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바이러스 '복제 기계' 식별하는 기억 T세포 발견게시글 내용
코로나 침입해도 음성? '감염 후 복제 차단' 사례 보고
바이러스 '복제 기계' 식별하는 기억 T세포 발견
팬데믹 전 감기 바이러스 감염, 면역 기억 남겼을 수도
영국 UCL 연구진, 저널 '네이처'에 논문
(서울=연합뉴스) 한기천 기자 = 바이러스는 혼자 힘으로 증식하지 못한다.
바이러스가 자기 입자를 늘리려면 숙주 세포에 들어가 복제 기계를 돌려야 한다.
그렇게 해서 바이러스 입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해야 감염증을 일으키고 다른 숙주에 전염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물론 코로나 팬데믹을 몰고 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도 마찬가지다.
신종 코로나가 인체 세포에 들어온다고 해도 자기 입자를 복제하지 못하면 감염증으로 진행되지 않는다.
실제로 이렇게 된 사례가 영국에서 보고됐다.
우리 몸의 면역체계가 침입한 신종 코로나의 입자 복제를 막아 PCR 검사에서 계속 음성 반응이 나온 것이다.
이런 사람들의 몸 안엔, 특별한 기억 T세포가 감염 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 기억 T세포는 신종 코로나의 입자 복제에 꼭 필요한 '복제 단백질(replication proteins)'을 표적으로 식별하는 것이었다.
이 발견은 차세대 코로나 백신 개발에 유력한 표적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백신으로 이런 기억 T세포를 활성화할 수 있다면, 감염 초기에 바이러스를 제거해 후속 전염과 확산을 차단할 수 있을 거로 기대된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의 말라 메이니(Mala Maini) 감염ㆍ면역과 교수 연구팀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10일(현지 시각) 저널 '네이처(Nature)'에 논문으로 실렸다.
논문의 수석저자인 메이니 교수는 "검사에 나타날 정도의 코로나 감염에 자연적으로 내성을 보이는 사람들은, 복제 단백질을 표적으로 감염 세포를 식별하는 기억 T세포를 미리 갖고 있었다"라고 말했다.
이 복제 단백질은 신종 코로나가 세포에 침입한 직후, 다시 말해 바이러스 생명 주기의 첫 단계에 쓰인다고 한다.
이 단백질 없이는 신종 코로나가 다른 사람한테 옮겨갈 수도, 감염증을 일으킬 수도 없는 것이다.
그래서인지 이 단백질은 모든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에서 흔히 발견되고 유전적으로도 잘 보존돼 있다. 보존 상태가 좋다는 건 돌연변이 가능성이 작다는 뜻이다.
현재 나와 있는 코로나 백신이 스파이크 단백질을 표적으로 삼는다는 점과 비교되는 대목이다.
돌연변이 가능성이 작은 '복제 단백질'을 표적으로 백신을 개발하면 신종 코로나의 초기 제거에 훨씬 더 효과적일 수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게다가 이런 백신은 몸 안에 이미 만들어져 있는 기억 T세포의 효능을 증강하는 효과도 낼 수 있다.
기억 T세포는 기존 백신이 유도하는 중화항체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오래가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의 중요한 발견은 대부분, UCL과 런던 세인트 바르톨로뮤 병원이 함께 진행한 관찰 연구에서 나왔다.
연구팀은 1차 팬데믹(대유행) 초기부터 런던의 보건 전문가들로 대규모 코호트를 구성해 코로나 감염에 따른 면역 반응을 분석해 왔다.
그러던 중 PCR 검사와 항체 검사에선 계속 음성 반응인데 T세포가 많이 증가한 그룹이 눈에 띄었다.
이들은 감염을 완전히 피했다기보다 검사에 잡히지 않을 정도로 약한 감염을 잠시 경험한 것으로 보였다.
이들이 가진 신종 코로나 특이 T세포는, 감염이 진행된 이후에 관찰되는 것과 다른, 바이러스의 특정 영역만 표적으로 삼았다.
논문의 제1 저자인 레오 스와들링(Leo Swadling) 박사는 "팬데믹이 시작되기 전에 이미 바이러스의 복제 기계를 식별하는 T세포를 갖고 있었을 수 있다"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이런 T세포는 어디서 온 걸까.
이런 T세포가 식별하는 영역은 다른 코로나계 바이러스에도 잘 보존돼 있고, 콧물이나 약한 기침 등의 증상을 보이는 보통 감기 바이러스도 이에 해당한다.
스와들링 박사는 "과거 감기에 걸렸던 것이 (신종 코로나의 경쟁에서) 약간 앞서게 했을 수 있다"라면서 "바이러스가 복제를 시작하기 전에 면역계가 이를 제거하는 쪽으로 균형이 기울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cheon@yna.co.kr
(끝)
'DH1047' 코로나바이러스 세포에 달라붙어 복제 차단
"이미 감염된 환자 치료에도 효과 있어"
미국의 연구진이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와 그 변이들, 그리고 또 다른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에도 맞설 수 있는 항체를 확인해 주목받고 있다.
11일(한국 시각) 외신에 따르면, 최근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 채플힐 캠퍼스와 노스캐롤라이나주 더럼에 있는 듀크대학의 공동 연구진은 과학저널 ‘중개의학(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온라인판 11월 2일자에서 ‘DH1047’이라는 항체가 코로나바이러스 세포에 달라붙어 이를 중화하고 복제를 차단하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발표했다.
연구진은 현재 진행 중인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과 향후 발생할지 모를 코로나바이러스 사태에 맞설 수 있는 중요한 무기를 발견했다고 평했다. 특히 DH1047은 코로나19 감염을 막아주고 이미 감염된 환자의 치료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1700종이 넘는 코로나바이러스 항체를 확인했으며 이 가운데 50종은 코로나19와 2000년대 초 아시아에서 등장한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SARS) 바이러스에 달라붙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 중 특히 DH1047은 동물·인간 바이러스에 모두 달라붙어 중화하는 데 효과가 컸다.
이에 헤인스 박사는 “이 항체는 코로나바이러스가 수많은 변이를 거쳐 보존한 부분과 결합한다”면서 “결과적으로 이는 광범위한 코로나바이러스를 중화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게다가 DH1047는 전염력이 강한 델타 변이 등 모든 유형의 변이에도 효과를 발휘했다. 특히 앞으로 인간을 괴롭힐 가능성이 있는 다른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들까지 효과가 있었다.
UNC의 역학 교수이자 이 연구의 공동저자인 랠프 배릭 박사는 “이번 결과는 변이를 예방하고 기존의 코로나바이러스로부터 폭넓은 보호를 제공하는 보편적 백신 전략의 합리적 설계를 위한 본보기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게시글 찬성/반대
- 2추천
- 1반대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