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종합토론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지엔씨에너지(119850)저점을 줄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게시글 내용
아이브이리서치는 3월20일 지엔씨에너지에 대해 국내 데이터센터 증설 수혜를 볼 수 있고, 해외 진출 및 사업 다각화를 기대할 수 있다며, 멀티플 상향 가능성을 점검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지엔씨에너지는 국내 설계·조달·시공(EPC) 업체로, 비상 및 상용, 열병합, 바이오가스 발전사업, 환경설비 설계 및 시공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현재 국내 데이터센터 향 디젤엔진 비상발전사업의 시공을 주력으로 하고 있으며, 발전기 사업 부문의 약 70%가 데이터센터 향으로 구성돼 있다. 데이터센터 특성상 비상발전 설비가 필수인데, 동사는 국내 데이터센터 비상발전기 시장의 70%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아이브이리서치는 "2025년부터는 데이터센터 증설에 대해 더 강한 드라이브가 걸릴 것으로 전망한다"라며 "딥시크, 범용 인공지능(AGI)등의 키워드가 대두하며 AI에 대한 역량 강화가 필수적이라는 인식이 생겼고, 국내 기업 및 정부 또한 AI 필수 인프라인 데이터센터 확보에 대한 니즈가 커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1월 DCI Data Centers(가산, 하이퍼스케일급 추정), 3월 이지스자산운용 데이터센터(안산, 40MW) 등 2025년 신규 데이터센터 착공 소식이 이어지고 있다"라며 "국내 비상발전 분야 압도적 지위를 보유하고 있는 동사의 수혜가 예상된다"라고 덧붙였다.
아이브이리서치는 "최근 동사의 주가 흐름은 호실적에 대한 기대감과 실적 증명이 이뤄질 때마다 레벨업하는 양상을 보인다"라며 " EPC 업체 특성상 줄곧 5~10배 수준의 밸류에이션을 적용받아왔는데, 이제 멀티플 상향 가능성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데이터센터라는 전방 산업 특성상 준수한 이익률과 높은 성장성을 기대할 수 있어 EPC 업체의 멀티플 할인 요인 일부는 상쇄 가능하다고 판단한다"라며 "현재 사업다각화가 이뤄지는 단계로, 파푸아뉴기니 발전소를 인수하여 2024년 하반기부터 실적에 기여하고 있으며, 전력 인프라 분야, 해외 EPC 수주 등으로 사업 다각화를 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라고 전했다.
지엔씨에너지가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지엔씨에너지는 지난해 연결 영업이익이 316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186.5% 증가했다고 2월17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과 순이익은 2259억원, 395억원으로 각각 35.8%, 237.4% 늘었다. 창립 이래 최대 실적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지엔씨에너지 관계자는 "AI(인공지능) 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 확대되면서 이에 필요한 인터넷데이터센터(IDC)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면서 "이에 따라 IDC 필수 시설인 비상발전기 부문 매출 또한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전방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투자 사업 또한 안정적인 매출과 이익이 발생하고 있고, 매출액 증가와 함께 이익률도 높아지고 있다"면서 "AI 산업 확대에 따라 직접적으로 수혜를 받고 있는 지엔씨에너지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263.16억으로 전년대비 35.88% 증가. 영업이익은 317.04억으로 187.62% 증가. 당기순이익은 388.65억으로 232.04% 증가.
지엔씨에너지가 미국 정부의 대규모 AI 인프라 투자 발표 이후 비상발전기 사업 부문이 부각되며 주가가 급등하고 있다.
1월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 거래일 7.07% 올라 1만 333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미국은 최근 5000억 달러 규모의 AI 인프라 투자 계획을 발표해 데이터센터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센터 운영에 필수적인 비상발전기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엔씨에너지는 국내 데이터센터 비상발전기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KT, SK C&C, LG 등 국내 주요 데이터센터에 비상발전기를 공급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특히, 대용량 발전기와 가스터빈 발전기 시장에서 강점을 보이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지엔씨에너지의 비상발전기 사업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실적 개선을 이끌고 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발전기 사업의 매출은 전체 매출의 80% 이상을 차지했으며, 올해는 매출 2000억원, 영업이익 140억원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엔씨에너지가 강세다. IT 인프라 투자 확대로 고성장이 기대된다는 증권사 분석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지엔씨에너지는 지난 12월6일 오후 2시41분 기준 전거래일 대비 790원(8.90%) 오른 9670원에 거래됐다.
