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주식종합토론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컴퍼니케이(307930)저점을 줄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작성자 정보

대감

게시글 정보

조회 379 2024/06/10 17:27

게시글 내용



컴퍼니케이가 업스테이지에 100억원 가량을 투자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업스테이지가 인텔의 구세주로 떠오르고 있어 수혜가 전망된다. 6월10일 업계에 따르면 전 세계 PC 시장이 '온디바이스 AI' 열풍에 휩싸인 가운데 지난달 마이크로소프트는 퀄컴과 손 잡고 온디바이스 AI를 지원하는 '코파일럿+' 노트북 22종을 선보인 가운데 인텔은 AI 경쟁에서 보다 힘을 키우기 위해 국내 인공지능(AI) 기술 기업 업스테이지에 구원을 요청한 상태다. 

업스테이지가 신생 AI 기업이지만 이미 인텔 같은 IT 공룡 기업이 협업을 제안할 만큼 업스테이지의 기술력은 독보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20년 창업한 업스테이지는 업력이 짧은 스타트업이지만 창립 1년이 채 되기 이전에 금융·교육·IT·제조 등 다양한 분야의 100개 이상 기업에서 AI 기술 도입에 대한 자문 요청을 받았다.

업스테이지는 AI 개발자가 없어도, 코딩을 직접 하지 않아도 기업 고객이 손쉽게 AI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노코드 AI 솔루션'인 '업스테이지 AI 팩', 이미지나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글자를 추출하고 인식하는 기술의 구축 시스템이 담긴 '도큐먼트 AI' 제품이 잇따라 성공을 거뒀다. 

특히 작년 12월에는 자체 사전학습 거대언어모델(LLM) '솔라'를 출시하면서 신생 스타트업으로써는 해외에 기술력을 널리 알리고 있는 상황이다. 지금까지 업스테이지가 유치한 누적 투자금액만 1400억원이 넘으며 현재 업스테이지는 패션 테크 기업 '브랜디', 'LG유플러스', 'KB국민은행', '커넥트웨이브', '아모레퍼시픽'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과 협업하며 자사 AI 상품을 공급하고 있다.

AI 경쟁이 심화되자 글로벌 반도체 기업 인텔도 업스테이지와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업스테이지와 인텔은 AI 기능에 특화된 인텔 코어 Ultra 프로세서에 솔라를 최적화해, 세계 최고 수준의 LLM과 결합한 AI PC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앞으로 인텔의 해당 프로세서를 장착한 윈도우 PC 제품군에서 솔라를 온디바이스 AI로 활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솔라는 업스테이지가 개발한 자체 사전학습 LLM이다. 솔라 미니는 매개변수(파라미터)를 경량화한 모델로, 작지만 강력한 성능으로 다양한 산업, 기업별 맞춤형 파인튜닝(미세조정) 뿐만 아니라 온디바이스 AI 등 구축형에 특화됐다. 한국어와 영어, 일본어 등 다양한 언어를 지원한다.

컴퍼니케이는 업스테이지의 시리즈A 투자 라운드를 주도했으며 100억원 가량을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소프트뱅크벤처스, 티비티(TBT), 프리미어, 스톤브릿지벤처스 등이 함께 총 316억원을 투자했다.



컴퍼니케이의 주가가 주식시장에서 강세를 시현하고 있다. 알리바바를 비롯해 텐센트, 바이두 등 중국 글로벌 IT 대기업들이 미국 메타가 만든 '라마3'를 전면 적용한다는 소식이 전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컴퍼니케이가 투자한 업스테이지는 메타 최고경영자인 저커버그를 만나 메타의 LLM '라마'에 대해 협업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5월23일 주식시장과 관련업계에 따르면 메타는 이달 19일 대규모 언어모델(LLM)인 라마3을 공개했다. 라마3는 사전훈련과 미세조정을 마친 80억개(8B)와 700억개(70B) 매개변수 모델 두 가지로 공개됐다. 두 모델은 현재 동급의 오픈소스 모델 중 최고 수준의 성능인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에 중국의 클라우드 업체들이 라마3를 적극 지원하고 나섰다. AI 대형모델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구현되면 비용이 절감되고, 효율이 높으며, 유연성이 높아진다. 때문에 대형모델은 클라우드 업체와 협업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알리바바는 알리클라우드의 바이롄(百煉) 대규모 언어모델 플랫폼은 라마3에 맞춘 무료 훈련, 배포, 추론서비스를 출시했다. 텐센트 클라우드 역시 자체 운영중인 'TI 플랫폼'이 라마3 전 시리즈를 지원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바이두 클라우드의 대형모델인 첸판(千帆)은 이달 19일 라마3 전체 시리즈 버전을 위한 훈련 추론 솔루션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처럼 중국에서는 라마3에 대한 기대감이 큰 상황이다. 

