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주식종합토론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태성(323280)시세분출 출발점!!@@~~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

작성자 정보

대감

게시글 정보

조회 388 2024/06/19 15:11

게시글 내용



인쇄회로기판(PCB) 자동화 설비 기업 태성의 주가가 '복합동박 설비'를 비롯한 신사업 기대감에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6월11일 코스닥시장에서 태성 주가는 오전 10시 현재 전 거래일보다 10.51% 오른 1만 1460원을 기록하고 있다. 장중 1만2000원까지 넘어 역대 최고가를 갈아치우기도 했다. 

2022년부터 복합동박 설비 연구개발을 추진한 태성은 설비 개발과 테스트를 완료하는 등 상용화 준비를 마치고 현재 첫 고객사 선정을 위해 검토하고 있다. 

태성의 복합동박 설비는 중국과 일본 유력 배터리 기업으로부터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태성은 이달에도 글로벌 잠재적 고객사 후보군과 논의를 이어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태성은 발주 규모와 신뢰도, 기술유출 우려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첫 고객사를 선정할 예정이다.  동박은 구리를 얇게 펴 만든 막으로 음극재를 감싸 전류를 흐르게 하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 핵심소재이지만 구리가 많이 들어가는 만큼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가격 부담이 컸다.

복합동박은 PP, PI 등 필름 표면에 동을 도금한 것으로 기존 동박에 비해 동이 약 3분의 1만 들어가 획기적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태성의 복합동박 설비는 중국 제품에 비해 1M 이상 넓은 폭에서도 일정한 장력이 유지돼 균일하게 동 도금이 가능한 게 특징이다. 

태성은 관련 특허도 출원했다. 태성은 2000년 설립된 태성엔지니어링을 모태로 사업 확장을 위해 2006년 법인을 설립했다.기판 설비 연구개발을 지속한 결과 PCB 정면기, 습식장비 등을 개발하며 PCB 설비의 국산화를 주도했다. 중국의 펑딩(폭스콘 자회사)와 삼성전기, LG이노텍 등 국내외 주요 기업을 고객사로 두고 있다.



태성이 최근 복합동박 제조설비를 공개하면서 시장의 주목을 끌고 있다. 올해 실적도 개선돼 영업이익이 흑자로 돌아설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과 국내에서 복합동비 제조설비 개발 시도는 많았지만 유의미한 수율로 복합동박 완제품을 만들어내는 설비는 태성이 첫 사례로 꼽힌다.

6월5일 금융감독원 보고서에 따르면 태성은 지난 3일부터 한달간 2.13% 지분율의 자기주식을 블록딜로 매각한다.  예상매각금액은 약 37억원 수준으로 자금용도는 복합동박과 유리기판 등 신사업 설비투자용이다.주목할 것은 자본시장에서 코스닥 상장사인 태성이 3%대 할인율에 자사주를 매각한다는 점이다. 태성과 같은 시가총액 규모 기업에게는 블록딜 할인율이 보통 5~10% 선에서 형성되기 때문이다. 3% 할인율은 코스피 상장 대기업에 적용되는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태성 관계자는 "시장 평가에 따라서 매각 조건도 잘 나온 것으로 보인다"며 "매각자금은 신사업인 유리기판 개발 및 운영자금으로 대부분 투입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평가와 맞닿아 태성은 지난해의 매출감소와 영업적자라는 부진한 실적에서 탈출해 올해는 정상궤도에 복귀할 것으로 관측된다.

우선 중국 시장에서 복합동박 시장이 열리기 시작하면서 태성은 기존의 개발과 제품평가를 통해 이르면 올해 2분기부터 매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시장 상황은 마찬가지다. 

태성의 생산능력은 연매출 기준으로 2000억원 이상이다.태성 관계자는 "복합동박 동도금 설비는 연간 2000억원까지 매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영업이익률도 높기 때문에 실적에 보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PCB 쪽도 매출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올해 실적개선은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전방산업의 업황 개선에 따라스 온디바이스 AI, 데이터센터, 전장부품 등에서 PCB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프리마크는 2019년부터 2024년까지 PCB산업은 연평균 5.1% 확대하는 것으로 전망했다. 

중장기적으로 태성의 성장 모멘텀을 지지하는 분야는 유리기판이다. 현재 깨짐 현상 우려에 따른 에칭, 박리 등을 개발 진행중이며 국내와 일본 업체들을 중심으로 주목받고 있다.

