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주식종합토론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엠씨넥스(097520)저점을 줄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작성자 정보

대감

게시글 정보

조회 630 2025/03/24 06:41

게시글 내용



대신증권은 3월10일 엠씨넥스에 대해 올해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웃돌 것으로 보고 목표주가를 3만4000원으로 기존 대비 3% 상향 조정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박강호 대신증권 연구원은 "목표주가를 상향한 배경은 올해 주당순이익(EPS)을 17.7% 올렸기 때문"이라며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7.6% 증가한 3384억원, 6.7% 늘어난 162억원으로 추정 대비 10.4%, 22%씩 상향 조정했다. 2분기 연속 높은 성장이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1분기 실적 호조는 갤럭시S25 등 삼성전자 스마트폰 내 카메라모듈과 구동계(액츄에이터)에서 점유율 증가, 믹스 효과(고가 비중 확대) 등 수량 및 가격이 동시에 상승했기 때문으로 카메라모듈 및 구동계 등 휴대폰 매출은 268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1%, 전분기 대비 21.9%씩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올해 실적은 갤럭시S25 판매 증가 및 점유율 확대의 수혜로 시장 기대치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박 연구원은 "엠씨넥스는 2022~2023년 베트남 공장의 수율 부진 이슈 및 점유율 하락으로 역성장하며 실적 부진을 기록했으나 지난해 고객사에서 기술 및 생산의 신뢰성을 확보하면서 갤럭시S24 및 고가의 A시리즈에서 카메라·구동계 공급 확대로 2024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3.4%, 143.5% 증가했다"면서 "올해 실적은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를 상회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신증권은 엠씨넥스의 올해 실적을 매출액 전년 대비 26.1% 증가한 1조3300억원, 영업이익은 35.7% 늘어난 602억원으로 추정했다. 박 연구원은 "삼성전자 내 중견 카메라모듈 업체 중 가장 높은 성장을 예상한다"면서 "특히 구동계 매출은 50.9% 늘어난 1603억원으로 추정, 경쟁사가 애플에 집중하면서 삼성전자 내 점유율 확대로 이어졌다. 올해 매출과 영업이익은 삼성전자 내 1위 자리를 다시 차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장부품의 안정적인 성장도 기대된다. 박 연구원은 "전장부품 매출은 2022년 1763억원에서 2025년 2839억원, 2026년 3016억원으로 증가해 안정적인 성장이 예상된다"면서 "전장부품의 매출 증가와 수익성 개선은 다른 카메라모듈 업체 대비 차별화 요인으로 실적 개선의 토대를 제공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영상 전문 기업 엠씨넥스가 지난해 4분기 두 자릿수 매출 성장과 세 자릿수 영업이익 성장을 기록하며 견조한 실적을 보였다. 스마트폰과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을 주력으로 하는 엠씨넥스는 스마트폰 제조사들의 멀티 카메라 채택 확대와 신규 제품 출시 효과로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엠씨넥스의 4분기 매출액은 298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185억 원으로 151.9% 급증했다. 영업이익률 역시 6.2%로 개선되며 수익성이 향상됐다. 올해 연간 실적 전망도 긍정적이다. 증권가에 따르면 매출액은 전년 대비 10.9% 증가한 1조 1720억 원, 영업이익은 15.5% 증가한 513억 원으로 예상되며, 시장에서는 추가적인 실적 상향 가능성도 열려 있다고 평가했다.

대신증권 박강호 연구원은 "4분기 수익성 호조의 배경은 자동차용 카메라를 포함한 전장 부품 매출 증가와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 그리고 일회성 이익 반영"이라며 "삼성전자의 갤럭시S25 선행 생산과 구동계 점유율 증가가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또 "2025년에도 갤럭시S25 판매 확대와 신규 모델 추가에 따른 수혜가 예상되며, 전장 부품 매출과 이익 증가로 2년 연속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신한투자증권 오강호 연구원은 "2025년에는 AI 기능 강화로 인해 스마트폰 수요가 개선될 것이며, 이에 따라 엠씨넥스의 실적 체력도 더욱 단단해질 것"이라고 전망하며 "주요 고객사의 플래그십 모델 출하량이 전년 대비 10% 이상 증가할 것으로 보여 엠씨넥스의 실적 상향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덧붙였다.