중국 최대 인터넷 보안업체 '360'의 저우훙이(周鴻?) 회장은 "라마3의 성능이 강력하며, 챗GPT를 뛰어넘은 것으로 판단된다"며 "게다가 라마3는 오픈소스로 공개되어 더욱 파괴력이 강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러한 소식이 전해지면서 메타 오픈소스 LLM인 라마를 활용해 글로벌 생성 AI 공유 플랫폼인 '허깅페이스'에서 매개변수 72B(720억개) 모델 파인튜닝(미세조정) 성능 1위를 기록한 업스테이지가 부각 중이고 여기에 초기투자한 컴퍼니케이가 주목을 받는 모습이다.

컴퍼니케이는 업스테이지의 시리즈A 투자 라운드를 주도했으며 100억원 가량을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소프트뱅크벤처스, 티비티(TBT), 프리미어, 스톤브릿지벤처스 등이 함께 총 316억원을 투자했다. 



컴퍼니케이가 강세다. 메타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자사의 SNS 플랫폼에 ‘메타AI’를 탑재한다는 소식에 메타가 주목하고 있는 한국 AI 기업 업스테이지에 대한 투자가 부각된 것으로 풀이된다.

4월19일 오전 9시29분 기준 컴퍼니케이는 전일 대비 3.93% 상승한 6870원에 거래되고 있다. 

전날 메타는 자사의 AI 챗봇인 ‘메타 AI’를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왓츠앱, 메신저 등에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출시한다고 밝혔다. 메타 AI는 오픈AI의 챗GPT와 구글의 제미나이, 일론 머스크의 AI 스타트업인 xAI의 그록과 같은 AI 챗봇으로 치열한 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메타 AI는 이날 함께 공개된 최신 AI 모델 ‘라마3’를 기반으로 했다. ‘라마3’는 이날 매개변수(파라미터)가 80억개인 소형 모델과 700억개인 거대 모델 두 개로 출시됐다. 생성형 AI가 정보를 학습하고 기억하는 신경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파라미터는 숫자가 많을수록 AI 성능도 더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한국 스타트업 업스테이지의 김성훈 대표는 지난 2월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와 면담을 가지며 메타의 거대언어모델(LLM) ‘라마’에 관한 국내 AI 기업들의 의견을 전달하는 등 메타에서 주목받고 있다.

메타는 지난 15일(현지시간) 공식 블로그에 '매스(Math)GPTL : 라마2'를 활용해 고도로 개인화된 학습 플랫폼'이라는 게시물을 게재했는데, 여기서 라마2를 활용해 업스테이지가 개인화 학습 플랫폼을 만든 사례를 소개한 바 있다.

이 덕분에 업스테이지는 지난 16일 약 1000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이번 투자에는 SK네트웍스, KT, 산업은행, 신한벤처투자, 기업은행 등 다수 기관들이 신규 투자자로 이름을 올렸다. 또 SBVA(옛 소프트뱅크벤처스), 컴퍼니케이파트너스, 프리미어파트너스 등 기존 투자자들도 후속 투자를 단행했다.

앞서 컴퍼니케이는 업스테이지의 시리즈A 투자 라운드를 주도했고 100억원 가량을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 1분기 개별기준 매출액은 32.23억으로 전년동기대비 15.89% 감소. 영업이익은 14.58억으로 17.11% 감소. 당기순이익은 13.09억으로 3.61% 감소. 



컴퍼니케이가 강세다.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가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를 만나 메타의 LLM '라마'에 관한 국내 AI 기업들의 의견을 전달했다는 소식이 주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컴퍼니케이는 2월29일 오전 9시36분 기준 전거래일 대비 1350원(18.60%) 오른 8610원에 거래됐다.

김성훈 대표는 자신의 소셜 서비스(SNS) 계정을 통해 전날 저커버그와 만나 메타의 LLM '라마'에 관한 국내 AI 기업들의 의견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업스테이지는 메타 오픈소스 LLM인 라마를 활용해 글로벌 생성 AI 공유 플랫폼인 '허깅페이스'에서 매개변수 72B(720억개) 모델 파인튜닝(미세조정) 성능 1위를 기록한 바 있다. 자체 기술로 개발한 LLM '솔라'를 토대로 국내외에서 생성 AI 사업을 전개 중이다.

김 대표는 메타에 라마가 영어 외에 현지(로컬) 언어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도 제안했다. 그는 "메타 레지던시(가칭) 같은 협업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나라별로 한 팀을 선발해 라마-3 출시에 앞서 현지 언어를 잘하도록 LLM을 같이 만들 필요성이 있다"고 메타 측에 말했다. 이때 한국 측 대표로 업스테이지를 뽑아 달라는 말도 덧붙였다.

메타가 단순히 라마-3 파운데이션(기초) 모델을 출시하는 것을 넘어 '라마-3 KR(가칭)', '라마-3 JP(가칭)' 등 각국 언어에 특화한 파운데이션 모델을 함께 출시하면 메타가 (오픈AI, 구글 등을 따라잡을 수 있는) 글로벌 임팩트를 만들 수 있다는 게 김 대표 측 주장이다.

