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주식종합토론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필에너지(378340)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작성자 정보

대감

게시글 정보

조회 518 2024/06/05 12:51

게시글 내용



이차전지 장비 제조업체 필에너지(대표이사 김광일)는 지난 5월27일 하나증권이 여의도 금융투자교육원에서 주최한 '테크 콥데이(Tech Corporate Day)'에 참석했다. 이날, 필에너지는 차세대 배터리의 전극 공정으로도 제품 포트폴리오를 넓히고 있으며, 주력인 조립 공정 장비에 전극 공정 라인업까지 더해진다면 긍정적 효과들이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우수한 기술력을 기반으로 신성장 동력을 끊임 없이 확보할 계획임을 밝혔다. 

필에너지는 현재 차세대 전지의 전극 공정 장비를 요청 받아 개발에 돌입한 상태다. 전극 공정은 양극·음극을 만드는 과정이다. 배터리 제조의 초기 작업으로 배터리 성능을 좌우하는 중요한 단계로 분류된다. 전극 공정은 △믹싱 공정(원재료 혼합) △코팅 공정(포일에 혼합물 도포·건조) △프레싱 공정(전극 두께 줄임) △슬리팅 공정(전극 절단) △건조 공정 등으로 진행된다.

필에너지 관계자는 "필에너지의 레이저 기술을 전극 공정에 적용 가능하다는 이해가 맞아 떨어지며 본격적으로 진입하게 됐다"며 "조립 공정에 이어 전극 공정까지 진출하며 신성장 동력을 확대하는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필에너지는 차세대 배터리 관련 전고체 전지로도 자원을 투입하고 있다. 현재까지 쌓아온 기술력을 전고체 전지 연구개발(R&D)에 대응하며 장비 개발을 진행 중이다. 최근 준공이 완료된 2공장 내 드라이룸도 설치, 차세대 배터리 부문에 속도를 내고 있다. 드라이룸은 공기 중 수분량을 일정 수준 이하로 제어한 공간이다. 수분과 반응하면 유해가스가 발생하는 전고체 배터리의 소재 특성상 드라이룸은 핵심으로 꼽힌다.이날 필에너지는 전세계적으로 주목 받고 있는 46파이(지름 46㎜ 배터리) 원통형 배터리 관련 제품을 영상을 통해 공개했다. 양극·음극면을 가공하는 노칭(notching) 공정과 면 전체가 균등하게 도체로 활용되게끔 말아주는 권취(winding) 공정을 일체화한 장비다. 두 공정이 하나의 제품에서 이루어지기에 작업 속도와 공간 효율을 제고하는 이점이 있다. 또 자재 교체를 위한 설비 정지 시간을 다른 제품 대비 크게 단축, 생산성 또한 높였다. 관련해 필에너지는 국내외에 기술 특허도 확보했다.필에너지 관계자는 "46파이 원통형 권취기에는 필에너지의 뛰어난 기술력이 잘 반영되어 있다"며 "유망하게 인식되는 사업에 선제적으로 진입하여 성장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차전지 장비 제조업체 필에너지(대표이사 김광일)가 제2공장 가동을 본격화하고 있다. 전체 5000억원 규모의 생산능력(capa)을 보유함에 따라 수주 대응력도 제고될 전망이다. 제2공장에는 전고체 배터리 제작에 핵심인 드라이룸이 설치, 차세대 배터리 사업에도 탄력이 붙을 걸로 기대된다.