업계에서는 엠씨넥스가 스마트폰용 멀티 카메라와 ToF(Time of Flight) 카메라, 생체인식 솔루션 등 신규 제품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실적 개선세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카메라 모듈 시장에서도 입지를 넓혀가며 중장기 성장 동력을 확보할 전망이다.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조0570.58억으로 전년대비 13.4% 증가. 영업이익은 443.85억으로 143.6% 증가. 당기순이익은 648.63억으로 132.3% 증가. 



엠씨넥스는 주가 안정,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108억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을 결정했다고 1월20일 공시했다.

취득 예상 기간은 오는 21일부터 4월 18일까지다.



엠씨넥스가 차량용 반도체 모듈 패키징 사업에 진출한다. 회사를 1조원 규모로 성장시킨 카메라 모듈 외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낙점했다. 반도체 모듈 패키징을 3000억원대 사업으로 키운다는 목표다.

민동욱 엠씨넥스 대표는1월14일  'CES 2025'가 열린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차량용 반도체 모듈 패키징 사업을 올해 처음 시작한다”며 “상반기 중 베트남 공장에서 양산에 돌입, 연내 매출이 발생할 것”이라고 밝혔다.

엠씨넥스가 추진하는 이 사업은 자동차에 탑재되는 칩을 인쇄회로기판(PCB)에 실장, 완제품으로 만드는 것이다. 시스템 반도체와 메모리 반도체를 PCB에 최종 조립하고 모듈화하는 것으로, 시스템인패키지(SiP) 형태로 제조하기 때문에 패키징이란 용어를 썼다.

엠씨넥스는 이를 위해 2022년 말부터 연구개발(R&D)에 착수, 반도체 표면실장기술(SMT) 기술을 확보했다. 또 150억원 이상을 투자, 베트남 공장의 카메라 모듈 생산 라인을 반도체 패키징 라인으로 전환하는 작업도 마무리했다.

회사는 국내 차량용 반도체 설계(팹리스) 기업 2곳을 고객사로 확보했다. 엠씨넥스가 고객사에 SiP 모듈을 납품하면, 팹리스 기업은 이를 완성차 업체에 다시 공급하는 구조다. 차량용 시스템 반도체는 메모리와 함께 PCB에 실장돼야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모듈 패키징은 자동차 반도체 공급망에서 핵심적인 공정이다.

민 대표는 “현재 확보한 고객사 이외에 글로벌 종합반도체기업(IDM)과도 사업화를 논의 중”이라며 “반도체 패키징 부문 매출을 2000억~3000억원대로 확대하는 게 목표”라고 설명했다.

엠씨넥스는 민 대표가 지난 2004년 설립한 부품사다. 주력 사업 영역은 모바일과 차량용 카메라 모듈로, 삼성전자와 현대차그룹 등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연간 1조원 안팎의 매출을 기록 중인 중견기업이다.

회사가 안정적인 수익을 올리고 있는 카메라 모듈을 넘어 반도체 모듈 패키징이라는 새로운 분야에 진출하는 건 지속 성장을 위해서다. 일반 휴대폰에 들어가는 카메라부터 시작한 엠씨넥스는 스마트폰으로 넘어오며 급속 성장했고, 자동차가 전기차·자율주행차로 발전하면서 전장 시장을 공략, 모바일과 자동차가 균형을 이룬 회사가 됐다. 엠씨넥스 카메라는 현대자동차, 벤츠, 볼보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공급되고 있다.

민 대표는 “중국 카메라 모듈 업체 역량이 지난 10년 동안 급속 발전하면서 기술 격차가 줄고 경쟁 구도도 치열해지고 있다”며 “미래 먹거리 발굴 차원에서 전장용 레이더와 라이다(LiDAR) 등 신규 아이템을 꾸준히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부터 신사업 육성과 자사주 매입과 소각 등 주주 친화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오는 2030년 매출 2조원 목표를 달성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엠씨넥스가 세계 최대 IT 전시회 'CES 2025'에서 차세대 모바일 기술과 전장 솔루션을 선보였다고 1월10일 밝혔다.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지난 7일부터 이날까지 개최되는 이번 전시회에 11년 연속 참가한 엠씨넥스는 모바일 기기와 전장 분야 차세대 영상 솔루션과 신사업 제품을 대거 공개했다.  

이번에 전시한 초슬림 고화소 카메라 모듈은 스마트폰의 슬림화 트랜드에 발맞춰 슬림형 액추에이터와 패키지를 탑재해 기존 제품 대비 두께를 큰 폭으로 감소시켰다. 또 광학 5배, 10배 폴디드줌 카메라는 잠망경 구조를 적용해 두께를 최소화했다. 

