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주식종합토론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GS글로벌(001250)저점에선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작성자 정보

대감

게시글 정보

조회 436 2024/06/21 16:53

게시글 내용



GS에너지가 동해 심해 가스전 '대왕고래 프로젝트' 첫 전략 회의에 참여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GS 그룹사의 주가가 급등하고 있다.

6월21일 코스피 시장에 따르면 GS는 이날 오후 3시19분 현재 전 거래일보다 20.18% 오른 5만3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각 GS우(9.64%), GS글로벌(29.96%) 등 관련 주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서울 석탄회관에서 안덕근 장관 주재로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전략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는 관계 부처와 국책 연구기관, 유관 학회, 자원공기업이 참여했고 포스코인터내셔널, SK E&S, GS에너지 3사 등 민간기업도 함께했다.

안 장관은 "시추 계획은 석유공사가 잠정 기본계획을 마련했다"며 "앞으로 검토를 거쳐 1차공 시추 위치 등을 확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전기먹는 하마'로 불리는 AI산업의 전력 수요 증가속도가 급증함에 따라 실제 산업계가 석탄 등 화석에너지에 더욱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며 석탄탄광 지분을 보유한 GS글로벌이 주목을 받고 있다.

2030년 전 세계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가 사용하는 전력량이 인구 대국 인도의 전력 소비량을 제칠거라는 전망이 나왔다.

4월17일(현지시간) 블롬버그 통신은 영국 반도체 설계 기업 Arm의 러네이 하스 최고경영자(CEO)가 인터뷰를 통해 “AI 개발 과정에서 에너지 사용량이 3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 상황을 막을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그는 “현재 AI는 아직 초기 단계”라며 “이를 더 발전시키려면 더 많은 데이터 훈련이 필요하고, 그러다 보면 에너지 용량의 한계에 부딪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기 먹는 하마’로 불리는 데이터센터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전 세계적 전력난을 우려하는 목소리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전력 부족을 해결하기위해 SMR, 재생에너지 등의 확보가 우선시되고 있지만 현재 수준으로 급증하는 수요를 맞추는 것이 불가능해 가까워지며 실제 여러 국가들은 화석에너지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족한 전력 공급을 충족하기 위해  이미 미국에선 석탄화력발전소를 폐쇄하려던 계획이 속속 뒤로 미뤄지고 있다.  

어니스트 모니즈 전 미국 에너지장관은 “(데이터센터 급증으로) 전력회사들이 천연가스와 석탄ㆍ원자력발전소에 더 많이 의존해야 할 것”이라며 “수요 급증을 충족시키기 위해 새로운 가스 발전소 건설을 지원해야 할 수도 있다”고 경종을 울리기도 했다.

미국 뿐만이 아닌 전세계적으로 지난해 석탄 발전량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편 GS글로벌은 GS에너지와 지난 2017년 인도네시아 칼리만탄섬에 소재한 'BSSR 석탄광' 지분 14.74%를 4500만 달러(한화 540억 원)에 인수했다. 지분율은 GS에너지가 9.74%, GS글로벌이 5%다. 두 회사는 보유지분에 해당하는 석탄 물량에 대한 판매권을 보유하고 있다.



4월8일 GS글로벌이 비야디(BYD) 전기 냉동 탑차를 2분기 출시한다고 밝혔다. 1톤 전기 트럭 T4K에 이은 전기 탑차로 전기 상용차 사업 영역을 확대한다.

GS글로벌이 T4K 판매량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전기 상용차 사업을 강화하기 위한 수순이다.

GS글로벌은 BYD 1톤 전기트럭 T4K 기반 냉동탑차 환경부 인증을 마무리하고, 이르면 5월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 해 3월 BYD T4K 출시 이후 1년여 만이다.

T4K 냉동탑차는 GS글로벌이 판매하는 두번째 전기 상용차다. T4K와 유사한 주행거리 300Km 이상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된다. 배터리 용량, 겨울철 성능, 안정성 등을 강화한 BYD 차세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외부로 전기를 공급하는 V2L기능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 별도의 보조배터리 충전이 필요 없다.

GS글로벌은 BYD 1톤 트럭 T4K를 국내에 처음 도입·판매하며 전기 상용차 사업 노하우를 축적했다. 올해 T4K 판매량은 지난해 연간 판매량 절반 수준을 달성했다.

GS글로벌은 BYD 전기 상용차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방침이다. BYD는 중국 강소성에 전기 상용차 전용 공장을 가동하고 있다. 연간 수십만대 이상 생산이 가능한 공장으로, 전기차 업체 가운데 상용차 전용 공장을 확보한 건 BYD가 처음이다. GS글로벌은 전기 상용차 라인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GS글로벌은 티몬을 비롯 e-커머스를 통해 판매를 확대한다. 이와 함께 T4K 판매를 늘리기 위해 BYD 전용 정비소를 확보하고, 3S(세일즈·서비스·스페어 파트 모두 담당) 사업장을 구축했다. GS글로벌이 운영하는 GS오토오아시스, 자일자동차 등 협력 정비소를 통해 정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9622.18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1% 감소. 영업이익은 171.13억으로 26.6% 감소. 당기순이익은 119.28억으로 30.9% 증가.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3조9164.93억으로 전년대비 22.77% 감소. 영업이익은 765.19억으로 8.59% 증가. 당기순이익은 260.79억으로 61.68% 감소. 


GS그룹 계열의 종합 무역상사. 철강, 석유화학, 에너지(석탄, 바이오매스, 바이오디젤 등)등의 무역/ 유통 사업부문, 수입차 PDI, 특장차 제조 등을 영위하는 물류 사업부문, 정유, 석유화학 플랜트 및 복합화력발전 설비 제조 사업부문, 그리고 개발 및 기타 신사업 등 총 4개의 사업을 영위. 에너지 설비 전문업체 지에스엔텍 등을 주요 종속회사로 보유. 최대주주는 GS 외(50.78%) 상호변경 : 쌍용 -> GS글로벌(09년8월).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5조709.23억으로 전년대비 31.75% 증가. 영업이익은 704.68억으로 81.40% 증가. 당기순이익은 680.61억으로 208.97% 증가. 


2020년 3월19일 987원에서 바닥을 찍은 후 2022년 5월6일 5230원에서 고점을 찍고 조정에 들어간 모습에서 작년 1월3일 2120원에서 마무리한 이후 4월25일 358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10월6일 2195원에서 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 이후 크고 작은 등락ㅇ르 보이는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중으로, 저점에선 매수 시점을 노려볼 수 있을듯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317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33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363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40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