필에너지는 5월21일 제2공장에서 첫 제품 출하가 이루어졌다고 밝혔다. 제2공장은 연면적 1만7000㎡(약 5,143평)이다. 경기도 오산시에 위치한 본사 바로 옆에 자리하고 있으며, 지난달 준공됐다.필에너지는 모회사인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제조업체 필옵틱스(대표이사 한기수)와 제1공장을 공동으로 사용해 왔다. 제1공장은 필옵틱스와 필에너지 각각 2500억원의 캐파다. 제2공장은 필에너지 전용으로, 필에너지는 기존의 두 배인 5000억원의 캐파를 보유하게 됐다.필에너지가 제2공장 건립에 나선 건 수주 대응력 제고 차원이다. 필에너지의 현재 수주잔고는 2900억원이다. 지난해 9월 약 1,600억원의 수주를 확보했고, 지난해 11월과 올 3월 각각 1,000억원 규모의 단일판매·공급 계약도 체결했다. 앞으로 예상되는 수주에 차세대 배터리 시장 진입까지 고려하면 캐파 증설이 불가피했다.수주 대응력이 높아짐에 따라 '출하 일정 준수 → 고객사 신뢰 제고 → 매출 인식 불확실성 상쇄' 등의 선순화 기조가 기대된다. 실제 기수주분의 매출 인식만 예정대로 이루어진다면, 지난해 대비 외형 확대를 이룰 수 있다. 필에너지는 지난해 약 1967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수주잔고에 비춰봤을 때, 올해 매출은 전년 대비 확대될 전망이다.제2공장은 단순 생산력 제고 차원을 넘어선다. 차세대 전지로 꼽히는 전고체 배터리 생산에 핵심으로 꼽히는 드라이룸이 설치되어 있다. 필에너지는 차세대 배터리로 사업 확장에 본격적 채비를 갖추게 됐다. 드라이룸은 공기 중 수분량을 일정 수준 이하로 제어한 공간이다. 수분과 반응하면 유해가스가 발생하는 전고체 배터리의 소재 특성상 드라이룸은 핵심으로 꼽힌다.필에너지 관계자는 "국내 이차전지 장비 업체 가운데 드라이룸을 보유한 곳은 많지 않다"며 "필에너지는 제2공장을 통해 차세대 배터리 사업에서도 속도를 낼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수한 기술력과 확대된 생산능력을 앞세워 46파이 원통형 배터리와 전고체 배터리 시장에서도 선도적 입지를 다질 것"이라고 덧붙였다.필에너지는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46파이 원통형 배터리 와인더(권취기)를 꼽고 있다. 이미 개발을 완료하고수주를 앞두고 있다. 필에너지가 개발한 46파이 원통형 배터리 와인더는 양극·음극을 정밀하게 가공하는 노칭(notching) 공정과 양극·음극·분리막 등을 둥글게 마는 권취 공정이 일체화된 제품이다. 마찬가지로 필에너지의 고도화된 레이저 기술이 반영됐다. 특히 양극·음극면을 정밀하게 가공하는 노칭 공정에서 필에너지만의 레이저 기술이 빛을 발했다. 표면적으로는 양극·음극면을 무수히 자른 뒤 둥글게 마는 단순한 작업일 수 있다. 하지만 고객사가 원하는 스펙대로 면 끝의 형태를 내고 제품의 질 저하가 없도록 권취하는 건 단기간 내 R&D로 구현하기 쉽지 않다. 필에너지는 두 가지 공정 모두 높은 난이도로 실현했다.



이차전지 장비 제조업체 필에너지(대표이사 김광일)가 지난해 4분기에 이어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전기차 산업 위축 속에서도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기수주분의 매출 인식이 2분기부터 본격화되기에 연간 기준 매출은 전년 대비 확대될 전망이다. 기술력 제고를 위한 투자도 꾸준히 이루어지는 만큼 대규모 수주잔고와 맞물려 펀더멘탈을 강화할 모멘텀이 될 전망이다.

필에너지는 5월13일 올 1분기 573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올 1분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0여억원, 6여억원이다. 지난해 4분기에 이어 두 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올 2분기부터 매출 인식은 더욱 탄력 받을 전망이다. 지난해 3분기 이후 대규모 수주를 확보한 덕이다. PO(purchase order)로부터 출하까지 대략 6개월의 시간을 고려하면 올 2분기부터 매출 인식이 본격화될 걸로 예상된다.필에너지는 지난해 9월 약 1597억원의 단일판매·공급 계약 체결 공시를 한 바 있다. 지난해 11월과 올 3월 각각 998억원 규모의 단일판매·공급 계약 체결도 공시됐다. 최근 9개월 내 공개된 수주물량만 2600억원에 달한다. 현재 필에너지의 수주잔고는 2900여억원이다. 이 가운데 약 70~80% 물량이 연내 매출로 인식될 걸로 보인다.기수주분의 매출 인식만 예정대로 이루어진다면 지난해 대비 외형 확대를 이룰 수 있다. 필에너지는 지난해 약 1967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필에너지 관계자는 "2분기부터 수주의 매출 인식이 본격화되고, 자연스레 필에너지의 기업가치가 잘 드러날 전망"이라며 "비우호적 대내외 환경에도 불구하고 필에너지는 앞선 기술력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전기차 산업의 둔화로 이차전지 시장 내 우려의 시선이 존재하지만, 필에너지는 탄탄한 수주잔고를 기반으로차별화된 평가를 이끌어 낼 전망"이라고 덧붙였다.올 1분기 급여는 약 1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2.3% 확대됐다. 같은 기간 R&D 비용은 126.6% 늘었다. 이는 우수한 인재를 확보해 기술력 제고에 집중한 영향이다. 필에너지는 기존 제품인 △노칭(notching) 장비 △스태킹(stacking) 장비의 고도화와 함께 △46파이 원통형 배터리 권취기(와인던·winder) 개발 △전도체 배터리 장비 개발 △차세대 전지 전극 공정 장비 개발 등을 본격화하고 있다. R&D 성과가 빛을 발한다면 '제품 라인업 다양화 → 매출처의 다변화 → 마진율 제고'의 선순환 기조를 구축할 수 있을 전망이다.이차전지 장비 전문업체 필에너지는 2020년 법인화되어 지난해 코스닥에 상장했다. 노칭과 스태킹 공정을 하나의 장비에 내재한 제품을 국내 최초로 만들었으며, 최근 46파이 원통형 배터리의 권취기 개발도 완료했다. 46파이 원통형 배터리 권취기는 국내외 여러 배터리 제조사로부터 제작 요청을 받고 있다.



