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종목현미경]대상_주가, 거래량, 투심 모두 적정주순게시글 내용
![]() |
- 위험대비수익률 2.9, 업종평균대비 성과 좋지 않아 - 관련종목들 혼조세, 음식료품업종 +0.46% - 증권사 목표주가 36,400원, 현재주가 대비 44% 추가 상승여력 - 외국인과 기관은 순매도, 개인은 순매수(한달누적) -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은 0.28%로 적정수준 - 기관투자자의 거래참여 높아, 거래비중 24.2% - 주가, 거래량, 투심 모두 적정주순 - 주요 매물구간인 26,600원선이 저항대로 작용 |
위험대비수익률 2.9, 업종평균대비 성과 좋지 않아 1일 오후 2시35분 현재 전일대비 2.64% 오른 25,250원을 기록하고 있는 대상은 지난 1개월간 4.12% 상승했다. 같은 기간동안 변동성의 크기를 말해주는 표준편차는 1.4%를 기록했다. 이는 음식료품 업종내에서 주요종목들과 비교해볼 때 대상의 월간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큰 편은 아니었으나 주가상승률도 또한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는 것이다. 최근 1개월을 기준으로 대상의 위험을 고려한 수익률은 2.9를 기록했는데, 변동성과 주가상승률이 모두 적정 수준을 유지하면서 위험대비 수익률도 중간 수준을 나타냈다. 다만 음식료품업종의 위험대비수익률 3.6보다는 낮았기 때문에 업종대비 성과는 긍정적으로 보기 어렵다. 다음으로 업종과 시장을 비교해보면 대상이 속해 있는 음식료품업종은 코스피지수보다 변동성은 높고, 수익률은 낮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다시 말해서 동업종은 지수보다 크게 오르락 내리락 했지만, 상승률은 오히려 지수보다 못하다는 의미이다. |
![]() |
위험 | 수익율 | 위험대비 수익율 | ||||
순위 | % | 순위 | % | 순위 | ||
삼양식품 | 1위 | 2.0% | 3위 | 4.7% | 4위 | 2.3 |
롯데칠성 | 2위 | 1.8% | 1위 | 15.3% | 1위 | 8.4 |
대상 | 3위 | 1.4% | 4위 | 4.1% | 3위 | 2.9 |
동원F&B | 4위 | 1.3% | 2위 | 8.9% | 2위 | 6.8 |
농심 | 5위 | 1.3% | 5위 | 1.1% | 5위 | 0.8 |
코스피 | - | 0.9% | - | 14.6% | - | 16.2 |
음식료품 | - | 1.1% | - | 4.0% | - | 3.6 |
관련종목들 혼조세, 음식료품업종 +0.46% |
이 시각 현재 관련종목들은 혼조세를 보이고 있으나 음식료품업종은 0.46% 상승중이다.
롯데칠성 |
99,700원 ▲300(+0.30%) | 동원F&B |
178,000원 0 (0.00%) |
농심 |
288,500원 ▲1500(+0.52%) | 삼양식품 |
100,500원 ▼1000(-0.99%) |
증권사 목표주가 36,400원, 현재주가 대비 44% 추가 상승여력 |
최근 한달간 제시된 증권사 투자의견을 종합해보면 대상의 평균 목표주가는 36,400원이다. 현재 주가는 25,250원으로 11,150원(44%)까지 추가상승 여력이 존재한다. 증권사별로 보면 하이투자증권의 이경신 에널리스트가 " 가공식품, 해외자회사 호조세와 소재부문의 턴어라운드, 코로나19 영향에도 식품 및 해외 자회사의 영업실적 증가에 따른 사업구조 체질개선이 진행 중. 두 부문의 이익기여도가 2021년 77%로 예상됨을 고려, 대상 전사에 대한 밸류에이션 re-rating 고려에 부담이 없음. 대외변수 악화에도 구조적으로 성장하는 제품 포트폴리오를 갖추었으며, 주력제품 경쟁강도 하락에 따른 마진레벨 상승이 더해진 의미있는 영업실적 개선세 및 증익 흐름의 지속성을 고려할 때 현주가는 매력도가 부각되는 수준. …" (이)라며 투자의견 BUY(유지)에 목표주가: 34,000원을 제시했고, 이베스트투자증권의 심지현 에널리스트가 " 4Q20: 끈기가 필요한때, 동사 식품부문의 신수요 창출 카테고리인 신선식품, HMR, 편의용 소스류 구매 증가 등은 코로나 이후에도 수요가 높아진 수준에서 지속될 것으로 판단.해외 시장 성장모멘텀 기대감 대비 안정적 수익 구조를 근거로 결국은 해소될 저평가라고 판단.…" (이)라며 투자의견 BUY(유지)에 목표주가: 36,000원을 제시했다.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은 0.28%로 적정수준 최근 한달간 대상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을 비교해보니 일별 매매회전율이 0.28%로 집계됐다. 그리고 동기간 장중 저점과 고점의 차이인 일평균 주가변동률을 3.25%를 나타내고 있다. 기관투자자의 거래참여 높아, 거래비중 24.2% 최근 한달간 주체별 거래비중을 살펴보면 개인이 62.16%로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였고, 기관이 24.2%를 보였으며 외국인은 12.46%를 나타냈다. 그리고 최근 5일간 거래비중은 개인 비중이 63.59%로 가장 높았고, 기관이 23.36%로 그 뒤를 이었다. 외국인은 12.08%를 나타냈다. |
투자주체별 누적순매수 | 투자주체별 매매비중 |
![]() |
![]() |
*기관과 외국인을 제외한 개인 및 기타법인 등의 주체는 모두 개인으로 간주하였음 |
주가, 거래량, 투심 모두 적정주순 |
현주가를 최근의 주가변화폭을 기준으로 본다면 특정 방향으로의 추세는 확인되지 않고, 거래량 지표로 볼 때는 적정한 수준에서 특별한 변화는 포착되지 않고 있다. 실리적인 측면에서는 투자자들은 안정적인 심리상태를 보이고 있고 이동평균선들의 배열도를 분석을 해보면 역배열의 전형적인 약세국면에서 단기적으로도 약세패턴이 지속되고 있다. |
침체 | 약세 | 보통 | 강세 | 과열 | |
![]() |
주가 | ![]() |
거래량 | ![]() |
투자심리 | ![]() |
주요 매물구간인 26,600원선이 저항대로 작용 |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