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정치방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내가 왕이 될 상인가"…해인사 '세조 얼굴' 600년 미스터리

작성자 정보

세자

게시글 정보

조회 1,347 2024/09/16 13:15

게시글 내용

해인사 소장 '1458년 세조 그린 그림'
불교중앙박물관 특별전에 전격 등장
주최 측 "유일한 세조 초상화 큰 가치"
국가유산청 "조선후기 양식에 가필 흔적"

영화 '관상'에서 배우 이정재가 연기한 수양대군(세조) 모습. 사진 쇼박스
영화 '관상'에서 배우 이정재가 연기한 수양대군(세조) 모습. 사진 쇼박스
" “어서 말해보게. 내가 왕이 될 상인가 말이야.” "


2013년 개봉한 사극영화 ‘관상’(감독 한재림)에서 훗날 세조가 되는 수양대군(이정재)은 관상쟁이 내경(송강호)에게 이렇게 묻는다. 화면 가득 이정재의 얼굴이 클로즈업된 가운데 송강호는 속으로 독백한다. ‘남의 약점인 목을 잡아 뜯고 절대 놔주질 않는 잔인무도한 이리, 이 자가 진정 역적의 상이다.’

실제 세조(재위 1455~1468)는 어떻게 생겼을까. 조선 전기 왕들의 어진(御眞)이 임진왜란 중에 대부분 소실되면서 유일하게 원형대로 전해지는 건 태조 어진(국보)밖에 없다. 다만 세조의 경우 국립고궁박물관에 어진 초본이 남아 있다. 1935년 조선왕실 마지막 어진화사였던 김은호(1892~1979)가 오래된 세조 어진을 모사하기 위해 그린 밑그림으로 이후 어진이 소실된 상태에서 유일한 공식 초상화다. 영화 속 이정재의 날카로운 이리 상(像)과 대조되는, 후덕하고 넓대한 얼굴이 두드러진다.

국립고궁박물관이 소장한 세조 어진 초본. 일제강점기인 1935년 조선 왕실 마지막 어진화사였던 김은호가 그린 밑그림이다. 사진 불교중앙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이 소장한 세조 어진 초본. 일제강점기인 1935년 조선 왕실 마지막 어진화사였던 김은호가 그린 밑그림이다. 사진 불교중앙박물관
해인사 소장 '세조 초상화' 일반 첫 공개

그런데 여기 또 하나, ‘해인사에 봉안된 세조의 진영’이 있다. 진영이란 초상화를 높여 부르는 말. 지난 5일 개막한 서울 조계사 경내 불교중앙박물관 전시 ‘큰 법 풀어 바다 이루고, 교종본찰 봉선사’를 통해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됐다.

박물관 측은 진영 아래쪽에 쓰인 화기(畵記)를 근거로 “1458년 윤사로와 조석문이 세조의 명으로 진영을 조성해 해인사 금탑전에 봉안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선 고궁박물관의 세조 어진 초본과 이 세조 진영을 나란히 전시해 둘을 비교 감상할 수 있게 했다.

해인사 성보박물관이 소장한 세조대왕 진영. 그림 하단에 조선 1458년에 그려졌다고 적혀 있다. 지난 5일 개막한 불교중앙박물관 전시 ‘큰 법 풀어 바다 이루고, 교종본찰 봉선사’(12월 1일까지)를 통해 처음으로
해인사 성보박물관이 소장한 세조대왕 진영. 그림 하단에 조선 1458년에 그려졌다고 적혀 있다. 지난 5일 개막한 불교중앙박물관 전시 ‘큰 법 풀어 바다 이루고, 교종본찰 봉선사’(12월 1일까지)를 통해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됐다. 사진 불교중앙박물관

척 봐도 얼굴 생김새가 상당히 닮았다. 밑그림과 채색화라는 차이가 있긴 해도 위엄 있는 군주의 풍모가 느껴진다. 아무래도 엄격한 절차에 따라 어진화사가 그렸던 세조 어진 쪽이 단아하고 늠름하게 표현됐고 좀 더 젊은 인상이다. 이에 반해 해인사의 세조 진영은 구성부터 상당히 복잡하다. 곤룡포를 입은 세조 양옆으로 관모를 쓴 남자 2명과 부채를 든 동자 2명이 있고 뒤로는 5폭 병풍이 있다. 태조 어진과 비교할 때 색채 사용도 다채로운 편이다.

