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주식종합토론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제이아이테크(417500)저점을 줄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작성자 정보

대감

게시글 정보

조회 217 2024/06/21 06:09

게시글 내용



새만금개발청(청장 김경안)은 새만금 국가산업단지 내 입주한 ㈜제이아이테크의 새만금 공장 사용승인을 허가했다고 5월26일 밝혔다.

이날 새만금개발청에 따르면 ㈜제이아이테크(대표 함석헌)는 반도체 및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재와 산업용 가스를 생산해 국내외 주요 반도체 회사 등에 납품하는 회사로써, 새만금 국가산단에 298억 원을 투자해 45명을 고용할 계획이다.

해당 회사는 군산 국가산단 내 1·2공장을 보유하고 현재 운영 중이며, 신규로 새만금 국가산단에 세 번째 공장을 건립했다.

정인권 새만금개발청 기획조정관은 “최근 새만금에 투자가 많이 들어오면서 공장건축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공장 가동으로 인해 안정적인 일자리와 지역경제도 활성화되고 있다”며 “공장건축 인허가 행정서비스 등을 적극적으로 제공하여 공장건축이 신속히 이뤄져 가동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133.62억으로 전년동기대비 13.88% 감소. 영업이익은 20.51억으로 22.75% 감소. 당기순이익은 16.67억으로 24.64% 감소. 



㈜제이아이테크(대표 함석헌)의 자회사 ㈜대흥씨씨유가 발전소 배기가스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CO2)를 포집해 산업·의료·식음료 등에 필요한 액화탄산가스(L-CO2)를 생산함으로써 매출 확대 및 탄소저감에 기여할 전망이다.

새만금개발청(청장 김경안)은 3월19일 친환경 기술을 바탕으로 액화탄산을 생산하는 ㈜대흥씨씨유(대표 김성주)가 새만금 국가산업단지에 신규공장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대흥씨씨유는 새만금 산단(2공구) 15,000㎡에 120억원을 투자해 액화탄산과 드라이아이스를 생산하는 신규공장을 구축하고 지난해 12월부터 상업운전을 시작한 바 있다.

이곳에서는 새만금에 위치한 ‘OCI SE’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CO2를 포집·액화시켜 하루 100톤, 연간 3만5,000톤의 액화탄산을 생산할 예정이다.

대흥씨씨유 관계자는 “국내에서 개발된 기술로 제작된 탄산 공장에서 산업용은 물론 의료용, 식음료용 탄산을 안정적으로 생산‧공급해 연간 100억원 이상의 매출과 동시에 연간 약 3만 톤의 온실가스 감축실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경안 새만금개발청장은 “대흥씨씨유가 액화탄산가스 분야 핵심기업으로서 세계적인 기업으로 도약하고, 나아가 배기가스 활용을 통한 국가 탄소중립 정책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키움증권은 3월6일 제이아이테크에 대해 반도체 프리커서, 포토마스크 케이스(PMC), OLED 승화 정제, 특수가스 유통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고 전했다.

오현진 키움증권 연구원은 “제이아이테크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35.8% 줄어든 439억원, 영업이익은 63.1% 감소한 42억원으로 전년대비 큰 폭으로 하락했다”며 “반도체 업황 악화에 따라, 프리커서와 특수가스 사업부 매출이 감소한 것에 기인한다”고 밝혔다.

오현진 연구원은 “다만, 지난해 4분기에는 매출액 125억원, 영업이익 16억원으로 양호한 실적을 기록했는데, 주요 사업 부문인 프리커서의 실적이 1분기와 유사한 수준(매출액 94억원)으로 회복된 것으로 파악된다”며 “지난해 4분기 실적에서 보여준 프리커서 수주 회복 및 가동률 상승 추세는 중국 고객사 수요 및 국내 반도체 업황 회복에 따라 2024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오 연구원은 “제이아이테크 프리커서 사업부의 주요 고객사인 U사는 국내 메모리반도체 기업 및 중국 등 해외 반도체 기업들에게 프리커서 등을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며 “따라서, 국내 메모리반도체 가동률 회복이나 중국 반도체 기업들의 생산량 증가가 프리커서 사업부 실적을 견인할 전망”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최근 국내외 관련 기업들의 차별화된 실적에서 보여주듯이, 중국 기업들의 반도체 소재, 장비에 대한 수요는 견조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고객사 U사도 최근 중화권 신규 고객사향 매출 비중이 증가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고 언급했다.

이어 “U사의 2022년 해외 매출액, 기타 합산 고객사 매출액 성장률이 각각 94%, 188%를 기록해 전사 연간 성장률을 앞섰다”고 덧붙였다.