엠씨넥스는 기존 3D 센싱 ToF(비행시) 카메라 기술에서 원거리 센싱 기능을 추가해 2채널 ToF 카메라를 개발 중이다. 3D 센싱 ToF란 비행시간 측정 기술을 기반으로 사물과 공간의 입체 정보를 정밀하게 파악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AR(증강현실), VR(가상현실), 로봇, 의료,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차세대 필수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AR, VR 등의 센싱 카메라 시장 확대에 발맞춰 센싱 기술 확보를 위한 SPAD(단일광자 포토다이오드)센서를 이용한 ToF를 개발하고 초슬림 센싱 카메라를 위한 메타렌즈와 스마트글라스 요소기술 등을 개발·검토 중이다. 

아울러 스마트폰 슬림화 트랜드에 맞춘 초소형 지문인식 모듈과  또한 웨어러블 기기를 위한 심박수, 체온, 체지방 측정이 가능한 생체 센서 모듈을 선보였다. 신사업 분야에서는 OSAT((외주반도체패키지테스트) 제품군을 공개했다. 

민동욱 대표는 "끊임없는 기술 혁신과 시장 변화에 대한 발 빠른 대응으로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선도적 위치를 더욱 공고히 하겠다"고 강조했다 



차량용 및 스마트폰 영상기기 전문기업 엠씨넥스(097520)의 민동욱 대표이사가 자사주 51,000주를 장내매수 방식으로 취득했다고 작년 11월18일 공시했다. 이번 취득으로 민동욱 대표이사는 올해에만 총 111,000주의 자사주를 매입하게 된다.

엠씨넥스 관계자는 “연속적인 자사주 매입은 회사의 성장 가능성에 대한 확신을 나타내며, 동시에 책임경영을 지속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엠씨넥스는 초소형 카메라 모듈 분야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자동차, 의료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며 지난 11월 4일에도 자사주 40만 주를 매입한 바 있으며, 주주가치 증대를 위해 자사주 매입을 계속 이어 오고 있다.

엠씨넥스는 지속적인 연구 개발과 사업 확장을 통해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차량용 카메라 모듈 시장의 성장과 함께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

엠씨넥스는 초소형 카메라 모듈 기술력을 바탕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 하면서 주가에 훈풍을 불어 넣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을 시작으로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휴대폰용 액츄에이터 등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다.

핵심 기술인 CCM(Camera Control Module) 기술은 휴대폰에 접목된 이후 빠르게 발전하여 자동차, USB 카메라, 로봇, 홈 DVR, CCTV, 의료 기기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9324.90억으로 전년대비 11.38% 감소. 영업이익은 182.24억으로 70.29% 증가. 당기순이익은 279.24억으로 21.55% 증가.


카메라 모듈 전문업체. 초소형 카메라모듈 분야에 대한 핵심 기술력을 바탕으로 휴대폰용 카메라모듈, 자동차용 카메라모듈, 휴대폰용 엑츄에이터, 생체인식모듈(홍채인식, 지문인식), 멀티 카메라모듈, 블랙박스용 카메라모듈, 로봇용 카메라모듈, CCTV용 카메라모듈, 3D 카메라모듈 등을 생산. 주요 매출처는 삼성전자, Kyocera 등 국내외 휴대폰 업체와 현대모비스 등 자동차 관련 업체 등. 최대주주는 민동욱 외(28.27%).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조1086.38억으로 전년대비9.85% 증가. 영업이익은 107.02억으로 55.18% 감소. 당기순이익은 229.73억으로 41.85% 감소. 


2012년 11월16일 3075원에서 바닥을 찍은 후 2021년 2월4일 66500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조정에 들아간 모습에서 작년 10월28일 16720원에서 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 이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올 3월17일 2550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리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2285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238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263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290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

하단영역

씽크풀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투자에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또한 이용자는 본 정보를 무단 복사, 전재 할 수 없습니다.

씽크풀은 정식 금융투자업자가 아닌 유사투자자문업자로 개별적인 투자상담과 자금운용이 불가합니다.
본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모든 정보는 투자판단의 참고자료로 원금 손실이 발생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씽크풀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70, 15층 (여의도동, 미원빌딩)

고객센터 1666-6300 사업자 등록번호 116-81-54775 대표 : 김동진

Copyright since 1999 © ThinkPool Co.,Lt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