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정보

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내 외신

작성자 정보

세자

게시글 정보

조회 365 2023/10/10 17:50
수정 2023/10/10 18:24

게시글 내용

공매도                       27,722주 (평균단가 5,417원)



대차체결                                         60,195주


대차상환                                        154,988주


대차잔고                                      5,302,626주 



계속되는 ASF·구제역, 방역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하다




가축전염병 발생·확산 차단, 농장 의무 강화·수의사 처우 개선해야

[농수축산신문=홍정민·박현렬 기자]

구제역일제접종기간 단축...백신접종 집중도 높여
자가접종 농장 항체검사·도축장 무작위 검사 확대
항체양성률 낮은 농가에 과태료 처분
야생멧돼지 집중 수색...광역 울타리 점검·관리 강화

ASF, 별도의 치료법 없어...생백신 개발 노력 필요
해외사례 참고해 정부·농가 협력...방역시스템 갖춰야

방역 현장 방역관·수의 인력 부족
수의사 처우 개선 등 근본적 대안 마련해야
구제역 이상육 줄이고 NSP 관리 강화 필요

가축전염병 발생 우려지역에서 차단방역과 더불어 차량방역이 이뤄지고 있는 모습.
가축전염병 발생 우려지역에서 차단방역과 더불어 차량방역이 이뤄지고 있는 모습.

정부는 구제역아프리카돼지열병(ASF) 등 가축전염병 발생과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이달부터 내년 2월까지를 가축전염병 특별방역대책기간으로 정해 정부는 가축전염병 방역 관리를 강화한다.

올해는 구제역이 지난 5월 국내에서 4년 만에 발생했고 중국 등 주변국에서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올 겨울철 보다 철저한 대비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와 함께 ASF는 지난해 말부터 연중 발생하는 경향을 보이는 데다 지난달 25일 강원 화천군 양돈농장에서 발생하면서 방역 당국을 긴장시키고 있다특히 야생멧돼지에서 ASF는 광역울타리 이남지역에서도 발생을 이어가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현재 방역시스템에 대한 세부적인 평가와 더불어 ASF, 구제역 발생을 막기 위해선 땜질식 처방이 아닌 이른바 방역 패러다임을 획기적으로 바꿔 농장의 의무를 강화하고 수의 인력 확보와 처우 개선 등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다.

 

구제역 백신 일제접종 단축

농림축산식품부는 구제역, ASF 등 가축전염병 발생과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백신접종 집중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일제접종 기간을 6주에서 2주로 단축하고 일제접종 기간 접종이 누락됐거나 유예된 개체를 확인해 추가 접종하기로 했다.

또한 백신접종 여부 확인을 위해 소 자가접종 농장당 항체검사 마릿수와 도축장 무작위 검사를 확대하고 항체양성률이 낮은 농가는 과태료를 처분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접종기간은 지난 4일부터 오는 18일까지로, 수의사 등이 접종을 지원하는 소규모 농장의 경우는 지난 4일부터 오는 31일까지 4주간이다.

농식품부는 발생우려가 높은 접경지역과 과거 발생지역 등에 대해 백신접종 실태 등을 집중관리하고, 주1회 전화예찰 실시, 소독 강화 등을 추진한다.

ASF의 경우 강원 화천군 양돈농장 발생으로 긴급 방역조치를 한 가운데 화천군을 포함한 접경지역 등 발생우려지역 13개 시·군에 대해 예찰·소독을 강화하고 환경부와 협업해 야생멧돼지를 집중 수색하기로 했다. 야생멧돼지 남하 차단을 위해 남한강 이남, 경북북부 등 14개 시·군에 대해 야생멧돼지 수색·포획을 집중 추진하고 광역 울타리 점검·관리도 강화한다.

 

# ASF 동남아 참고하고 백신개발 서둘러야

이런 가운데 ASF의 경우 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지역에선 양돈산업의 최소 30%가 ASF 발생에 따른 피해를 입었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지난 8월 도드람이 개최한 세미나에서 정현규 ㈜도드람양돈연구소 고문은 “동남아지역 양돈산업은 ASF 피해 이전과 이후로 구분될 정도로 큰 영향을 받은 상태”라며 “국내 역시 잦은 ASF 발생으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초동방역에 힘쓰고 있지만 별도의 치료법이 없어 피해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강구책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동남아지역은 기업 양돈장들이 자체적인 방역 메뉴얼을 마련하고 전문인력과 예산을 투입해 효과를 봤으며 여러 단계의 방역시스템을 갖추고 노하우를 개별농가까지 전파해 방역수준을 상당한 수준까지 높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 고문은 “지난 1년간 장기 해외출장을 통해 ASF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어하며 농장시설, 방역시스템, 방역전문가까지 개편하는 모습을 지켜봤다”면서 “해외사례들을 통해 정부와 양돈농가들이 협력해 방역시스템을 갖추고 국내 발생에 대한 대응 시나리오를 수립해야 한다”고 전했다.