태성 관계자는 "유리기판 장비의 경우 가격이 기존 대비 높은 만큼 이익도 더 많이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며 "중·장기적으로는설비 판매뿐만 아니라 복합동박을 직접 판매하는 방향도 구상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맥락에서 IV리서치는 태성의 올해 매출규모가 612억원 수준으로 회복할 것으로 봤고 현대차증권은 620억원 규모로 예상했다. 태성의 매출원가율은 올해 1분기 74%, 지난해 84%, 2022년 82% 등의 추세였다. 1분기 판관비의 연간환산 규모(100억원), 지난해 판관비 등을 감안하면 태성의 손익분기점 매출규모는 600억원 내외로 분석된다.

올해 태성은 매출회복과 동시에 영업흑자 전환이 가능하다는 기대감이 높아지는 이유다. 현대차증권은 "최근 신규 디바이스 출시에 따른 PCB설비 수요증가에 따라 식각방비 및 다축 전면기 등을 중심으로 수요가 확대돼 태성의 매출 및 수익성 증가가 이뤄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우리의 복합동박 동도금 설비를 통해 나온 제품을 사용하면 원가 절감은 물론 배터리 수명도 늘릴 수 있습니다. 사용하지 않을 이유가 없습니다."

5월27일 충청북도 청주의 도금 테스트 공장에서 태성이 개발한 복합동박 도금 장비 시연회에서 김종학 대표는 이같이 자신했다.

태성의 복합동박 도금 장비는 높이 1.8m, 폭 4.6m, 길이 27m의 거대한 크기를 자랑한다. 시연회 장소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장비가 돌아가고 있었다. 투명한 필름이 장비 안쪽으로 들어가자 황산구리액이 입혀지는 등 여러 도금처리가 진행됐다. 마지막 건조 처리가 끝나자 황금빛의 얇은 비닐막이 끊임없이 나오기 시작했다. 복합동박이었다.

이날 태성이 생산한 복합동박은 4.5마이크로미터(㎛) 두께의 필름에 위와 아래로 각각 1㎛의 구리를 입힌 것이다. 생산된 제품은 6.5㎛ 두께에 1.1m 폭이다. 태성의 복합동박 동도금 장비를 통해 나온 복합동박은 겉으로 보기에는 일반 동박과 다르지 않았다.

하지만 기존 동박 대비 장점이 더 많다는 것이 태성의 설명이다. 원재료를 적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여기에 일반 동박과 달리 쉽게 찢어지지 않는다. 특히 무게도 가벼워 전기차 배터리에 사용될 경우 주행거리 개선도 가능하다. 김규문 태성 신사업본부장은 "복합동박은 필름 위에 동을 도금하는 것이기 때문에 원자재를 50% 넘게 줄일 수 있다"며 "게다가 장력에도 잘 버틸 수 있는 만큼 불량률이 낮다"고 설명했다.

태성은 중국 배터리업체의 요청을 받아 2022년부터 복합동박 동도금 설비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원래 주력 사업은 인쇄회로기판(PCB) 설비 제조다. 이차전지 분야에 뛰어든 것은 해당 시장의 성장성과 시장성이 충분하다는 판단을 내렸기 때문이다. 여기에 과거 비슷한 제품을 만들어 본 경험도 보탬이 됐다. 현재 제품 샘플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상태다.

샘플 테스트가 진행되고 있는 만큼 올해 본격적으로 매출이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김종학 대표는 "현재 중국 쪽과 납품 관련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일본 기업과도 미팅하기 시작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특히 다른 업체들과의경쟁에서도 앞설 수 있다는 자신감을 보였다. 김 대표는 "다른 회사가 생산하는 제품의 경우 구멍이 뚫리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등 불량률이 높다"고 말했다.

태성은 올해 실적 개선에도 자신감을 보였다. 올해 PCB 관련 매출이 2022년 수준이 될 것으로 기대되는 상황에서 추가로 복합동박 동도금 설비도 실적에 반영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올해 4월 기준 태성의 수주잔고는 223억원 규모다. 지난해 1분기 대비 60억원이 더 늘어난 상태다.

이남영 부사장은 "복합동박 동도금 설비는 연간 2000억원까지 매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영업이익률도 높기 때문에 실적에 보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PCB 쪽도 매출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올해 실적개선은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태성은 앞으로도 성장을 지속하겠다는 계획이다. 실적으로 반영되기까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지만 글래스 기판 장비를 개발하고 있다. 김 대표는 "글래스 기판 장비의 경우 가격이 기존 대비 높은 만큼 이익도 더 많이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며 "중·장기적으로는 설비 판매뿐만 아니라 복합동박을 직접 판매하는 방향도 구상 중"이라고 설명했다.