정통 어진은 아닐지라도 약 600년전 임금의 초상화가 전해지고 있다면 그 자체로 큰 가치가 있지 않을까. 그런데 해인사 세조 진영은 국보·보물 같은 국가지정문화유산도 아니고 지방문화유산에도 지정되지 못했다. 2003년 경상남도 문화유산자료에 지정된 게 전부다. 아무리 해인사 성보박물관에 꼭꼭 숨어 오랫동안 학계나 고미술계의 눈길이 닿지 않았다 해도 의아한 일이다.

이에 대해 문의하자 국가유산청(옛 문화재청) 측은 “어진이라 해서 모두 국보·보물이 되는 것도 아니고, 이 진영의 경우엔 사찰에서 그려 전해진데다 화기 그대로 믿을 수 없는 측면이 있다”고 조심스레 설명했다.

국보 조선태조어진(朝鮮太祖御眞). 조선 전기 왕의 어진으론 유일하게 전해진다. 사진 국가유산청
국보 조선태조어진(朝鮮太祖御眞). 조선 전기 왕의 어진으론 유일하게 전해진다. 사진 국가유산청
"조선 전기 양식과 사뭇 달라…'보물' 가치 없어"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해인사의 세조 진영은 ‘불교문화재 일제 조사’(2002~2013년)가 진행되던 2008년쯤 파악된 바 있고 그에 앞서 2003년 경상남도 문화유산자료에 지정됐을 때 조사 내용이 넘겨져 들어왔다고 한다.

이때 조사한 바로는 해인사 소장 진영이 조선 전기 양식과 사뭇 달랐다. 예컨대 세조가 입은 곤룡포의 경우 흉배가 넓고 원형에 가까워야 하는데 조선 후기 양식처럼 네모지고 작은 형태다. 또 왕의 어진을 그릴 땐 단독 초상이어야 하는데 해인사 진영엔 주변에 시중 드는 관료에다 엉뚱한 동자상까지 있다.

이런 초상화 형태가 조선 후기에 유행한 지장시왕도(地藏十王圖)와 흡사하다는 시각도 있다. 지장시왕도란 지장보살을 본존으로 하여, 명부에 있는 10명의 시왕을 함께 그린 불교 탱화를 일컫는다. 불교중앙박물관 측도 도록에서 “왕실에서 제작한 어진과는 달리 불화적 요소를 가미하여 독특한 도상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

그렇다면 그림 맨 아래 화기는 어떨까. 이에 대해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그림이 조선 후기 양식이듯이 글씨도 훗날 가필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게다가 조선시대 임금의 얼굴을 아무나 함부로 볼 수 없었고 어진 제작은 마치 임금을 대하듯 갖은 의례와 절차에 따라 진행됐단 점에서 해인사 진영을 ‘세조의 얼굴을 직접 보고 그린 초상화’로 간주하기엔 근거가 부족하다고 했다.

실록과 일치…세조 어진 초본과도 흡사

그럼에도 의문이 남는 것은 조선왕조실록에 이 화기와 맞아떨어지는 내용이 있기 때문이다. 세조실록 13권(세조 4년 7월 28일) 계축 첫 번째 기사에 따르면 ‘영천 부원군 윤사로와 조석문 등을 해인사에 보내어 불사(佛事)를 행하려고 하였으나, 사헌부에서 흉년이 들었으므로 보내는 것이 불가하다고 하였기 때문에 다만 조석문만을 보냈으며’라고 돼 있다. 윤사로는 수양대군의 왕권 쿠데타인 계유정난 때 일등공신이며 조석문 역시 세조의 측근 심복이었다.

