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신문·일간보사=이승덕 기자]정부가 올해 투입되는 바이오헬스 2조원 이상의 R&D 투자와 2만명 이상의 인력양성 등 지원방안을 점검하고, 재생의료·의료기기 SW 등 규제개혁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4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제2차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를 개최하고 △바이오헬스 연구개발(R&D) 2024년 추진계획 및 2025년 중점 지원전략 △바이오헬스 인재 양성 방안 이행점검 △바이오헬스 혁신을 위한 규제장벽 철폐방안(상시안건) △바이오헬스혁신위 자문단 구성·운영 계획에 대해 논의했다.
상시안건으로 다루고 있는 규제장벽 철폐방안에서는 1차 회의 이후 혁신위 위원 등을 통해 발굴된 20개 과제 중, 현장의 요구가 높은 8개 과제에 대한 개선방안도 논의했고, 규제개혁마당도 설치·운영키로 하였다.
이번 회의는 민간의 혁신적·창의적 의견이 자유롭게 제시되고 논의될 수 있도록 민간 부위원장을 위촉한 취지에 따라 김영태 부위원장이 주재했다.
◆R&D 2024년 추진계획 및 2025년 중점 지원전략=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등 주요 부처별 2024년 바이오헬스 R&D 투자계획과 2025년 투자 방향을 보고받고, 한국이 빠른 추격자(fast follower)에서 최초 선도자(first mover)로 발전하고 디지털·바이오 분야 초격차 기술 확보 및 글로벌 강국 도약하기 위한 R&D 추진전략과 방안 등을 논의했다.
2024년 바이오헬스 R&D 규모는 11개 부처 총 2조 2138억원으로, 국가 전체 주요 R&D의 약 10% 수준이다. 주요 부처별로는 복지부 7884억원, 과기부 6377억원, 산업부 3522억원, 질병청 1681억원, 식약처 942억 원 규모로 투자될 계획이며, 특허청은 특허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각 부처의 R&D 효율화를 지원할 예정이다.
R&D 투자는 크게 7개 분야로 구성되는데 ‘글로벌 블록버스터 신약 개발, 첨단바이오 전략기술 및 미래 유망기술 선제적 확보를 위한 신산업 육성(43%)’이 1/3을 넘는 비중을 차지한다.
또한 ‘필수의료 등 국민생명·건강(17%)’, ‘백신·치료제 개발 및 국가방역시스템 고도화 등 보건안보(14%)’가 뒤를 이었으며 ‘핵심인력 양성 등 생태계 조성(8%)’, ‘AI+BIO 혁신적 모델창출 등 디지털·바이오(8%)’, ‘선도국과의 공동연구 등 글로벌 R&D(7%)’, ‘혁신·도전형 R&D(3%)’로 구성돼 있다.
정부는 이미 발표한 대로 2025년에는 혁신적·도전적 R&D와 선진국과의 최고 수준(TOP-Tier)의 연구를 위한 글로벌 공동연구 및 첨단 전략기술 육성 분야를 확대해 나간다. 성실 실패를 용인하고 불합리한 규제개선 등 정부 R&D를 혁신해 과감하고 용기 있는 도전을 통해 파급력이 큰 R&D 성과 창출을 견인해 나가며, 국민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하고 정신건강, 노인·장애인 서비스 개선 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R&D도 지속 확대해 나간다.
◆바이오헬스 인재 양성 방안= 정부는 2023년 4월에 2027년까지 바이오헬스분야 핵심 인재 11만명 양성을 목표로 ‘바이오헬스 인재 양성 방안’을 발표한 바 있으며, 이에 대한 이행상황을 점검하고, 올해 구체적 계획을 논의했다.
2023년 9개 부처별 74개 사업 추진현황을 점검한 결과 △산업현장 기반 학교 교육 △현장 수요 맞춤형 생산·규제과학 인재, △Next 반도체 도약을 위한 핵심 연구 인재 △든든한 지원체계 구축 등 4대 분야에 대한 인력양성을 정상적으로 추진해 총 3만4000명을 양성했다. 이는 당초 계획(1만8000명)보다 초과 달성한 것으로 바이오헬스 분야에 대한 관심 확대에 따른 교육수요 증가로 파악된다.
