등을 집중 홍보해 왔다.

마약류 의료쇼핑 방지 정보망은 의사가 의료용 마약류가 기재된 처방전을 발행하기 전, 지난 1년 동안의 마약류 투약내역을 조회ㆍ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의사들은 이 시스템을 활용해 환자가 의료용 마약류를 과다·중복 처방 받은 사실을 사전에 확인할 수 있고, 과다·중복 처방 등 오남용이 우려될 경우에는 처방 또는 투약하지 않을 수 있다.

올해 6월 14일부터는 의사가 의료용 마약류를 처방할 때 투약내역을 확인하도록 하는 의무화 법안이 시행된다. 

이에 의약품안전원은 KHC에 참가하여 의사, 병원 관계자, 유관기관·협회 관계자 약 1천명을 대상으로 ‘환자 마약류 투약내역 확인 의무화 제도’에 대해 중점적으로 안내하여 제도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제도 시행 시기, 조회 대상 약물 등을 담은 홍보포스터와 동영상을 제작하여 학회 내 홍보에 활용하고, 홍보부스를 운영하며 의무화 제도 시행 세부 사항, 의사가 사용하는 처방소프트웨어와 마약류 의료쇼핑 방지 정보망 연계를 통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 등에 대하여 상세히 소개했다.

의무화 제도에 대한 정보를 흥미롭게 전달하기 위해 퀴즈 이벤트도 진행했으며, 퀴즈의 정답을 맞힐 경우 소정의 기념품을 증정하기도 했다.


오정완 원장은 "의료전문가인 의사가 진료 현장에서 환자의 마약류 투약내역 확인 절차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전문가 대상으로 교육·홍보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며 "의무화 제도를 안착시켜 의료용 마약류의 안전사용 환경을 조성하는 데에 앞장서겠다"고 전했다. 

의약품안전원은 '환자 마약류 투약내역 확인 의무화 제도'의 안정적인 시행을 위해 오는 5월 대한중소병원협회 주최의 학술세미나, 제77차 대한통증학회 학술대회 등에 참가해 지속적으로 홍보할 예정이다.

한편, ‘헬스케어 대전환 시대, 우리의 미래를 세계에 묻다’라는 주제로 올해 15회째를 맞이한 KHC는 대한병원협회가 주최하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병원 국제학술대회다.




    투석·이식해야 하는 '말기 콩팥병' 환자 13만여 명…10년 새 92% 증가


대한신장학회, '말기 콩팥병 팩트 시트 2024' 발표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말기 콩팥병 환자가 2022년 13만4,826명으로 2012년 7만211명보다 10년 새 92%가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말기 콩팥병은 만성콩팥병(1~5단계) 가운데 최종 단계(5단계) 중 혈액 투석(透析)·복막 투석·콩팥이식 등 ‘신(腎) 대체 요법’으로 치료가 필요한 상태를 말한다.

대한신장학회 등록위원회는 12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말기 콩팥병 팩트 시트 2024(End Stage Kidney Disease Fact Sheet 2024)’를 발표했다.

팩트 시트는 2010~2022년 ‘대한신장학회 말기 콩팥병 등록 사업(Korean Renal Data System·KORDS)’에 등록된 전국 규모 환자 자료를 분석한 것이다.

말기 콩팥병 환자의 평균 나이는 2022년 65.9세로 2014년 57세에서 꾸준히 늘어났으며, 2022년 65세 이상 고령인 환자가 59%를 차지했다.

말기 콩팥병의 주요 원인 질환 가운데 당뇨병(48%)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고혈압(21%)이 뒤를 이었다. 당뇨병으로 인한 말기 콩팥병 증가 속도가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혈액 투석·복막 투석·콩팥이식 등 ‘신 대체 요법’ 중 혈액 투석 환자가 84%로 가장 많았고, 콩팥이식 환자는 11%, 복막 투석 환자는 6%였다. 특히 혈액 투석 비중이 지난 10년간 꾸준히 늘어난 반면 재택 치료가 가능한 복막 투석 치료 비율은 점점 줄고 있는 추세다.

말기 콩팥병으로 인한 사망률은 크게 줄면서 2010년 연간 사망자가 1,000명당 62명이었는데 2020년 47명으로 크게 감소했다.

당뇨병이 있는 말기 콩팥병 사망자는 2010년 1,000명당 76명으로 당뇨병이 없는 말기 콩팥병 사망자 46명보다 많았다. 하지만 2020년에는 당뇨병을 앓는 말기 콩팥병 사망자가 46명으로 크게 줄어 당뇨병이 없는 말기 콩팥병 사망자(43명)과 비슷했다.

대한신장학회는 “당뇨병·콩팥병에 대한 의술과 의료진 경험이 축적으로 인한 숙련도가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여겨진다”고 했다.

김용균 대한신장학회 등록이사(성빈센트병원 신장내과 교수)는 “이번 말기 콩팥병 팩트 시트 2024는 국내 말기 콩팥병 현황과 심각성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구성했다”며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말기 콩팥병 환자의 삶의 질과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관리·치료를 체계화하는 법 제정이 시급하다”고 했다.

임춘수 대한신장학회 이사장(서울시 보라매병원 신장내과 교수)은 “이번에 발표한 팩트 시트를 토대로 학회와 정부가 힘을 합쳐 말기 콩팥병 환자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길을 모색하길 바란다”고 했다.

대한신장학회 제공

대한신장학회 제공

◇만성콩팥병 5단계?



만성콩팥병 진단에는 혈액‧소변검사 등을 시행한다. 특히 '추정 사구체여과율(eGFR)', 혈청 크레아티닌 검사, 요단백·콩팥 초음파검사 등으로 진단한다. 사구체여과율에 따라 만성콩팥병 1~5단계로 나눈다.

△1~2단계에서는 당뇨병·고혈압·비만 등 원인 질환을 집중 치료하고, 3단계부터는 콩팥 기능 소실을 늦추기 위한 약물 치료를 시행한다. 약물 치료와 함께 저염‧저단백식 같은 식단 조절을 해야 한다.

△3~4단계는 콩팥 손상과 기능 감소가 점점 빨라지기에 기저 질환과 합병증을 집중 관리해야 한다. 단백뇨·고혈압·빈혈·뼈와 미네랄 이상 등 합병증 관리도 필요하다. 나트륨·칼륨·인 섭취를 제한해야 하지만, 이는 콩팥 기능 정도와 원인 질환에 따라 환자마다 다르기에 의사와 상담해야 한다.

△5단계는 이미 콩팥 기능이 너무 나빠져 노폐물이 과다 축적돼 합병증이 더 악화하기 전에 투석 치료나 콩팥이식 준비가 필요하다. 투석 환자는 특별한 식사와 약물 관리를 병행하고 심혈관 합병증, 뼈·미네랄 이상, 빈혈 등도 관리해야 한다.

게시글 찬성/반대

  • 4추천
  • 1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 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