특히 ASF 백신 개발과 관련해선 보다 전략적이고 종합적인 접근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동물약품업계의 한 관계자는 “ASF와 관련해 여러 대책을 세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최후의 보루를 확보하는 차원에서 ASF 백신 개발은 꼭 필요하고 국내 내수용으로 사용하지 않더라도 동남아지역에서 지속 중인 ASF 발생을 해결하기 위한 수출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반드시 개발이 필요하다”면서 “전 세계적으로 ASF 백신은 지금까지 개발과정에서 불활화 백신, 서브유닛 등이 가능하지 않아 결국은 라이브 백신밖에 대안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생백신 개발에 민관이 함께 노력해 나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 방역 현장 수의사 부족·처우 등 해결해야

ASF의 경우 경기북부와 강원지역에서 발생이 지속되면서 상대적으로 이 지역의 차단방역은 잘 이뤄지고 있는 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하지만 현장에선 수의사 등 인력 부족 문제가 발생하면서 ASF 발생 위험은 그만큼 높아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조호성 전북대 교수는 “ASF가 지속적으로 발생한 충청 이북지역의 양돈장은 차단방역 등의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으나 지금까지 발생하지 않은 전북, 전남, 경남 등의 지역에서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는지를 촘촘히 살펴봐야 한다”면서 “특히 현장에서 방역관, 수의사들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정성평가가 아닌 일반 설문 위주의 정량 평가를 할 경우 언제든지 ASF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수의인력 부족과 처우개선 등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결할 필요가 있다.

축산업계의 한 관계자는 “7급 공무원인 방역관의 연봉이 4000만 원이 채 되지 않지만 도시에 위치한 일반 동물병원의 경우 페이닥터만 해도 연봉이 4000만 원을 훨씬 웃돌아 현장 수의사를 지원하지 않고 있는 것은 어떻게 보면 당연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업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일부 대학에서 수의학과를 신설하려는 움직임이 있지만 중요한 것은 단순히 수의사 정원을 늘리는 게 아니라 근본적으로 수의사의 처우를 개선해야 하는 것”이라며 “방역관의 경우 수의학 전공자만 할 수 있음에도 최근에는 타 전공자도 방역관을 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데 이는 잘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동물약품업계의 한 관계자는 “수의사는 진료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쪽이지만 모니터링이 주 업무가 되는 상황에서 가축방역관 문제를 바라볼 필요가 있다”면서 “질병과 관련해 현재 이뤄지는 농장 채혈이 시군 간 항체가 경쟁 방식으로 변질돼서는 곤란하며 ASF의 경우 야생 멧돼지 관리 못지않게 육포 등 외국 인력의 식문화로 인한 전파 가능성도 항상 염두에 두고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 구제역 발생 소 집중관리해야

구제역은 근본적으로 소의 경우 돼지와 달리 면역원성 차이가 있고 임파구를 만드는 임파절 등 해부학적인 차이가 있어 발생에 더 취약할 수 있는 상황이다. 지난 5월과 같은 구제역이 재발하지 않기 위해선 백신접종과 차단방역에 보다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조호성 교수는 “백신은 확산을 막는 방법으로, 감염은 차단방역으로 막아야 하는데 백신이 감염까지 막을 수 있다는 안일한 생각 때문에 차단방역을 소홀히 하는 경우가 현장에선 비일비재하다”면서 “일례로 양돈장의 경우 대부분 방역시설이 갖춰져 있어 일반인들의 접근이 어려운 반면 소 목장은 출입은 물론 소를 만지는 등의 접촉이 가능한 곳이 여전히 많다”고 지적했다.

