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주식종합토론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화승알앤에이(378850)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작성자 정보

대감

게시글 정보

조회 219 2024/06/21 06:32

게시글 내용



화승알앤에이의 주가가 강세다. 현대차가 인도에서 대규모 IPO를 진행하는 것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현대모비스로부터 지분투자를 받은 바 있는 화승알앤에이에는 인도 현지에서도 사업을 영위 중이다. 화승알앤에이의 인도법인은 지난해 12월 차체 고무실링을 첫 수주했다. 

6월17일 10시 31분 화승알앤에이는 전일 대비 7.29% 상승한 4,045원에 거래 중이다.현대자동차가 인도법인을 현지 증시에 상장한다. 국내 대기업이 지분 100%를 보유한 해외법인을 현지 증시에 상장하는 것은 현대차가 처음이다. 중국, 미국에 이은 세계 3위 자동차 대국을 잡는 데 필요한 투자금을 현지에서 조달하는 게 유리하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이다.16일 로이터통신과 국내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인도법인은 전날 인도 증권거래위원회(SEBI)에 예비투자 설명서(DRHP)를 제출했다. 신주 발행 없이 현대차가 보유한 주식 일부를 매각하는 구주 매출 방식이다. 최대 1억4200만 주를 시장에 내놓는다. 현대차 보유 주식(8억1200만 주)의 17.5% 수준이다.현대차가 인도법인 상장을 결정한 것은 인도를 한국에 이은 제2의 생산·판매 거점으로 키우기 위해서다. 14억 인구를 거느린 인도의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8.2%로 주요 경제 대국 중 가장 높았다. 이 덕분에 지난해 인도 자동차 판매 대수는 413만 대에 달했다. 세계 3위다.한편 현대모비스가 지분투자를한 화승알앤에이 또한 이번 소식에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17년 현대모비스는 현대차그룹의 핵심협력사로 알려진 화승알앤에이의 지분을 매입해  아직까지 보유 중이다.특히 이번 현대차 인도법인의 상장이슈로 주목받는 이유는  화승알앤에이가 ‘HSI AUTO’(화승 인도법인)을 통해 인도에 현지에서도 사업을 영위 중이란 점이 부각된 것으로 보인다. 지난 12월 인도의 자동차 제조회사 마힌드라&마힌드라(마힌드라)에 글래스런, 웨더스트립 등 연간 114억원에 달하는 차체 고무 실링 부품의 첫 대규모 수주에 성공했다.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1698.38억으로 전년동기대비 2.65% 감소. 영업이익은 81.09억으로 2.43% 감소. 당기순이익은 88.75억으로 32.25% 증가. 



전기차는 내연기관차보다 부품 수가 약 30~50% 적지만, 전기차 시대에도 꼭 필요한 부품이 있다. 유리창, 트렁크, 선루프 주변에 쓰는 고무다. 화승알앤에이는 현대차와 기아뿐 아니라 폭스바겐, BMW, 제너럴모터스(GM), 스텔란티스 등에 자동차용 고무 부품을 납품하고 있다. 화승알앤에이는 화승그룹 산하 기업이다. 화승그룹은 고(故) 현수명 창업주가 1953년 부산에서 설립한 동양고무공업에 뿌리를 둔다. 화승그룹은 현재 자동차용 고무 부품을 만드는 화승알앤에이, 아디다스 신발을 생산자 개발 방식(ODM)으로 만드는 화승인더(화승인더스트리)를 양대 주력으로 삼고 있다.

화승그룹의 실질적 지주사는 화승코퍼레이션이다. 화승알앤에이는 2021년 3월 인적 분할을 통해 존속법인 화승코퍼레이션으로부터 나뉘었다. 화승알앤에이의 주력 제품은 외부 소음, 빗물, 먼지의 유입을 막는 고무 부품으로 웨더 스트립(Weather Strip)이라고 불린다. 차체와 유리 사이, 트렁크 내부, 차 문 내부 가장자리 등 내연기관차·전기차·수소차에 두루 쓰인다. 화승알앤에이는 최근 인도의 자동차 기업 마힌드라&마힌드라를 새 고객사로 맞았다. 마힌드라는 전기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에 화승알앤에이 웨더 스트립을 쓰기로 했다. 

3월7일 화승알앤에이 관계자는 “소음·진동(NVH)을 줄이고 경량화한 것이 특징”이라며 “풍절음(차와 바람이 부딪쳐 나는 소리)을 줄이는 성능을 유수의 완성차 기업들로부터 인정받았다”고 밝혔다.자동차 내부에 들어가는 고무호스도 주력 제품이다. 에어컨 냉매가 순환하는 고무호스, 브레이크 유압을 전달하는 관로 역할을 하는 고무호스, 엔진 열을 냉각시켜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라디에이터 호스 등이다. 화승그룹 계열사 화승소재가 원재료(고무)를 수급하고, 화승알앤에이가 부품을 제조하는 수직 계열화 생산 체제를 갖췄다.