유안타증권은 4월19일 필에너지(378340)에 대해 증가하는 수주를 바탕으로 한 실적 개선에 주목해야 한다고 평가했다. 유안타증권에 따르면 필에너지는 이차전지 조립 공정 설비를 제조·판매하는 기업이다. 2020년 4월1일 필옵틱스(161580) 에너지사업부에서 분할됐다. 노칭(Notching), 스태킹(Stacking) 등 장비가 주력 제품이다.원통형 4600 Winder 장비는 연내 해외 기업으로의 진출이 기대된다는 설명이다. 필에너지는 레이저 노칭과 와인더의 일체형 장비가 가능하다. 고객사 입장에서는 동일 업체를 통해 노칭장비와 와인더를 공급받으면 수율 안정 및 유지보수에 유리하기 때문에 동사의 신규진입 가능성이 높다고 바라봤다.전고체 배터리는 액체 전해질을 쓰는 리튬이온 배터리와 달리 고체 전해질을 사용한다. 온도 변화에 따른 폭발 위험이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제품이다. 전고체 전지 시장은 30%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다수의 전문기관에서 예측하고 있다.필에너지는 전고체 스태킹 장비를 주요 고객사에 연구개발(R&D) 장비를 납품한 후, 추가적인 성능 개선을 위해 R&D가 진행 중에 있다. 국내 배터리 기업과 중국 배터리 기업 간 전고체 배터리 개발 경쟁이 심화되고 있어, 추가 수주 시기가 앞당겨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권명준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올해 동사의 매출액은 전년 대비 30% 이상 성장할 것"이라며 "동사의 지난해 말 수주잔고는 2459억원으로, 전년대비 25%이상의 매출 성장이 기대된다"고 진단했다.이어 "추가로, 동사는 올해 3월 998억원 규모의 공급계약을 체결했다"며 "계약 종료시점은 내년 1월이며, 대부분 연내 매출 반영될 가능성이 높다"고 조언했다. 



이차전지 장비 전문업체 필에너지는 핵심 제품인 스태킹(Stacking) 일체형 설비·레이저 노칭(Notching) 설비에 이어 전기차(EV)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46시리즈의 권취기로도 사업 영역을 넓히고 있다고 3월29일 밝혔다. 대규모 수주에 대응하기 위한 5000억 규모 생산능력(CAPA)도 확보한 상태다.

필에너지 관계자는 “원통형 권취기를 성공적으로 개발 완료했다”며 “여러 고객사를 대상으로 본격적인 수주 활동을 진행하고 있고, 가까운 시일 내 첫 수주 소식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원통형 EV 배터리 시장의 확대와 맞물려 46시리즈 원통형 권취기는 고객 다변화 및 성장의 큰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권취기는 극판 전공정을 마친 극판 릴을 원통형 배터리 형태로 말아주는 장비다. 장비의 성능에 따라 제품의 품질이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핵심 장비로 주목받고 있다. 

권취기의 개발 완료로 필에너지는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EV(각형)△EV(원통형)△전고체 등의 장비 라인업을 구축하고 있다. 시장 트렌드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46시리즈 권취기 설비까지 장착한 필에너지는 기술력을 기반으로 여러 고객사를 확보하겠다는 목표다. 나아가 국내 배터리 설비 산업 내 톱티어(top-tier) 지위를 굳힌다는 계획이다.