국립고궁박물관이 소장한 세조 어진 초본(왼쪽)과 해인사 측이 소장한 세조 어진 진영에서 얼굴 부분만 확대해 비교한 모습.
국립고궁박물관이 소장한 세조 어진 초본(왼쪽)과 해인사 측이 소장한 세조 어진 진영에서 얼굴 부분만 확대해 비교한 모습.

이 그림이 세조 어진 초본 얼굴과 엇비슷하다는 점도 후대에 조성된 상상도라고 단정 짓기 어렵게 한다. 왕실 어진이 성스럽게 봉안돼 일반인이 전혀 접근할 수 없었단 점에서 해인사 진영이 이를 모사했을 가능성은 '제로'다. 어쩌면 왕명에 따라 당대에 어떤 식으로든 그려졌다가 낡아버린 것을 훗날 모사 혹은 덧칠한 것일 수도 있다. 그렇다면 600년 전 진본이 현재 전해진 것은 아니다.

이에 대해 불교중앙박물관의 관장을 맡고 있는 서봉 스님은 “진영의 화기를 의심할 이유도 없고 해인사에 소중히 보관돼 왔다는 사실만으로도 이 그림의 가치를 짐작할 수 있다”며 세조 초상화 원본이란 입장을 확고히 했다. “이번 전시에 이 그림을 내세운 것도 존재를 널리 알려 보다 면밀한 조사를 받게 하겠다는 취지”라면서다.

서봉 스님은 2018~2019년도 해인사 성보박물관장을 지내면서 문제의 세조 진영을 확실히 인식했다고 한다. 이번 특별전 기획 당시 세조 어진 초본이 전시되는 걸 알게 되자 “비교하는 차원에서 꼭 필요하다”며 해인사 측을 설득하고 처음으로 사찰 바깥으로 내온 것도 스님의 노력이었다.

서울 종로구 불교중앙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 특별전 '큰 법 풀어 바다 이루고, 교종본찰 봉선사'에 흥국사 십육나한상 등이 전시돼 있다. 이번 특별전은 오는 12월1일까지 불교중앙박물관에서 경기 북부 지역의 불교문화를
서울 종로구 불교중앙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 특별전 '큰 법 풀어 바다 이루고, 교종본찰 봉선사'에 흥국사 십육나한상 등이 전시돼 있다. 이번 특별전은 오는 12월1일까지 불교중앙박물관에서 경기 북부 지역의 불교문화를 대표하는 보물 15건을 비롯해 총 93건 262점의 문화유산을 선보인다. 뉴스1
불교중앙박물관 "이 참에 제대로 진위 조사를"

서봉 스님은 “우리나라 불교 미술사 연구가 계속 진화하고 있어 10년 전 조사내용으로 단정할 수 없다”면서 “국가유산청 차원에서 제대로 된 국보·보물 심사를 할 수 있도록 전시가 끝나는대로 해인사 측을 설득해 국가지정유산 신청을 할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피의 군주’로 여겨지는 세조의 실제 얼굴, 과연 어땠을까. 서봉 스님 희망대로 국가지정문화유산 조사가 제대로 이뤄진다면 해인사 진영이 600년 전 원본이란 게 밝혀지게 될까. 만약 그렇지 않다면 이 그림이 왜 ‘세조 진영’으로 전해졌으며 이 그림을 사찰에서 귀하게 보관한 이유가 무엇일지 또 다른 미스터리도 발생하겠다.

한편 이번 특별전에는 경기 북부 지역 불교문화를 대표하는 보물 15건을 비롯해 총 93건 262점의 문화유산이 전시된다. 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와 말사인 용문사, 회암사, 흥국사 등이 소장한 유물이 대거 나왔다. 남양주 봉선사는 세조와 정희왕후가 묻힌 광릉의 능침사찰로서 이 같은 연관성 때문에 전시회에서 세조 어진이 부각됐다.

높이 8m에 육박하는 대형 불화인 봉선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 10월 2일부터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로비에서 관람객을 맞게 된다. 전시는 12월 1일까지.