부처별 사업계획에 따르면 2024년에는 신규사업 발굴로 전체 81개 사업을 통해 2만2100명을 양성할 계획이다. 올해부터는 신기술 분야에 대한 교육 수요를 반영해 정밀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 대한 교육을 점차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정부는 인력양성 사업 외에도 바이오헬스 인력구조 현황을 파악해 향후 수요를 예측하고, 수요-공급 미스매치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 연구를 병행해 양성된 전문인력이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한편, 작년에 이어 2024년 바이오헬스 인재 양성 사업 안내서를 4월 중에 제작·배포해 기업과 구직자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혁신을 위한 규제 장벽 철폐 방안= 현장의 애로사항을 적극적으로 청취하고, 불필요한 규제를 개선하기 위해 보건산업진흥원에 ‘규제개혁마당’을 설치·운영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보건산업진흥원 내 온/오프라인 창구를 설치해 현장 애로사항을 상시적으로 청취하는 한편, ‘원스톱 규제 솔루션’을 통해 사전 신청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관련 부처-협회가 한자리에 모여 기업 애로사항에 대한 해결방안을 논의한다. 또한 ‘규제개혁 기동대’를 통해 규제 취약 지대에 있는 기업을 직접 방문해 규제개혁 과제를 발굴하고, 컨설팅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바이오헬스혁신위는 규제개혁마당을 통해 접수된 과제에 대해서 관계부처 협의, 바이오헬스혁신위 논의 등을 통해 끝까지 개선해 나간다는 방침으로 규제개혁에 강력한 의지를 표명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이미 발표된 규제개혁 과제들의 이행 상황을 점검하는 한편, 1차 회의 이후 혁신위 위원 등을 통해 20개 과제를 추가 발굴하고, 현장의 요구가 높은 8개 과제에 대한 개선방안도 논의했다.
8개 과제에 대한 개선 내용은 △연구촉진을 위한 병원 데이터 활용 확대(복지부) △개인생성 건강 데이터 활용 활성화(복지부) △재생의료 임상연구·첨단바이오의약품 허가 심사 연계(식약처, 복지부)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와 체외진단 의료기기 소프트웨어 변경허가 관리 일원화(식약처) △유전자검사의 숙련도 평가 부담 완화(복지부) △DTC 유전자검사 2차 서비스(상품판매, 건강관리 등) 안내 기준 개선(복지부) △국제 공동연구 활성화를 위한 가명 정보 국외 이전 제약 해소(개인정보위) △분산형 임상시험(DCT) 도입 기반 마련(복지부, 식약처) 등이다.
◆자문단 구성·운영 계획= 바이오헬스혁신위의 효과적인 의사결정 지원 및 민간의 다양한 시각과 경험에 기반한 포괄적인 의견제공 등을 위해 전문가 자문단을 설치했으며, 자문단 운영을 위해 관련 부처, 바이오혁신위 위원 및 협회·단체 등 추천을 받아 다양한 분야의 전문 지식과 실무 경험을 갖춘 산·학·병·연 전문가 65명을 위촉했다.
자문단은 △규제혁신/산업육성 △바이오헬스 연구개발 △디지털·바이오헬스 △전문 인재 양성 △법제·인프라 5개 분과로 운영되며, 향후 새로운 기술의 출현, 예기치 못한 보건 환경 및 동향 변화 등에 긴밀히 대응할 수 있도록 유연하게 운영해 나갈 계획이다.
김영태 부위원장은 “바이오헬스 분야는 미래 성장동력이자 보건안보 전략자산인 만큼 민관 합동 범부처 컨트롤타워인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를 통해 해묵은 과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고, 부처 간 칸막이 없이 총력을 다해 지원해야 한다”며 “형식적인 위원회가 아닌, 현장을 챙기고 실질적인 지원으로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위원회가 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