그는 “제이아이테크의 2024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60.1% 증가한 703억원, 영업이익은 191% 늘어난 122억원을 전망한다”며 “전방 산업 회복, 주력 사업 생산시설 증설, 사업 영역 다각화가 향후 실적을 견인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그는 “반도체 산업의 업황 회복과 성장에 따라, 제이아이테크의 프리커서 사업 환경은 2023년 대비 우호적일 것으로 기대한다”며 “더불어, 현재 2공장에 프리커서 생산시설을 증설 중이며, 지난해 3분기부터는 생산능력 확대에 따른 추가적인 매출 성장이 가능해질 전망”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증설 후 생산능력은 기존 대비 약 2배 확대가 예상된다”며 “또한 기존 사업(PMC, OLED 승화 정제 등)에 더해, CCUS, OLED 소재 및 재활용 등 신사업도 진행됨에 따라 2024년부터 본격적으로 제이아이테크 실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망했다.



세계적인 탄소중립 요구에 따라 ㈜제이아이테크(대표 함석헌)가 신사업으로 적극 추진 중인 CCUS(탄소포집·활용·저장) 사업이 액화탄산가스(L-CO2) 생산을 시작으로 본격화 될 전망이다.

제이아이테크는 자회사인 ㈜대흥씨씨유(대표 김성주)의 액화탄산가스 생산플랜트가 지난 11월21일 성공적인 시운전을 마치고 12월부터 상업운전을 시작한다고 12월6일 밝혔다.

제이아이테크는 전 세계적인 탈탄소화 추세에 맞춰, 친환경가스 생산기업인 ㈜대흥씨씨유의 지분 65%를 인수하여 탄소감축시장 진출을 추진한 바 있다.

대흥씨씨유는 조선, 유통(드라이아이스) 등에서 액화탄산가스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지난 2022년 전북 군산시 새만금 산단(2공구)에 액화탄산 플랜트를 착공했다. 이 플랜트는 발전소 및 일반 공장의 배기가스에서 나오는 CO2를 포집해 액화시키는 친환경 방식으로 국내에서 개발된 기술로 제작됐다. 특히 새만금에 위치한 ‘OCI SE’와 10년간 배출가스 무상 공급 계약을 체결해 공급 안정성과 생산 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했다.

플랜트의 생산캐파는 연산 4만2천톤(일 120톤)으로 반도체용 고순도 액화탄산가스 및 산업·의료·식음료 등에 필요한 액화탄산가스가 생산됨과 동시에 약 3만톤의 온실가스 감축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CO2 전환 플랜트를 통한 새로운 화학제품 생산 또한 예정돼 있다. 이에 제이아이테크는 생산되는 액화탄산가스로만 연간 100억원 이상의 매출을, 액화탄산가스를 비롯한 추가 화학제품을 생산할 경우 연간 약 500억원 이상의 매출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시운전 후 제이아이테크 함석헌 대표는 “제이아이테크가 대흥씨씨유를 인수한 배경은 대흥씨씨유가 포집한 CO2를 반도체 시장에서 활용한 방안을 제이아이테크가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라며, “이를 위해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진행해 왔고, 현재 기술개발을 완료해 시장진출 준비를 진행하고 있다”고 CO2 응용사업에 대한 자신감을 표명했다.

김성주 대흥씨씨유 대표는 “온실가스 저감과 더불어 안정적인 액화탄산가스 공급에 안정적인 판매망까지 1석3조 효과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국가의 탄소중립 정책에 적극 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438.61억으로 전년대비 35.8% 감소. 영업이익은 42.06억으로 63.1% 감소. 당기순이익은 37.62억으로 65.6% 감소. 


반도체 공정재료 공급업체. 반도체 증착 공정에 필요한 전구체(Precursor) 사업을 주력으로 영위중. 이 외 디스플레이용 포토마스크 케이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소재 개발, 반도체 공정용 특수가스 수입 등의 사업을 진행. 매출 대부분은 전구체(Precursor) 사업 및 특수가스 사업에서 발생. 최대주주는 함석헌 외(55.8%).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682.82억으로 전년대비 233.12% 증가. 영업이익은 113.94억으로 102.45% 증가. 당기순이익은 109.24억으로 130.51% 증가. 


작년 1월4일 2426원에서 최저점을 찍은 후 5월23일 9100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밀렸으나 10월27일 2905원에서 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 이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올 3월8일 624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6월18일 3855원에서 저점을 찍고 저점을 높히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볼 수 있겠습니다.


손절점은 3745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39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43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473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