인쇄회로기판(PCB) 자동화 설비 전문기업 태성(323280)은 2024년 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180억원, 영업이익 24억원을 기록했다고 5월7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52%, 영업이익은 1324% 상승했다. 회사 측은 영업이익의 경우 2022년 연간 영업이익을 상회하는 실적이라고 강조했다. 

1분기 실적 성장은 2023년 전방산업의 위축으로 인해 투자가 상당히 축소됐지만 4분기 이후 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 관련 모바일 반도체 수요 확대 등 반도체 업황 개선으로 인한 꾸준한 수주 증가를 성장의 주요 요인으로 회사 측은 판단했다. 아울러 수주액은 통상 3~4개월 내 매출로 이어져 현재 수주 잔고 및 영업상황으로 볼 때 전년도에 이어 올해 실적도 큰 폭으로 성장할 것으로 회사는 전망했다. 

태성은 반도체·디스플레이·모바일 등 전자 부품에 필수적인 PCB 제조 장비 전문 기업이다. PCB 자동화 공정에 독보적인 기술력을 기반으로 중국·베트남 등 글로벌 수출을 확대하고 있다. 태성의 주요 고객사는 삼성전기(009150), LG이노텍(011070), 대덕전자(353200), 비에이치(090460), 심텍(222800), 티엘비(356860) 등이다. 글로벌 PCB업계 1위인 펑딩(구 ZDT), 썬난써키트(SCC) 등 세계적인 PCB 제조사에 지속적으로 설비를 납품하고 있다. 

회사는 미래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2차전지 복합 동박(음극재) 동도금 설비 사업을 신사업으로 추진, 관련 특허를 출원 신청했다. 데모 설비 제작도 끝내 현재 제품 샘플 테스트를 진행중이다. 회사는 가까운 시일 내에 테스트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했다. 카메라 모듈 부품사업도 고객사와 직접 영업 활동을 진행하고 있어 하반기 매출 실현을 통한 추가 성장이 가능하다는 판단이다.  

태성 관계자는 “차별화된 기술력과 꾸준한 영업활동을 기반으로 고성능 PCB 제조설비 시장을 선도해 오고 있다”며 “2차전지 및 카메라 모듈 사업 순항과 함께 차세대 반도체 기판인 글래스(유리) 기판 사업 진행을 위해 장비 개발 착수에 들어갔다”고 말했다. 이어 “주력 사업과 함께 신사업을 통한 기업 성장 극대화에 힘쓸 것”이라고 덧붙였다.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177.44억으로 전녀동기대비 50.08% 증가. 영업이익은 20.83억으로 793.99% 증가. 당기순이익은 23.36억으로 731.32% 증가. 



애플이 역대 최대 규모인 1100억달러 자사주를 매입하기로 하고 아이폰과 아이패드 신제품에 인공지능(AI) 탑재를 예고했다는 소식에 애플의 AI 서버를 담당하는 폭스콘의 자회사 펑딩에 PCB 공정 장비를 납품한 것으로 알려진 태성의 주가가 강세다.

5월3일 오후 1시33분 기준 태성 주가는 전일 대비 330원(8.78%) 오른 4090원에 거래되고 있다.애플은 2일(현지시각) 1분기 실적 발표에서 애플 역사상 최대 규모인 1100억달러(150조8100억원)의 자사주 매입을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이어 쿡 CEO(최고경영자)는 다음 주 새로운 아이패드 출시와 내달 열리는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AI와 관련해 "큰 발표 계획"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AI에 상당한 투자를 하고 있다"며 "우리는 좋은 위치에 있다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애플은 2022년 챗GPT를 중심으로 생성형 AI 열풍이 시작된 이후 아직까지 관련 제품을 선보이지 않아 AI 분야에서 뒤쳐졌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조만간 공개할 AI 적용 기술이 향후 아이폰 판매 실적을 좌우할 것으로 전망된다.

태성은 글로벌 탑 티어 PCB 공정 장비 제조사로 습식 설비 중 식각, 표면처리 관련 설비, 자동화 설비가 주력 제품이다. 태성의 주요 고객사는 삼성전기, LG이노텍, 대덕전자, 비에이치, 심텍, 티엘비 등이며 글로벌 PCB업계 1위인 펑딩(구.ZDT), 썬난써키트(SCC) 등 글로벌 PCB제조사에 설비를 납품하고 있다. 펑딩은 폭스콘의 PCB담당 자회사이며 태성이 폭스콘의 PCB·서버 장비 관련 투자·생산 관련 기업으로 분류되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태성이 장중 강세다.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PC용 반도체 기판의 공급 확대에 나선 가운데 협력 관계가 부각, 기대감이 몰리고 있다.