10월 2일부터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로비에서 관람객을 맞게 되는 높이 8m의 비로자나삼신괘불(남양주 봉선사, 조선 1735년, 보물). 사진 불교중앙박물관
10월 2일부터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로비에서 관람객을 맞게 되는 높이 8m의 비로자나삼신괘불(남양주 봉선사, 조선 1735년, 보물). 사진 불교중앙박물관


임진왜란 때 소실…다시 그렸지만 6·25 직후 홀랑 불타
조선시대엔 태조(재위 1392~1398년)를 시작으로 대부분의 왕들이 어진을 제작했다. 엄격한 의례와 절차에 따라 제작된 어진은 궁궐 내 선원전에 봉안됐지만 임진왜란으로 인해 모두 소실됐다. 그런데 창업주였던 태조와 세조의 어진만 한양 이외의 지역에도 진전이 마련돼 있던 터라 소실을 겨우 면할 수 있었다.

병자호란 이후 다시 왕실이 안정화하면서 숙종 이후 모든 왕들의 어진이 제작됐다. 오래돼 낡으면 그대로 따라 그린 이모본으로 전해졌다. 태조 어진(국보 317호)도 1872년에 제작된 이모본이다. 이들은 여러 곳에 봉안돼 있다가 1908년 모두 창덕궁 선원전으로 옮겨졌다. 1935년 기록에 따르면 당시 총 46점의 어진이 봉안돼 있었고 그 중에서 세조어진과 원종어진의 모사가 이뤄지면서 48점으로 늘었다.

이 어진들은 6·25전쟁이 발발하면서 부산으로 소개(疏開)됐는데 전쟁이 끝나고도 미처 서울로 옮겨오지 못했다. 그러던 중 1954년 12월 26일 48점의 어진을 비롯한 궁중문화재 4000여 점이 보관되어 있던 부산시 동광동 부산국악원 창고에 불이 나 궁중문화재 3400여 점이 소실됐고 상당수의 어진도 이때 소실되거나 훼손됐다.
순조의 아들인 문조(익종), 즉 효명세자의 어진이다. 1954년 화재로 불타 일부만 남아 있다. 잔존 화면 세로 148.6cm, 가로 45.2cm. 사진 국립고궁박물관
순조의 아들인 문조(익종), 즉 효명세자의 어진이다. 1954년 화재로 불타 일부만 남아 있다. 잔존 화면 세로 148.6cm, 가로 45.2cm. 사진 국립고궁박물관

이때 완전히 소실되지 않고 일부라도 남아서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돼 있는 어진은 총 18점이다. 영조어진의 경우처럼 원형이 거의 온전히 남아있는 경우도 있지만 80%가 소실돼 복식의 끝자락과 배경 부분만 겨우 남아있는 경우도 있다. 현재 얼굴을 확인할 수 있는 어진은 태조와 영조(21대), 철종(25대), 고종(26대), 순종(27대)까지 다섯 점뿐이다.

고궁박물관이 소장한 세조 어진 초본은 부산 창고 화재와 무관하게 전해진 사례다. 1935년 구한말 최후 어진화사였던 김은호가 어진을 모사한 뒤 완성된 모사본은 부산 화재로 소실되었다. 그런데 김은호가 개인적으로 초본을 보관한 사실이 1969년 경향신문 기사 자료사진을 통해 알려졌다. 원래 초본은 어진이 완성되면 세초(태우거나 묻어 없앰)해야 하는데 일제강점기 혼란상황에서 왕실이 어진관리를 제대로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 초본은 김은호 사망 후 행방이 묘연했다가 2016년 서울옥션 경매에 등장했다. 국립고궁박물관은 당시 이를 7200만원에 낙찰받아 소장하고 있다.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

하단영역

씽크풀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투자에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또한 이용자는 본 정보를 무단 복사, 전재 할 수 없습니다.

씽크풀은 정식 금융투자업자가 아닌 유사투자자문업자로 개별적인 투자상담과 자금운용이 불가합니다.
본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모든 정보는 투자판단의 참고자료로 원금 손실이 발생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씽크풀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70, 15층 (여의도동, 미원빌딩)

고객센터 1666-6300 사업자 등록번호 116-81-54775 대표 : 김동진

Copyright since 1999 © ThinkPool Co.,Lt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