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주식종합토론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이수페타시스(007660)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작성자 정보

대감

게시글 정보

조회 503 2025/03/26 21:06

게시글 내용



메리츠증권은 3월17일 이수페타시스에 대해 인공지능(AI) 가속기 주요 고객사에 대한 점유율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며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투자의견 ‘매수(Buy)’를 제시하고 목표주가를 4만4736원에서 5만원으로 상향조정했다. 전 거래일 이수페타시스의 종가는 4만300원이다.

양승수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이수페타시스의 AI 가속기 주요 고객사는 제품 전환 과정에서 기판 적용 구조의 변화를 시도하는 것으로 파악된다”며 “새롭게 도입되는 기판은 적층 난이도가 높아져 이수페타시스가 강점을 보유한 VIPPO 기술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이라고 전망했다.이수페타시스는 올해 1분기(1~3월) 매출 2381억원, 영업이익 386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된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9.3%, 57.8% 높은 수치로, 시장 전망치(344억원)를 12.2% 웃도는 숫자다.양 연구원은 “본사와 중국 법인 모두 주요 고객사를 대상으로 한 제품 믹스 개선이 지속되고 있다”며 “특히 본사는 주요 고객사 내에서 고부가가치 기판이 요구되는 스위치 중심으로 물량이 집중 배정되면서, 제한된 생산능력(CAPA) 내에서 평균판매가격(ASP) 상승 효과가 지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한편 이수페타시스의 800G용 기판 수율이 개선돼 이익률 증가가 기대된다는 게 양 연구원 판단이다. 양 연구원은 “양산 초기 60% 중반 수준에서 시작한 800G용 기판 수율이 1분기 기준 80% 중반까지 상승했다”며 “800G용 기판은 높은 기술 난이도로 인해 ASP가 매우 높은 만큼, 추가적인 수율 안정화로 인한 이익률 개선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했다.이수페타시스는 현재 주문형(ASIC) 반도체의 신규 고객사와 공급 논의를 진행 중이라고 알려졌다. 양 연구원은 “현재는 캐파(CAPA·생산능력)에 한계가 있지만, 4분기 증설 물량이 반영되면 공급이 본격화될 가능성이 크다”며 “4분기 높은 가동률이 유지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했다.



이수페타시스가 급등하고 있다. 인공지능(AI) 반도체용으로도 쓰이는 다층 인쇄회로기판(MLB) 공급 부족이 심각하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이 회사의 증설 계획이 주목받는 모양새다.

2월13일 오전 9시10분 현재 이수페타시스는 전일 대비 2900원(7.13%) 오른 4만3600원에 거래되고 있다.이수페타시스가 전날 발표한 작년 4분기 실적에 대한 증권사 리서치센터들의 리뷰(분석) 보고서에서 MLB 공급 부족과 이수페타시스의 5공장 증설 가속화를 부각한 영향으로 보인다.김소원 키움증권 연구원은 “AI발(發) MLB 수요가 공급을 크게 웃도는 가운데 다중적층 공정의 적용 확대가 생산능력 손실을 유발해 공급 부족을 심화시키고 있다”며 “이수페타시스의 5공장 증설 가속화는 내년 및 중장기 실적 눈높이를 상향하는 요인”이라고 판단했다.목표주가도 줄상향됐다. 이날 이수페타시스의 작년 4분기 실적 리뷰 보고서를 낸 메리츠증권(3만9000원→4만6000원), 키움증권(4만5000원→5만2000원), SK증권(5만원→5만5500원) 등 세 곳이 목표주가를 올렸다.작년 4분기 실적 자체는 부진했다. 영업이익이 278억원으로,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 298억원에 못 미쳤다. 연말 일회성 성과급 비용과 800G용 신규 제품의 초기 수율이 예상보다 부진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2월12일 이수페타시스가 강세다. 이수페타시스는 오후 13시 전일대비 3.6% 오른 4만200원에 거래되고 있다.전일 DS투자증권은 이수페타시스에 대해 AI 가속기, 네트워크장비, 서버를 모두 갖춘 AI인프라를 가지고 있다며 공정 난이도가 증가하면 시장 지배력이 더욱 공고해질 전망이라고 분석했다.올해 800G 스위치향의 매출이 본격화되고 3분기부터 중국 법인의 제품 믹스 개선에 대한 기대감으로 전사 마진율이 15% 이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지난 1월 첨단소재 업체인 제이오 인수를 철회하고 유상증자 규모도 시설투자용인 2500억원으로 축소함에 따라 리스크가 해소되었으나 동사 실적 성장성을 감안할 경우 주가는 여전히 저평가 되었다고 분석했다. AI알고리즘들의 투자의견을 모아 종합의견을 제시하는 한경유레카는 이수페타시스에 대해 1월 21일 매수의견을 제시하며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한경유레카에서는 관심 종목을 등록하면 AI알고리즘들의 종합의견을 무료로 확인할 수 있으며 매매의견이 변동되면 오전 8시 30분에 앱을 통해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한경유레카 앱은 구글스토어 혹은 앱스토어에서 내려받으면 된다. 또한 원하는 AI알고리즘 업체 한 곳을 선택하면 1개월간 해당 알고리즘이 제공하는 유료 콘텐츠를 무료로 구독할 수 있다.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8368.67억으로 전년대비 23.92% 증가. 영업이익은 1018.79억으로 63.87% 증가. 당기순이익은 740.34억으로 55.13% 증가. 