라디에이터 호스나 주유 호스 등 일부 부품은 전기차에 들어가지 않는다. 반면 전기차는 배터리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냉각수 고무 배관 등이 별도로 필요하다. 화승알앤에이 관계자는 “내연기관 연료계에 들어가던 고무호스는 사라지지만, 오히려 전기차·수소차에 추가되는 고무호스가 더 많다”며 “전기차·수소차 전환에 따라 호스 제품군 매출이 1.5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화승알앤에이는 현대로템이 주도하는 수소트램 상용화 사업에 참여해 관련 부품을 개발하는 등 새로운 시장도 두드리고 있다.

화승그룹은 고 현수명 창업자의 장남인 현승훈(82) 회장이 사업을 다각화하며 사세를 확장해 왔다. 화승그룹은 4개의 상장법인과 63개의 비상장사 등 67개사로 구성돼 있다. 현승훈 회장의 장남 현지호(53) 총괄부회장이 화승코퍼레이션의 최대 주주(지분율 35.44%)이고, 화승알앤에이 사업을 주도한다. 현승훈 회장의 차남인 현석호(51) 부회장은 화승인더스트리를 이끈다.화승알앤에이는 현지호 총괄부회장이 21.96%, 현승훈 회장이 13.48%, 화승코퍼레이션이 11.27%, 화승인더스트리가 9.26%의 지분을 갖고 있다. 화승알앤에이는 2021년 사업연도(2021년 3~12월)에 매출 5057억원, 영업이익 79억원을 기록했다. 2022년에는 매출 6579억원에 155억원의 영업이익을, 작년에는 매출액 6806억원, 영업이익 318억원을 거뒀다. 미국, 중국, 인도, 유럽, 남미 등에 해외 법인을 두고 있다.화승알앤에이 관계자는 “전기차·수소차는 주행거리를 늘리기 위해 차체 중량 감소, 부품 경량화에 주력하고 있다”며 “화승소재의 친환경 소재 TPV(열가소성 가교 엘라스토머)를 적용한 웨더 스트립 공급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화승알앤에이의 주가가 강세다. 저PBR로 재평가 움직임이 일어나며 현대차와 기아차의 주가가 급등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화승알앤에이는 현대자동차그룹을 고객사로 둔 자동차부품업체로 현대모비스가 전략적 협력관계 강화 일환으로 지분 2.63%를 매입한 바 있다. 화승알앤에이의 현재 PBR은 0.82다. 2월5일 13시 44분 화승알앤에이는 전일 대비 5.03% 상승한 4,180원에 거래 중이다. 

국내 자동차 업계 현대차와 기아의 주가가 나란히급등하면서, 코스피 시장에서 치열한 순위 경쟁을 펼치고 있다.최근 3일 동안 양사는 주식시장서 사이좋게 엎치락 뒤치락하며 자동차 관련주에 훈풍을 불어넣고 있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일 기아는 전 거래일 대비 1만3200원(12.42%) 뛴 11만9500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같은 기간 현대차는 전 거래일 대비 1만9000원(9.13%) 급등한 22만7000원에 거래를 마감하며 52주 신고가를 갈아치웠다. 이날 기아의 시가총액은 48조443억원으로 코스피 시총 상위 6위에 올랐고, 현대차는 7위(48조177억원)에 랭크됐다. 두 회사의 시총 차이는 불과 266억원이다. 최근 기아와 현대차는 지난해 최대 실적과 1배 미만 '저PBR'(주가순자산비율) 기업으로 주목받으면서 주가가 뛰기 시작했다. 먼저 움직인 건 아우인 기아였다. 지난달 31일 기아는 2001년 이후 23년만에 처음으로 현대차의 시총을 앞섰다. 이튿날 현대차가 다시 역전했지만, 그 다음날 다시 기아가 추월했다. 양사는 주식시장에서 레이싱 경기라도 하듯 엎치락 뒤치락 한치의 양보없이 질주하는 모양새다. 

한편 현대차그룹은 현대모비스를 통해 화승알앤에이의 지분 2.63%를 보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매입당시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기초 소재 전문 부품 협력사에 대한 지분 참여는 전략적 협력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1이하의 PBR과 현대차그룹과의 협력관계가 부각되며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현대차·기아가 주가 저평가 매력까지 부각되며 질주하는 가운데 자동차 부품주로까지 열기가 옮겨가고 있다. 완성차 주가가 상승세를 이어가자 투자자들 관심이 부품주로까지 확산했다는 분석이다.

한국거래소와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현대차와 기아 주가는 연일 사상 최고가를 갈아치웠다. 지난 2월 2일 현대차와 기아 주가는 장중 나란히 신고가를 찍었다. 현대차와 기아는 2021년 이후 약 3년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정부가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해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도입할 것으로 알려지자 자동차주가 대표 저평가 업종으로 부각된 덕분이다. 현대차와 기아는 주가순자산비율(PBR) 1배 미만의 대표적인 저PBR주다.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현대차와 기아 올해 실적 추정치 기준 PBR은 각각 0.54배, 0.78배 수준이다.