업스테이지는 또 오피스 소프트웨어(SW) 전문업체 폴라리스오피스와 제품 자체에서 생성형 인공지능(AI)을 구동하는 '온디바이스 AI 오피스'를 공동 개발해 상용화한다. 온디바이스 AI는 경량화한 거대언어모델(LLM)을 스마트폰·컴퓨터 등 개인 단말에 직접 설치, 인터넷 연결 없이도 생성형 AI를 활용할 수 있는 AI로, 최근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상하고 있다. 정부기관이나 금융 분야 등 폐쇄망 환경에서도 동작하며, 오프라인 사용으로 민감 정보 유출을 원천 차단해 보안성도 높다.

업스테이지는 글로벌 문서 SW '폴라리스 오피스'에 업스테이지의 사전학습 거대언어모델(LLM) '솔라'를 탑재, 세계 최초로 온디바이스 AI 기반의 오피스 솔루션을 선보인다고 전했다.

솔라가 탑재된 온디바이스 AI 오피스는 애플 맥(Mac) 운영체제(OS) 버전을 시작으로 출시될 예정이며, 구매 문의 및사전 예약은 다음 달 1일 시작한다.

업스테이지 권순일 사업총괄 부사장은 "앞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LLM 기술력을 필두로 다양한 생성형 AI 서비스를 확장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존재감을 넓혀 나가겠다"고 밝혔다.

컴퍼니케이는 업스테이지의 시리즈A 투자 라운드를 주도했으며 100억원 가량을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소프트뱅크벤처스, 티비티(TBT), 프리미어, 스톤브릿지벤처스 등이 함께 총 316억원을 투자했다. 변준영 컴퍼니케이 부사장은 업스테이지 기타비상무이사를 겸직하고 있다.



컴퍼니케이의 주가가 주식시장에서 초강세를 기록하고 있다. LG전자와 인공지능(AI) 특화기업 업스테이지가 온디바이스 AI 기술개발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는 소식에 업스테이지의 시리즈A에서 100억원 가량을 투자한 컴퍼니케이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풀이된다.

2월6일 전자업계와 주식시장에 따르면, LG전자가 인공지능(AI) 특화기업 업스테이지와 손잡고 AI 노트북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온디바이스 AI 기술개발에 속도를 낸다. 두 회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온디바이스 AI 기반의 '경량화 언어 모델(SLM)'과 노트북에 적용하는 AI 기능 및 서비스 개발 협업 등을 단계적으로 진행한다. 온디바이스 AI란 별도의 인터넷 연결 없이도 노트북, 태블릿 등 기기에서 AI 기능을 직접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기기 내부에서 정보를 직접 처리하기 때문에 클라우드 기반 AI 대비 뛰어난 보안성, 빠른 작업 속도, 낮은 전력 소모 등이 강점이다. 

LG전자는 업스테이지의 '솔라(Solar)' 모델을 활용해 AI 기반의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양사는 온디바이스 AI 기반 경량화언어모델(SLM)과 노트북에 적용하는 AI 기능·서비스 개발 협업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키로 했다.특히 업스테이지가 자체 개발한 '솔라(Solar)'는 작년 12월 공개한 107억개 매개변수를 가진 SLM이다. 글로벌 오픈 LLM서 1위를 차지했다.이러한 소식이 주식시장에 전해지면서 업스테이지의 지분을 보유 중인 컴퍼니케이가 주목을 받는 모습이다. 컴퍼니케이는 업스테이지의 시리즈A 투자 라운드를 주도했으며100억원 가량을 투자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8.59억으로 전년대비 0.1% 증가. 영업이익은 49.56억 적자로 62.87억에서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57.16억 적자로 64.71억에서 적자전환. 사측은 운용투자조합의 피투자업체 공정가치 하락에 따른 지분법평가손실증가로 손익구조 변동 요인이 발생했다고 설명.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투자금융을 제공하는 벤처캐피탈 업체. 중소기업창업지원법에 따른 중소기업 창업자에 대한 투자, 창업투자조합의 결성 및 업무의 집행,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의한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등의 사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 최대주주 금보개발 외(71.36%). 


2022년 개별기준 매출액은 158.44억으로 전년대비 42.27% 감소. 영업이익은 62.87억으로 70.37% 감소. 당기순이익은 64.71억으로 65.74% 감소. 


2020년 3월23일 3535원에서 바닥을 찍은 후 2021년 4월7일 15050원에서 고점을 찍고 조정에 들어간 모습에서 2022년 10월13일 4305원에서 마무리한 이후 작년 7월19일 1275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10월23일 4400원에서 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 이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올 1월11일 1038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2월1일 6210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3월4일 1026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4월17일 6270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저점을 높혀오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6415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668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736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81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