앞서 김광일 대표는 필에너지 주주에게도 중장기적 경영 목표를 밝힌 바 있다. 지난 26일 열린 제4기 정기주주총회에서 김 대표는 △연구개발(R&D)기반의 시장 선도 △고객사다변화 △CAPA 확대 등을 중장기 계획으로 제시했다. 필 에너지는 최근 신공장 증설을 마쳤다. 이에 연 5000억원 규모를 웃도는 설비 제조 capa를 확보하게 됐다. 

김 대표는 “신공장에 마련된 드라이룸(공기 중 수분량을 일정수준 이하로 제어한 공간)을 활용해 전고체 등 차세대 배터리 시장에서도 성장의 기반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드라이룸은 배터리 제조 공정에 필요한 요소다. 차세대 배터리 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리튬 등이 수분에 취약하기 때문에 습기를 엄격하게 관리할 수 있는 드라이룸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많은 기업이 높은 투자비·유지비에 부담을 느껴 선뜻 설치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 필에너지는 드라이룸을 확대 운영해 고객사의 샘플 대응 및 설비 테스트 등을 위한 전용공간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이밖에 △시장 주도권 유지(스태킹 일체형   설비 원가 경쟁력 제고) △금형에서 레이저 노칭으로 전환 선도(양극 합제부 레이저 노칭 양산을 위한 고속화 기술 개발) 등도 경영 계획으로 언급됐다.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573.29억으로 전년동기대비 21.48% 감소. 영업이익은 9.82억으로 86.99% 감소. 당기순이익은 6.50억으로 88.52% 증가. 



필에너지는 3월19일 998억1000만원 규모의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계약 상대방은 공시에서 밝히지 않았다. 

계약기간은 2024년 3월 18일부터 2025년 1월 6일까지 총 공급기간은 294일이다. 이번에 체결한 공급계약 금액은 최근 매출액 1967억1516만원 대비 50.74% 규모다.



SK증권은 3월13일 필에너지(378340)에 대해 올해부터 증설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투자의견과 목표가는 제시하지 않았다.  

나승두 SK증권 연구원은 “올해는 생산능력 증설 및 신규 장비 등의 효과가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2020년 필옵틱스의 이차전지 사업 부문이 물적 분할해 설립된 필에너지는 광학 레이저 관련 기술을 토대로 이차전지 공정용 장비를 생산한다 

나 연구원은 아울러 “공장 증설을 마무리하면서 추가적인 생산능력을 확보했다”며 “일체형 장비를 주력 생산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주요 고객사의 북미 지역 중심 신규 공장 증설구축에 발맞춰 납품이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원통형 와인딩 장비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며 “생산이 용이하고 물리적 안정성이 높다는 장점이 재부각되면서 원통형 이차전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중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또 “차세대 배터리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는 점도 고무적”이라며 “동사는 전고체 UHP 스태킹 장비를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때마침 정부에서도 전고체·리튬메탈·리튬황 등 차세대 배터리 분야에 1172억원의 투자와 민관 협력 강화 계획을 발표했다”고 전했다. 이어 “차세대 배터리 산업 성장에 충분한 마중물이 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관련 장비 수요도 점진적으로 커질 전망”이라고 평가했다.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967.15억으로 전년대비 3.7% 증가. 영업이익은 153.12억으로 8.9% 감소. 당기순이익은 64.17억 적자로 37.23억에서 적자전환. 


2차전지 핵심 설비 제조업체. 2차전지의 조립 공정 중 핵심 설비를 제작하는 기업으로 Tab을 형성하는 Laser Notching 설비, 음극과 양극의 극판을 적절한 크기로 Cutting 후 분리막과 번갈아 적층하여 Jelly Roll을 제작하는 Stacking 설비, 그리고 Jelly Roll의 음극과 양극의 Tab을 Cap에 보조 전극과 용접하는 Tab 용접 설비, Tab을 Folding 하는 Folding 설비, Jelly Roll을 Can에 삽입하는 Can Insert 설비 제작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 매출 대부분은 Stacking 설비에서 발생하며, 주요 고객사는 삼성SDI 임. 최대주주는 필옵틱스(47.74%), 주요주주는 삼성SDI(14.15%).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97.10억으로 전년대비 14.87% 증가. 영업이익은168.12억으로 128.39% 증가. 당기순이익은 37.23억으로 34.90% 감소. 


작년 11월13일 16320원에서 최저점을 찍은 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올 3월29일 3570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5월31일 21000원에서 저점을 찍고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 집니다.


손절점은 2160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2245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247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272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

게시글 찬성/반대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