완성차업체 주가 상승세는 자동차 부품주로 옮겨붙었다. 2월 들어 최근 5거래일 동안 현대차 계열 현대위아, 현대모비스, 현대글로비스 주가가 5~7%가량 뛰었다. 또 다른 자동차 부품주인 에스엘과 HL만도도 각각 3~6% 올랐다.

이외 같은 기간 화승알앤에이 주가는 20% 이상 뜀박질했다. 화승알앤에이는 외부 소음과 빗물·먼지 등을 막아주는 자동차용 고무 제품을 생산한다. 현대차·기아뿐 아니라 GM·폭스바겐 등 해외 자동차 기업에도 해당 제품을 공급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모베이스 역시 급등세를 보였다. 모베이스는 스마트키·집중형조작계 등 자동차 전장 부품을 생산하는 모베이스전자 지분 45.8%를 소유하고 있다.

자동차 부품주 또한 밸류업 정책 수혜를 받을 전망이다. 현대모비스의 올해 실적 추정치 기준 PBR은 0.46배에 그친다. 현대위아(0.45배), HL만도(0.68배), 에스엘(0.69배) 등도 PBR 1배 미만이다. 화승알앤에이는 PBR이 0.84배에 불과하다. 자회사 모베이스전자가 상장돼 있는 모베이스 역시 지주사 할인으로 PBR이 0.3배에 머무른다.

자동차 업종 실적 전망도 밝다. 산업통상자원부의 ‘1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1월 자동차 수출 규모는 62억1000만달러에 달했다. 전체적인 수출 부진 속에서도 자동차 수출은 19개월 연속 증가세다. 장문수 메리츠증권 애널리스트는 “대표적인 자동차 전동화 공급망 업체인 현대모비스, 현대위아의 주가 상승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자동차 부품업체 화승알앤에이는 인도 계열사 ‘HSI AUTO’(이하 화승 인도법인)가 인도의 자동차 제조회사 마힌드라&마힌드라(이하 마힌드라)와 글래스런, 웨더스트립 등 연간 114억 원에 달하는 차체 고무 실링 부품을 수주했다고 지난 12월28일 밝혔다.

화승의 차체 고무 실링 제품은 인도 마힌드라의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전기차에 공급된다. 

세계 3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한 인도 시장에서 마힌드라와 맺은 첫 공급 계약으로, 향후 인도 전기차 시장 개척에도 청신호가 켜졌다는 평가다. 앞서 마힌드라는 2027년까지 SUV 중 20~30%를 전기차로 출시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화승 인도법인의 글래스런과 웨더스트립은 각각 유리창, 차문·차체에 장착되는 자동차 필수 부품 중 하나다. 비, 물, 먼지 등의 실내 유입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문을 여닫을 때 충격을 최소화한다. 또한 차량을 경량화하고 고속 주행 시 풍절음을 막아준다.

특히 화승알앤에이의 기술을 바탕으로 화승 인도법인을 통해 마힌드라에 인도 최초로 공급되는 ‘IPD(Invisible Panel Door) 글래스런’ 부품은 독보적인 기술력과 품질을 인정받았다. 도어 프레임과 판넬, 글래스런 등이 일체화된 형태로 풍절음 저감과 외관 미려 효과가 있다.

김형진 화승알앤에이 대표는 “이번 수주 계약으로 세계 1위 인구 대국이자 글로벌 경제 강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인도 시장에서 토종 브랜드에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매우 의의가 깊다”며 “자체 기술력을 집약한 맞춤형 제품 개발 및 공급망 확보를 통해 안정적인 매출 증가는 물론 인도 시장 내 점유율을 점차 높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28.77억으로 전년대비 4.35% 증가. 영업이익은 111.71억으로 61.85% 증가. 당기순이익은 83.52억으로 32.33% 감소. 


기존 화승알앤에이에서 자동차부품 제조사업부문이 인적 분할되어 재상장(신설법인)된 업체. 화승그룹 계열의 자동차용 고무제품 전문 제조업체로 Sealing Products(누수방지용 고무)와 Fluid Products(연료, 각종 Oil, 물 등을 수송하는 Hose류) 등을 주요 제품으로 생산. 친환경차(전기·수소 연료기반의 구동체계)에 부착되는 배터리 가스켓 및 쿨링 파이프, 쿨링 튜브 등 신제품을 양산하거나 고객사와 협업하여 공동 개발중. 최대주주는 현지호 외(55.97%).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6579.28억으로 전년대비 30.09% 증가. 영업이익은 155.04억으로 94.70% 증가. 당기순이익은 126.85억으로 52.65% 증가. 


2022년 6월24일 3065원에서 최저점을 찍은 후 8월26일 553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9월28일 3285원에서 저점을 찍은 이후 11월17일 523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작년 10월23일 3345원에서 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 이후 올 2월5일 508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6월10일 3665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20일 5530원에서 밀리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468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487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536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59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