조 교수는 이어 “더 큰 문제는 소를 키우는 목장뿐만 아니라 염소농장도 차단 방역시설이 갖춰지지 않아 구제역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는 점”이라며 “백신의 영향으로 구제역이 예전처럼 무차별적으로 확산하지는 않겠지만 부분적인 발생은 앞으로도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만의 구제역 질병 청정화 사례처럼 정부가 로드맵을 세워 질병 근절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동물약품업계의 한 관계자는 “청정화 로드맵을 만들 때 농장의 관리 수준만 일정 수준 올라온다면 이상육 문제 등의 피해를 감안할 때 구제역 백신을 대만처럼 1회만 접종하도록 해야 한다”면서 “이렇게 하기 위해선 농장 패널티를 강화하되 백신항체(SP)관리에서 감염항체(NSP)관리로 정책 방향을 전환하는 게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출처 : 농수축산신문http://www.aflnews.co.kr)


제16회 아시아보전의학회 ASCM 컨퍼런스, 10월에 제주서 개최

10월 9~13일까지 제주 해비치호텔앤드리조트에서 열려


제16회 ASCM(아시아보전의학회/아시아야생동물보전의학협회, 회장 기무라 준페이) 컨퍼런스가 10월 9~13일(월~금) 제주 해비치호텔앤드리조트에서 개최된다. ASCM 정기 학술대회가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것은 지난 2009년 이후 이번이 두 번째다.

ASCM(Asian Society of Conservation Medicine)은 아시아 지역 야생동물의 질병, 생태, 보전 관련 학술연구 결과를 교류하고 관련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학회다.

2005년 ASZWM(Asian Society of Zoo and Wildlife Medicine, 아시아야생동물의학회)로 출범해 2014년 명칭을 ASCM으로 변경했으며, 매년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해 실습 및 학술교류를 진행하고 있다.

제주에서 열리는 제16회 ASCM 컨퍼런스는 아시아보전의학회(ASCM),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한국야생동물의학회(KSZWM)가 공동으로 개최한다. 세 기관은 지난해 12월 MOU를 체결하고, 실무협의회를 구성해 대회를 준비해 왔다. 협의회는 이번 학술대회에 국내외 야생동물 분야 수의사와 연구자 등 300여 명이 운집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왼쪽부터) 기무라 준페이 ASCM 회장, 신동인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장, 어경연 한국야생동물의학회장

행사는 9일 워크숍, 10~12일 컨퍼런스, 13일 포스트 컨퍼런스로 구성됐다.

9일 워크숍은 조류 부검(강원대 오연수 교수), 해양포유류 부검(충북대 김선민 선임연구원), 조류 정형외과 수술(Mandai Wildlife Group Shangzhe Xie 박사) 3개 실습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10~12일 열리는 본 학회는 ‘야생동물 보전을 위한 파트너십 강화(Strengthening partnerships in wildlife health and conservation)’를 주제로 열린다.

10일에는 호주 찰스 스터드대 Andrew Peter 교수(WDA, Wildlife Disease Association 회장)의 기조강연이 예정되어 있다. 이후, 신동인 야생동물질병관리원장이 ‘한국 야생동물 질병관리의 현황 및 전망’을 소개한다. 오후 세션에서는 야생 멧돼지 ASF 정량 역학(UC Davis Beatriz Lopez 교수), 야생조류 AI 종간 전염(서울대 송대섭 교수), 동물원 동물 수술 사례(Romain Pizzi 박사, 영국 야생동물수의사회 회장), 동물원 동물에 역학 원리 적용하기(Mandai Wildlife Group Shangzhe Xie 박사) 강의가 이어진다.

11일에는 ‘야생동물 구조치료와 복원’을 주제로 UC Davis Michael Ziccardi 교수가 ‘재난 상황에서 야생동물을 위한 효과적 대응’에 대해, International Crane Foundation의 Barry Hartup 박사가 ‘미국의 두루미 복원사업’에 대해, 예산황새공원 김수경 박사가 ‘한국 황새복원사’에 대해 소개한다.

11일 오후 야생동물 구조치료 세션에서는 ‘한국의 야생동물구조센터 현황(충북대 나기정 교수)’, ‘인도네시아의 야생동물구조 현황(인터내셔널애니멀레스큐 Nur Purba Priambada 연구원)’, ‘홍콩의 야생동물구조 현황(카두리농식물원 Alex Grioni 선임수의사)’ 등의 강의가, 곰류 복원 세션에서는 ‘베트남과 캄보디아의 곰 복원(애니멀아시아 Shaun Thomson 연구원)’, ‘곰 생추어리(프리더베어스 Matt Hunt 연구원)’, ‘한국의 반달가슴곰 복원(충북대 정동혁 교수)’ 등의 강의가 준비되어 있다.

12일에는 ‘야생동물 국제 거래와 질병 조사’에 대한 발표가 이어진다.

특히, ASCM, 세계동물보건기구(WOAH),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NIWDC와 WDA-아시아태평양지부의 joint session이 진행되는데, Lesa Thompson WOAH 아시아태평양 지역프로젝트 책임자, 황주선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수의연구사, James Compon Wildlife TRAPS Project Leader, Sallie Yang UNEF Programme Management Officer, Anna Wong WOAH Focal Point for Wildlife for Singapore, Toshio Tsubota 홋카이도대 교수(WDA-AP 회장)가 연자로 참여한다.