이수페타시스가 급증하는 글로벌 고객사의 MLB(고다층 PCB)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대규모 설비투자에 나선다고 작년 11월22일 밝혔다. 이는 AI 및 데이터센터 시장의 성장에 따른 수요 증가에 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이수페타시스는 지난 8일 신규 공장 증설과 설비투자를 발표하며 약 4000억 원을 투입해 2028년까지 제5공장을 완공할 계획이라고 공시했다. 해당 투자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의 지속적인 공급 요청에 대응하기 위한 선제적 대응이다.특히, 4공장을 준공한지 2년이 채 되지 않은 시점에 이번 5공장 투자를 단행해 급증하는 데이터센터 고다층 PCB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하는 회사 측의 신속한 조치로 풀이된다. 4공장에 앞선 3공장이 지난 2015년에 준공된 것을 감안하면, MLB 시장이 슈퍼사이클에 진입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수페타시스 관계자는 "AI 데이터센터의 연산 처리 용량이 급증하면서, 데이터 송수신 기술의 발전이 필수적이다"라며 "데이터센터의 핵심 부품 중 하나인 MLB 기판도 신호 손실을 최소화하는 고사양 제품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밝혔다.또한 "차세대 MLB 기판은 기존 제품보다 제조 공정 난이도가 높아, 적층 및 도금 등 핵심 공정의 생산능력 증대가 필수적이다"라며 "이번 투자가 단순한 매출 확대를 넘어 미래 시장의 주도권 확보를 위한 중장기 전략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한편, 이수페타시스는 지난해 최대 실적을 기록한 데 이어, 올해 3분기에도 우수한 성과를 거뒀다.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2064억 원, 영업이익은 260억 원으로,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약 24%, 97% 증가한 수치다. 안정적인 재무성과를 기반으로 한 이번 대규모 투자는 회사의 성장 비전이 포함된 경영 전략이기도 하다.이번 5공장 투자는 이수페타시스가 글로벌 AI 및 데이터센터 시장의 핵심 플레이어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데이터센터 인프라가 확장되고 있기 때문에 이수페타시스의 선제적 투자는 글로벌 MLB입지 구축을 위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6753.33억으로 전년대비 1.36% 감소. 영업이익은 621.69억으로 46.69% 감소. 당기순이익은 477.23억으로 53.43% 감소. 

 
인쇄회로기판(PCB) 전문 제조업체. 통신, 네트워크, 휴대전화 등의 장비에 이용되는 PCB를 주로 생산. 국내 PCB업계 최초로 항공 우주분야 품질 규격(AS9100) 인증을 획득했으며, 국제 우주항공산업 특별 공정 관리 프로그램(NADCAP) 인증을 획득. 최대주주는 이수 외(26.59%), 주요주주는 국민연금공단(9.87%).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6429.21억으로 전년대비 36.90% 증가. 영업이익은 148.78% 증가. 당기순이익은 1024.73억으로 36.04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2008년 10월27일 891원에서 바닥을 찍은 후 작년 7월3일 58058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밀렸으나 11월18일 20423원에서 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 이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올 2월27일 4370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3월11일 34000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을 높혀오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3850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400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440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484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

하단영역

씽크풀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투자에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또한 이용자는 본 정보를 무단 복사, 전재 할 수 없습니다.

씽크풀은 정식 금융투자업자가 아닌 유사투자자문업자로 개별적인 투자상담과 자금운용이 불가합니다.
본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모든 정보는 투자판단의 참고자료로 원금 손실이 발생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씽크풀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70, 15층 (여의도동, 미원빌딩)

고객센터 1666-6300 사업자 등록번호 116-81-54775 대표 : 김동진

Copyright since 1999 © ThinkPool Co.,Lt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