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주식종합토론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에코프로머티(450080)기술적 분석을 통한 향후 잔망 및 대응 전략.

작성자 정보

대감

게시글 정보

조회 490 2024/06/10 07:59

게시글 내용



국내 2차전지주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이하 에코프로머티)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6월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에코프로머티는 이날 오전 11시 33분 전 거래일보다 14.14% 오른 10만9천원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 4일부터 이날까지 3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에코프로머티가 강세를 보이는 것은 EU 집행위원회가 다음달 4일 중국산 전기차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는 소식에 반사이익이 기대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불룸버그통신에 따르면 EU 집행위 관계자는 중국산 자동차에 잠정 상계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다.

상계관세율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하지만 그동안 매겨왔던 평균 상관관세율을 고려하면 19% 수준 이상을 책정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전기차배터리 사용량 증가 소식도 호재로 작용 중으로 보인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4월 세계 각국에 등록된 순수전기차·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하이브리드차(HEV)에 탑재된 배터리 총사용량은 216.2기가와트시(GWh)로 전년 동기 대비 21.8% 증가했다.

에코프로, 에코프로에이치엔, 에코프로비엠 등 에코프로 그룹주도 일제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 2차전지주가 일제히 상승했다. 테슬라가 1분기 부진한 실적에도 불구하고 내년 신형 ‘저가형 전기차’를 출시하겠다고 밝히면서다. 증권가에서는 신차 기대가 커지는 올 4분기부터 2차전지업체 실적도 반등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4월24일 포스코퓨처엠은 8% 상승한 29만7000원에 마감했다. 에코프로비엠도 5.1% 오른 24만5500원에 장을 마쳤다. 2차전지 대장주로 꼽히는 LG에너지솔루션(4.0%)을 비롯해 삼성SDI(3.6%) 엘앤에프(5.8%) 에코프로머티리얼즈(8.5%) 등 다른 2차전지주도 이날 대부분 강세였다.전날 테슬라가 시간외 거래에서 13.3% 급등한 것이 호재로 작용했다. 테슬라는 이날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9% 감소한 213억달러, 영업이익은 56% 급감한 11억7100만달러라고 밝혔다. 2020년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매출이 줄었다. 

실적 발표 후 콘퍼런스콜에서 저가형 전기차 모델2 생산 계획을 밝히자 주가는 장 마감 직후 급등했다. 출시 시기는 내년 초로 기존 예상인 내년 하반기보다 앞당겨졌다. 이날 제너럴모터스(GM)가 전기차 부문 수익성 개선 가능성을 언급한 것도 국내 2차전지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업계는 테슬라의 저가 모델이 성공한다면 국내 2차전지업체의 실적 회복 시기가 빨라질 것으로 예상한다. 세계적인 전기차 수요 부진으로 올 들어 2차전지 관련 기업의 실적과 주가는 하락하는 추세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의 올해 영업이익 예상치 평균은 3개월 전 3조7415억원에서 2조5671억원으로 31.3% 하향 조정됐다. 삼성SDI도 같은 기간 연간 영업이익 예상치가 2조2322억원에서 1조7071억원으로 23.5% 낮아졌다. 

이안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국내 2차전지 섹터의 반등은 GM과 테슬라의 수요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개인투자자는 2차전지 종목을 저가 매수하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개인은 최근 1개월(3월 24일~4월 24일) 사이 LG화학을 4585억원어치 순매수했다. 이기간 개인 순매수 1위다. 이 밖에 LG에너지솔루션을 2407억원, 삼성SDI를 2299억원, 엘앤에프를 1106억원 순매수했다.



올 1분기 개별기준 매출액은 791.8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66.30% 감소. 영업이익은 129.72억 적자로 83.89억에서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84.64억 적자로 54.31억에서 적자전환.



테슬라가 배터리 양극재 핵심 원료인 전구체를 생산하는 에코프로머티리얼즈와 공급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전해졌다.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대응을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현재 중국 기업을 제외하면 전 세계에서 전구체를 대량으로 구매할 수 있는 기업은 한국과 일본기업 등 소수에 불과하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이번 계약으로 외부 판매 비중 확대를 목표로 내세운 2027년 비전에 한 걸음 다가설 수 있게 됐다.  

3월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전날 미국 자동차 기업과 중장기 제품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다만 공급 수량 및 금액 등의 세부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사측은 "이번 건과 관련해 구체적으로 확정된 사항은 없으나 미 기업 요청 및 협의 등에 따라 공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업계에선 에코프로머티리얼즈가 테슬라와 전구체 공급계약을 맺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테슬라는 계약을 체결할 때 비밀유지계약(NDA)을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기와 LG이노텍도 테슬라와 카메라 모듈 공급계약을 체결했으나 테슬라의 NDA 요구에 고객사 이름을 밝히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현재 테슬라는 미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대응을 서둘러야 하는 입장이다. 지난해 연말까지만 해도 회사의 전기차 모델인 Y·3·X 등 8개 차종이 보조금 대상이었으나 3 롱 레인지·스탠다드, Y 롱레인지 등 3종이 혜택에서 제외됐다. 이는 중국산 배터리 사용과 관련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테슬라는 미국에서 생산하는 3·Y 차종 일부에 중국 CATL의 각형 배터리를 공급받는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미 정부는 IRA 세부 사항 중 하나인 FEOC(외국 우려 단체)로 규정한 곳에서 올해부터 배터리 부품을, 2025년부터 광물을 조달할 경우 전기차 보조금을 주지 않기로 했다. FEOC에는 중국 정부와 관련된 합작회사 지분율이 25% 이상인 경우도 포함됐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전구체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기업이다. 전구체에 리튬을 배합하면 양극재가 된다. 현재 전구체 생산능력은 연 5만톤에 달한다.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 NCM(니켈·코발트·망간)등 주로 하이니켈 전구체를 양산하며 오는 2027년까지 21만톤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춰 글로벌 5위 전구체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핵심 과제는 외부 판매 비중 확대다. 회사가 생산한 전구체는 주로 관계사인 에코프로비엠으로 넘어가 양극재로 제조되는데 지난해 3분기 기준 에코프로비엠에 판매되는 매출 비중은 86%에 달했다. 반면 에코프로비엠과 에코프로이엠, 에코프로씨엔지 등 관계사를 제외한 외부 판매 비중은 15% 수준에 불과하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2027년까지 외부 판매 비중을 50% 수준으로 늘리기로 계획한 상태다.  