얼리버드 등록기간은 7월 31일까지며, 초록접수는 8월 31일에 마감된다.

기무라 준페이 ASCM 회장은 “이번 학술대회는 특히 학생들과 젊은 연구자들이 글로벌 연구·프로젝트를 위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데 큰 기회가 될 것”이라며 많은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신동인 야생동물질병관리원장은 “코로나19, 메르스 등 인수공통감염병이 강력한 위협이 되면서 인간뿐만 아니라 환경과 생물다양성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며 “이번 컨퍼런스가 원헬스 차원에서 국내외 야생동물 질병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상호교류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자세한 정보 확인 및 참가등록·초록접수는 ASCM2023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문의 : 전북대 한재익 교수 jihan@jbnu.ac.kr).

아시아보전의학회 컨퍼런스, 제주서 개막..전세계 전문가 운집

2009년 이후 한국서 두 번째 개최..야생동물 질병 예찰·치료·연구 최신 지견 공유


제16회 아시아보전의학회 컨퍼런스(ASCM Conference)가 10일 제주 해비치호텔앤리조트에서 막을 올렸다.

아시아보전의학회와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한국야생동물의학회가 함께 주최한 이번 컨퍼런스에는 야생동물 관련 연구와 임상에 종사하는 전문가 250여명이 참여했다.

한국, 중국, 일본, 대만, 필리핀, 베트남, 몽골,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뿐만 아니라 호주, 뉴질랜드, 북미, 유럽 등 각국에서 제주를 방문했다.

어경연 한국야생동물의학회장은 “야생동물 건강과 보전을 위한 파트너쉽을 강화할 때”라며 “지난해 태국 치앙마이 대회보다도 많은 참가자가 모였다”고 감사를 전했다.

 

(왼쪽부터) 첫 날 기조강연에 나선 앤드류 피터스 WDA 전 회장, 신동인 야생동물질병관리원장

개최 전날인 9일 제주대 수의대에서 해양포유류·조류 부검 및 수술에 대한 사전 워크숍을 치른 컨퍼런스는 이날 야생동물질병협회(WDA) 앤드류 피터스 전 회장의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문을 열었다.

앤드류 피터스 전 회장은 야생생물 건강에서 관계(relationship)의 역할에 주목했다. 피터스 전 회장은 “야생동물 연구는 ‘관계’에 대한 연구다. 우리는 경계없이 연속적인 하나의 관계망(web) 속에서 존재한다”면서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엄청나게 크고 복잡한 생태계의 관계망을 한 명의 개인이나 하나의 사회가 온전히 이해할 수 없는 만큼, 서로 교류하면서 이해의 창을 넓히고 새로운 관점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다.

일견 지역적으로 보이는 문제조차 관계망 속에서 전세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만큼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인식해야 할 책임이 있다는 점도 지목했다.

이어서 기조발표에 나선 신동인 야생동물질병관리원장도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이 2015년 파리협정을 계기로 크게 변화했듯, 야생동물질병 분야에서 국가간 협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신 원장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여러 정부와 국제기구 전문가가 참여하는 정책원탁회의(Policy Round Table)가 오늘 출범한다”며 각국 전문가들의 많은 관심을 당부했다.

ASCM 컨퍼런스가 한국에서 열리는 것은 2009년 이후 두 번째다. 학회는 12일까지 사흘간 아프리카돼지열병(ASF)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를 비롯해 야생동물의 수술, 구조, 질병예찰 등 다양한 주제를 조명한다.

기무라 준페이 ASCM 회장은 세계 각국의 참가자들을 환영하면서 “이번 학회를 계기로 야생동물 분야 젊은 과학자들의 미래가 드라마틱하게 변화할 것을 확신한다”고 기대했다.

 

기무라 준페이 ASCM 회장

게시글 찬성/반대

  • 6추천
  • 1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 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

하단영역

씽크풀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투자에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또한 이용자는 본 정보를 무단 복사, 전재 할 수 없습니다.

씽크풀은 정식 금융투자업자가 아닌 유사투자자문업자로 개별적인 투자상담과 자금운용이 불가합니다.
본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모든 정보는 투자판단의 참고자료로 원금 손실이 발생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씽크풀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70, 15층 (여의도동, 미원빌딩)

고객센터 1666-6300 사업자 등록번호 116-81-54775 대표 : 김동진

Copyright since 1999 © ThinkPool Co.,Lt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