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제약·바이오 분야에서 인공지능( AI) 활용성이 높아지면서 백신과 면역치료제 분야의 기술 개발에도 속도가 붙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16일 전남 화순 하니움문화스포츠센터에서 열린 ‘화순국제백신·면역치료포럼’에서는 AI를 활용한 백신 개발과 면역항암치료제 등 다양한 제약·바이오 분야 최신 동향이 소개됐다. 올해로 7회를 맞는 이번 포럼은 ‘미래 백신과 면역치료를 위한 신기술’이라는 주제로 백신과 면역치료 분야 글로벌 석학들과 기업인 등 1250여 명이 참석했다. 이준행 포럼 추진위원장은 “글로벌 제약·바이오 산업이 면역치료제 쪽으로 움직이고, 백신 내에서는 기존 감염증 백신에서 암 백신으로 무게 중심이 옮겨가고 있다”면서 “글로벌 시장과 R&D가 움직이는 와중에 한국은 어디에 초점을 맞춰야 하는지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석차옥 서울대 화학과 교수는 “5년 안에는 AI로 항체 설계나 의약품 설계를 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 AI는 지금까지 실험적으로도 규명하기 어려웠던 구조들을 가능하게 만들면서 질적으로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했다. 석 교수는 앞으로 AI가 구조를 예측하는 것을 넘어 예측한 구조를 AI가 설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암을 유발하는 단백질 구조를 AI로 예측해 여기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 수 있다면 AI로 암 백신 개발도 가능해진다. 다만 당장은 AI가 신약 개발에 활용되기에는 무리가 있다. 석 교수는 “(구글 딥 마인드가 개발한) 알파폴드도 항체항원복합체를 예측하는 데 아직은 제약이 있는 상황”이라면서 “현재는 대기업 등에서 실험적으로 활용되고 있어서 신약 개발에 투입되는 데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했다.
AI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암 백신 플랫폼 개발에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백신 설계 전문 바이오기업 ‘에피백스’의 앤 드 그룻 최고경영자( CEO)는 “글로벌 바이오 기업 모두가 개인 맞춤형 암 백신에 주목하고 있다”면서 “지금은 영국 등 일부 국가에서만 개인 맞춤형 암 백신 체계를 갖추고 있지만 전 세계 모든 국가에 도움이 돼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암 백신 플랫폼을 구성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했다.
이 밖에도 최근 중국 상하이 쥔스바이오사이언스가 개발한 면역 항암제가 처음으로 미 식품의약국( FDA) 승인을 받은 것에 대해 왕 웬 IASO바이오테라퓨틱스 상무이사는 “중국 바이오기업들은 무에서 유를 창출하는 혁신에 있어서는 미국에 비해 미진하지만 이미 나와있는 것의 품질을 높이는 것에는 뛰어나다”면서 “중국은 현재 ‘패스트 팔로어 정책’을 따르고 있다”고 했다.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