4월9일 오전 11시 현재 태성은 전 거래일 대비 5.55% 오른 3995원에 거래되고 있다.이날 한 매체에 따르면 삼성전기는 올해부터 본격 확대가 예상되는 AI PC 시장 선점에 나선다. AI PC용 반도체 기판 양산에 돌입하고 초기 목표 수율을 확보해 고객사 성능 평가를 통과했다는 소식이다. 이어 반도체 기판을 단독 납품 중이다.납품 고객사는 초당 최대 45조번을 연산할 수 있는 ARM 기반의 고성능 AI 반도체 출시를 앞두고 있는 곳으로 알려졌다. 이 회사 반도체에 삼성전기 기판이 결합돼 노트북, 태블릿 등에서 AI 기능을 구현한다. 최근 '온디바이스 AI'의 핵심 부품을 삼성전기가 공급하는 것으로 관심을 모은다.태성은 지난해 AI 관련 고성능 반도체 기판 수요 증가에 대응해 안산공장 생산시설을 증축한 바 있다. 이 회사의 주요 고객사는 삼성전기, LG이노텍, 대덕전자, 비에이치, 심텍, 티엘비 등이다. 글로벌 PCB업계 1위인 펑딩, 썬난써키트 등 세계적인 PCB 제조사에도 설비를 납품했다.



PCB 공정 자동화 설비 전문 기업 태성이 강세다.지난 4일 대만 현지 언론이 폭스콘과 애플의 AI 서버 시험 출하 소식을 전했으며 태성이 폭스콘의 PCB 자회사 펑딩에 PCB 공정 장비 납품을 한 사실이 뒤늦게 부각하는 모습이다.

3월7일 오전 9시 6분 현재 태성의 주가는 전일 대비 5.01% 오른 4510원에 거래 중이다.대만 연합신문망(udn)에 따르면 폭스콘이 애플의 AI 서버 출하를 테스트 중이다. 폭스콘은 공식적으로 애플의 AI 서버에 대한 신규 주문을 받았는지 여부에 대해 개별 고객이나 제품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지만 연합신문망은 애플이 이전에 많은 AI 기능 테스트를 수행했으며 이는 매우 기밀이며 양사가 많은 프로젝트와 테스트를 진행해 왔다고 보도했다. 미중 관계·지정학적 민감도를 고려할 때, 애플이 출하하는 폭스콘의 서버 제품은 중국 본토에서 생산되지 않고, 베트남이나 멕시코 등 해외 생산기지에서 생산될 가능성이 있다.

태성의 주요 고객사는 글로벌 탑 티어 PCB 공정 장비 제조사다. 특히 습식 설비 중 식각, 표면처리 관련 설비, 자동화 설비가 주력 제품이다. 태성의 주요 고객사는 삼성전기, LG이노텍, 대덕전자, 비에이치, 심텍, 티엘비 등이며 글로벌 PCB업계 1위인 펑딩(구.ZDT), 썬난써키트(SCC) 등 세계적인 PCB제조사에 지속적으로 설비를 납품하고 있다. 펑딩이 폭스콘의 PCB담당 자회사이며, 태성이 폭스콘의 PCB·서버 장비 관련 투자·생산 관련 기업으로 분류돼 왔다. 특히 태성은 지난해 초 AI 관련 고성능 반도체 기판 수요 증가에 대응해 안산 공장 생산시설을 증축한 바 있다. 증축한 공장을 통해 늘어나는 수주에 적극 대응할 예정이다.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333.39억으로 전년대비 45.57% 감소. 영업이익은 6.86억 적자로 23.14억에서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14.17억 적자로 4.57억 적자에서 적자폭 확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신영스팩5호가 PCB 제조 장비 업체 태성을 흡수합병함에 따라 변경 상장. PCB 정면기, 표면처리설비, 식각설비, 수직비접촉설비, 자동화설비 등 자동화기계의 개발, 제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 주요 매출처는 국내 삼성전기, LG이노텍, 대덕전자 및 글로벌 PCB업계 1위인 폭스콘의 자회사 펑딩(구. ZDT) 등 세계적인 PCB 제조사임.
최대주주는 김종학 외(43.35%), 주요주주는 YOUNGROUP ELECTRONIC&TECHNOLOGY COMPANY LIMITED(5.49%).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612.48억으로 전년대비 39.39% 증가. 영업이익은 23.14억으로 49.97% 감소. 당기순이익은 4.57억 적자로 92.51억에서 적자전환. 


2022년 10월13일 1225원에서 최저점을 찍은 후 크고 작은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볼 수 있겠습니다.


손절점은 1220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127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140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154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