지엔씨에너지는 비상 및 상용 발전기 EPC 전문 기업으로 발전기 사업 부문의 약 70%가 데이터센터향으로 구성됐다. 박희철 흥국증권 연구원은 "국내 데이터센터향 비상 발전기 산업 내에서 약 70% 이상의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다"며 "디젤 엔진 발전기부터 가스터빈 발전기까지 모두 대응이 가능해 의왕 NH 통합 IT 센터, 죽전 퍼시픽써니 데이터센터 등 대규모의 레퍼런스를 확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희철 연구원은 "지엔씨에너지가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센터는 AI 상용화의 큰 방향성을 앞두고 전력 소모량이 크게 증가할 전망"이라며 "생성형 AI 등장 이전 랙 당 평균 전력 소모량은 약 8KW 수준에서 2년만에 약 17KW로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2027년까지 랙 당 평균 전력 소모량은 30KW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국내의 데이터센터 전력 소모량 또한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내년 추정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3007억원과 439억원이다. 올해 대비 각각 38.6%, 54.6% 증가다. 그는 " 국내 데이터센터 비상 발전기 업계 내에서 선두적인 지위를 확보하고 있는 기업으로 AI 확산과 함께 필연적으로 증가할 수요를 맞이할 전망"이라며 "디젤 엔진과 가스터빈 모두 대응 가능하기 때문에 고객사 맞춤 공급을 통한 시장 입지 유지가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지엔씨에너지(119850)의 주가가 오름세다. KT가 마이크로소프트(MS)와 전략적 파트너십 약정 체결로 4억5000만달러(약 5900억원) 규모의 네트워크, 데이터센터 등 인프라를 공급한다고 공시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엔씨에너지는 KT클라우드 데이터센터용 비상발전기 공급사다.
작년 9월30일 오후 1시 38분 현재 지엔씨에너지는 전 거래일 대비 4.33% 상승한 6030원에 거래 중이다.
KT는 이날 MS와 전략적 파트너십 약정 체결로 4억5000만달러(약 5900억원) 규모의 네트워크, 데이터센터 등 인프라를 공급한다고 공시했다. 이번 인프라 공급 계약은 양사가 맺은 전략적 파트너십의 일환이다.
인프라 공급 주체는 KT와 KT클라우드며 데이터센터 공급 기간은 15년이다. KT는 향후 사업협력에 따라 실제 서비스 공급 금액은 변경될 수 있다고 밝혔다.
지엔씨에너지는 지난해 KT 클라우드로부터 창사 이래 최대인 300억원 규모의 비상발전기 공급 계약을 수주한 바 있다. 지엔씨에너지는 KT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에 발전기를 공급하며 계약기간은 2023년 11월 24일부터 2026년 6월 30일까지다.
KT와 KT클라우드가 MS에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공급한다는 소식에 간접수혜가 있을 거란 기대감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된 것으로 풀이된다.
작년 6월11일 친환경·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 지엔씨에너지가 파푸아뉴기니 경쟁 당국으로부터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소유한 발전소를 인수하는 계약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지난 10일 현지 영자매체인 '더내셔널(The National)'에 따르면 파푸아뉴기니 ICCC는 최근 이와 같은 결정을 내렸다. 한국 공정거래위원회에 해당하는 정부 기관이다.
지난달 지엔씨에너지는 포스코인터내셔널 파푸아뉴기니 발전소 주식 전량을 300억 원에 양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계약금으로 30억 원을 이미 지불했으며 거래 종결 예정일인 6월 30일 잔금 270억 원을 지급할 계획이라고 밝히고 ICCC 결정을 기다려 왔다. 공시 당시 코스닥 상장사인 지엔씨에너지 주가가 치솟기도 했다.
이로써 해당 계약은 애초 예상대로 이번 달에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
지엔씨에너지 입장에서 포스코인터내셔널 파푸아뉴기니 발전소 인수는 매우 중차대한 투자로, 300억 원 전액 보유 자금으로 조달할 계획이다. 지엔씨에너지가 보유한 총자산 1870억 원의 16%가 넘는 돈을 이 발전소 인수에 투입하는 셈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 파푸아뉴기니 발전소는 작년 88억 원의 순이익을 냈다. 2021년과 2022년 순이익은 각각 102억 원과 120억 원에 달했다.
비상용 발전기사업을 주력으로 영위하는 업체. 비상용 발전기사업에서 쌓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상용 발전인 열병합 발전사업에도 진출. 특히, 가스터빈 비상발전기의 시장 점유율을 높혀 가고있으며 연료전지 발전사업과 선박용 비상 발전기 사업, 스팀터빈 설치 시공에 꾸준히 참여중. 신성장동력으로 바이오가스 발전사업을 영위중이며, 신재생에너지(지열 냉,난방 시스템과 연료전지) 사업도 영위. 22년5월 연료전지 및 신재생에너지의 개발사업 부문을 분할하여 석문그린에너지를 설립. 최대주주는 안병철 외(34.59%).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85.46억으로 전년대비 21.27% 증가. 영업이익은 60.93억으로 11.85% 감소. 당기순이익은 259.94억으로 592.07% 증가.
2020년 3월19일 1940원에서 최저점을 찍은 후 작년 5월16일 11440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밀렸으나 10월31일 4845원에서 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 이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올 2월19일 18770원에서 신고가를 갱신 후 밀렸으나 28일 14710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3월19일 1840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리는 중으로, 저점에선 매수 시점을 노려볼 수 있을듯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1565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163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18000원 이상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198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 2025.04.18 14:27 딥노이드(315640)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 2025.04.18 12:43 지니언스(263860)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 2025.04.18 10:48 대진첨단소재(393970)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 2025.04.18 10:46 온코크로(382150)저점을 줄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 2025.04.18 10:35 에르코스(435570)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