한편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공급계약 소식과 함께 전구체 제조설비와 황산메탈 제련설비 등을 건설하기 위해 9673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황산메탈 제련설비는 황산화공정(RMP : Raw Material Precipitate)과 연관된다. RMP는 순도가 낮은 원자재에 황산을 넣어 고순도 니켈과 코발트를 추출하는 작업으로 전구체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가 전구체 생산 능력 확대에 나선다. 

3월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에코프로는 자회사인 에코프로머티리얼즈가 전구체 제조설비 및 황산메탈 제련설비 공장 건설을 위해 9573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투자 기간은 오는 2025년 8월 31일까지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투자 목적과 관련해 "고객사 수요 대응"이라고 밝혔다.  

전구체는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을 섞어 정제한 양극재 전 단계 원료다. 여기에 리튬을 배합하면 양극재가 된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산 전구체는 에코프로비엠에 납품되고 있다.  

현재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포항 CPM 1, 2공장에서 연간 5만톤(t) 규모의 전구체를 생산하고 있으며 생산능력을 오는 2027년까지 21만t으로 4배 이상 높이겠다고 밝힌 바 있다.  



올해 이차전지(배터리)소재 업체들의 최대 관심사 중 하나는 글로벌 공급망 확보다. 특히 배터리 광물의 중국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탈중국화를 위한 수급처 다변화와 신소재 개발 등 공급망 체질 개선은 주요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양극재의 핵심 소재인 전구체이다. 전구체는 배터리 4대 핵심 소재 중 하나인 양극재 원가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전구체 합성 기술이 양극소재의 핵심 성능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양극재에서 매우 중요한 원재료에 해당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전구체 대부분을 중국으로부터 수입하고 있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전구체의 중국 수입 의존도는 97.4%에 달한다.

최근 미국 정부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상 전기차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없는 외국 우려기업(FEOC)에 사실상 중국에 있는 모든 기업을 포함했다. 또한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자국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유럽연합(EU)의 핵심원자재법(CRMA) 역시 본격 시행을 앞두고 있다. 더욱이 중국이 희토류나 요소수 사태처럼 수출 통제에 나설 경우 국내 기업들은 또다시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이 같은 상황에서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최근 공격적인 투자로 전구체 자립도를 높이고 있다. 2017년 설립된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고용량 하이니켈 양극재 전구체를 국내 최초로 양산에 성공하며 현재 국내 최대 전구체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 11월 코스피 상장을 통해 확보한 공모자금 4192억원 중 3116억원을 생산시설 확대에 투자한다. 영일만 산업단지 내 원료 3공장과 전구체 3공장은 지난해 7월 착공해 현재 공사 중으로 내년 1월에 완공될 예정이며 원료 4공장, 전구체 4공장은 이달(1월) 착공해 내년 7월 완공할 계획이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현재 연간 5만톤(t)의 전구체 생산능력을 2027년까지 21만t으로 늘린다는 목표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경우 다른 전구체 생산업체들과 달리 원재료 활용(RMP) 공정과 전구체 생산(CPM) 공정을 통합한 생산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올 1월3일 에코프로 관계자는 “순도가 낮은 중간재를 투입해 고순도의 황산 메탈을 제련하는 공정인 RMP의 경우 자체적인 공정 설계와 공법을 통해 타사 대비 원가 경쟁력이 높다”면서 “특히 RMP 공정을 거치면 광산에서 생산되는 중간재 원료뿐 아니라 폐배터리 재활용을 통해 1차 정제된 원료에서도 고순도 전구체 원료 생산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작년 4분기 개별기준 매출액은 1887.00억으로 전년동기대비 13.8% 감소. 영업이익은 1.36억으로 6.96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129.13억으로 405.9% 증가. 

작년 전체매출액은 9525.23억으로 전년대비 43.2% 증가. 영업이익은 87.73억으로 77.5% 감소. 당기순이익은 135.54억으로 13.0% 감소.


에코프로 그룹 계열의 이차전지용 하이니켈 전구체 생산 및 판매업체. 이차전지용 하이니켈 양극재의 핵심소재 중 하나인 하이니켈 전구체를 제조 및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 주요 제품으로는 PCSG(NCM811), PCDS(NCM9 ½½), PNC(A) 전구체 등.

최대주주는 에코프로 외(46.42%), 주요주주는 BRV Lotus Growth Fund 2015, L.P.(16.09%), BRV Lotus Fund III, L.P.(8.61%). 


2022년 개별기준 매출액은 6652.48억으로 전년대비 94.01% 증가. 영업이익은 389.88억으로 139.88% 증가. 당기순이익은 155.83억으로 229.80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작년 11월17일 상장, 당일 42950원에서 최저점을 찍은 후 올 1월11일 244000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밀렸으나 5월31일 75500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점차 저점과 고점ㅇ르 높혀오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11080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1154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 목표가는 1차로  1270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1397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